[커머스 핫라인]빔프로젝터가 있는 캠핑..낭만 그리고 재미

윤희석 2018. 4. 5. 10:4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완연한 봄. 지역 벚꽃축제도 절정기를 맞이했다. 미세먼지와 황사가 최대 복병이지만 캠핑이나 야외나들이 가기에는 더없이 좋은 기기다. '빔프로젝터'와 함께라면 색다른 추억을 만들 수 있다.

빔프로젝터는 용도에 따라 회의강당용, 홈시어터용, 모바일용으로 구분된다. 최근 몇 년 새 휴대 가능한 모바일 빔프로젝터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가격비교사이트 다나와에서 제공하는 소비형태통계시스템 '다나와리서치'에 따르면 전체 빔프로젝터 시장 64%가 모바일용 제품이다. 5대를 판매하면 3대는 휴대용인 셈이다. 회의강당용(22%)과 홈시어터용(14%) 점유율과 비교하면 압도적 강세다.

모바일용 빔프로젝터는 손바닥에 올라갈 정도로 작고 가벼워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내장형 배터리를 탑재해 흰 벽면이 있는 곳이라면 집, 캠핑장, 여행지 어디서나 100인치 이상 대형 화면으로 고화질 영상을 즐길 수 있다.

스마트폰, 태블릿PC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은 물론 USB메모리에 저장한 영화나 드라마도 재생 가능하다. 안테나를 연결하면 TV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때로는 낭만적이고, 때로는 효율적인 제품이다.

모바일용 빔프로젝터 시장 최강자는 LG전자다. 최근 1년간 LG전자 점유율(판매대수 기준)은 42%다. LG전자는 모바일 빔프로젝터를 포함한 전체 빔프로젝터 시장에서도 점유율 28%로 1위를 달린다.

LG전자 PH550과 중국 UNIC UC40은 모바일 빔프로젝터 대표 제품으로 1위 자리를 다투고 있다. PH550은 HD급 해상도(1280×720)와 550안시 밝기, 1대 10만 명암비를 지원하는 프리미엄급 제품이다. UNIC UC40은 6만원대 가격 덕에 빔프로젝터 입문자들에게 인기가 높다. UC40은 40~80안시 밝기와 800×480 해상도를 지원한다. 3.8m 거리에서 130인치까지 영사한다.

ⓒ게티이미지뱅크

모바일 빔프로젝터는 대부분 HD급 해상도에 700안시 미만이다. 다나와리서치에 따르면 모바일 빔프로젝터 80%가 700안시 미만이며, 특히 99안시 미만은 39%다.

안시는 중요한 빔프로젝터 선택 기준이다. 안시가 높으면 밝은 곳에서도 선명한 화면을 볼 수 있다. 홈시어터용 빔프로젝터는 2000안시(53%)와 3000안시(29%)가 주류다. 밝은 환경에서 큰 화면으로 자료를 봐야 하는 회의실, 강의실 용으로는 56%가 3000안시를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안시 이상 빔프로젝터는 23%다.

회의강당용과 홈시어터용 빔프로젝터에서는 엡손 점유율이 가장 높았다. 최근 1년간 회의강당용 빔프로젝터 시장 47%, 홈시어터용 빔프로젝터 38%가 엡손 제품이다. 회의강당용 빔프로젝터는 벤큐(20%), 뷰소닉(10%), 비비텍(9%), 홈시어터 빔프로젝터는 옵토마(19%), 벤큐(17%), 뷰소닉(12%) 순이다.

집에서 영화를 보면서 휴가를 대신하려는 소비층이 늘면서 홈시어터용 빔프로젝터 판매량도 급증했다. 전체 빔프로젝터 시장에서 홈프로젝터 비중은 평균 14%였지만 지난 1월 18%, 2월 20% 수준으로 올라섰다.

엡손 EH-TW5350은 홈프로젝터 시장 베스트셀러다. 1920×1080 풀HD, 2200안시, 1대 3만5000 명암비를 지원한다. 램프는 일반 4000시간, 에코모드에서 최장 7500시간 사용할 수 있다. 블루투스 안경을 쓰면 3LCD로 구현된 초고화질 3D화면을 감사할 수 있다.

그동안 빔프로젝터 화면 크기는 150인치 미만이 많았다. 하지만 지난해 12월을 기점으로 300인치 빔프로젝터로 대세가 기울었다. 지난 2월에는 300인치까지 영사되는 빔프로젝터 비율이 약 50%를 차지했다. 해상도는 HD에서 풀HD로 무게를 옮겼다. 지난해 3월 풀HD 점유율은 22%로 HD(31%)보다 낮았지만 올해 2월에는 28%까지 확대됐다. 같은 기간 HD는 19%로 줄었다.

ⓒ게티이미지뱅크

2017년 3월~2018년 2월 프로젝터 용도별 점유율(판매량 기준, 단위 %)

자료:다나와리서치

2017년 3월~2018년 2월 모바일용 프로젝터 제조사별 점유율(판매량 기준, 단위 %)

자료:다나와리서치

2017년 3월~2018년 2월 홈시어터용 빔프로젝터 제조사별 점유율(판매량 기준, 단위 %)

자료:다나와리서치

2017년 3월~2018년 2월 회의강당용 빔프로젝터 제조사별 점유율(판매량 기준, 단위 %)

자료:다나와리서치

2017년 3월~2018년 2월 최대화면 크기별 빔프로젝터 점유율(판매량 기준, 단위 %)

자료:다나와리서치

2017년 3월~2018년 2월 해상도별 빔프로젝터 점유율(판매량 기준, 단위 %)

자료:다나와리서치

윤희석 유통 전문기자 pioneer@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