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빠진 농촌..영동서 표고버섯 종균넣기 '분주'

2018. 3. 26. 11:3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버섯 주산지인 충북 영동군 상촌면에서 종균 넣는 작업이 한창이다.

종균이 들어간 원목은 서늘한 그늘에서 1년여 동안 배양과정을 거친 뒤 표고버섯을 생산하게 된다.

해발 1천242m의 민주지산 기슭인 이 지역은 예로부터 버섯이 흔한 곳이다.

이 지역 표고버섯은 일교차가 큰 기후 속에서 1급수 계곡 물로 재배돼 향기가 강하고 식감이 쫄깃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영동=연합뉴스) 박병기 기자 = 버섯 주산지인 충북 영동군 상촌면에서 종균 넣는 작업이 한창이다.

26일 영동군에 따르면 이 지역 농민들은 요즘 1.2∼1.3m 길이로 자른 참나무 원목에 새끼손가락 크기의 구멍을 뚫어 표고 종균을 주입하고 있다.

종균이 들어간 원목은 서늘한 그늘에서 1년여 동안 배양과정을 거친 뒤 표고버섯을 생산하게 된다.

해발 1천242m의 민주지산 기슭인 이 지역은 예로부터 버섯이 흔한 곳이다. 100여 농가에서 한 해 800여t의 표고버섯을 생산한다.

가을이면 송이·능이·싸리 등 야생버섯도 지천이다. 시장 골목을 중심으로 버섯요리를 파는 음식점이 들어서 미식가를 맞이한다.

이 지역 표고버섯은 일교차가 큰 기후 속에서 1급수 계곡 물로 재배돼 향기가 강하고 식감이 쫄깃하다.

전국적으로 두터운 마니아 층이 생길 정도다.

농민 이상호(64)씨는 "이달 안으로 종균 접종을 마무리해야 품질 좋은 내년 여름 품질 좋은 표고를 얻을 수 있다"며 지금이 농사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주민들은 야생버섯이 나오는 가을이 되면 이곳에서 버섯축제를 연다.

bgipark@yna.co.kr

☞ "내몸 돌려달라"…국가에 강제불임수술 당한 70대
☞ 홍석천 "스미싱에 낚여 520만원 송금…내가 당할줄이야"
☞ 멕시코로 가족여행 떠난 일가족 숨진 채 발견…무슨일?
☞ '트럼프 성관계설' 포르노 배우 "딸과 함께 협박당해"
☞ 친구 집서 수천만원 훔쳤다 샤넬백 안 '이것'에 덜미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