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박! 이거 봤어?] 당신에게 10원짜리 동전이 있으면 생길 수 있는 일

2018. 2. 19. 05:4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용카드가 일상화되면서 천덕꾸러기가 되어버린 동전.

그러나 세상에는 동전 수집가들이 있어 희귀한 동전의 경우 생각보다 꽤 비싼 가격에 거래가 되고 있다는 사실.

10원짜리 동전은 1966년에 처음 등장했다.

천덕꾸러기로만 생각했던 동전이 등잔 밑 보물일 수 있다는 얘기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머니 속에 동전이 있다면 지금 당장 꺼내 연도를 확인해 보자. 수 십 만원에서 100만원이 넘는 희귀동전일 수 있다. 1966년에 처음 등장한 10원 동전은 30만원에 거래된다. 사진출처 ㅣ BlueButton TV 유튜브 화면캡처
신용카드가 일상화되면서 천덕꾸러기가 되어버린 동전. 주머니에서 짤그락대는 소리도 싫거니와 무게감이 있어 갖고 다니기에 불편하다. 그러나 세상에는 동전 수집가들이 있어 희귀한 동전의 경우 생각보다 꽤 비싼 가격에 거래가 되고 있다는 사실.

지폐는 일련번호에 따라, 동전은 발행연도에 따라 값어치가 달라진다고 한다. 10원짜리 동전은 1966년에 처음 등장했다. 1966년∼1970년까지의 동전이 값어치가 높다. 1966년에 나온 10원은 약 30만원, 1970년 황동 10원은 약 20만원, 1970년 적동 10원은 약 3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상태에 따라서는 100만원이 넘기도 한다니 10원이 10원이 아니다.

50원 동전은 1972년에 최초 발행됐다. 벼 이삭 그림으로 익숙한 50원 동전은 1972년 것이 15만원 정도 나간다고 한다. 50원이 10원만 못 한 느낌이 든다.

그렇다면 100원은 어떨까. 국내에서 가장 많은 동전이 바로 100원짜리 동전이다. 100원 동전은 1970년도와 1981년도 것이 희귀해 약 10만원에 거래되고 있다. 가장 귀하다고 평가받는 1974년 100원 동전의 경우 약 30만원까지 호가한다고.

마지막으로 동전의 ‘왕’ 500원이다. 매년 100만개 이상 생산되는 500원 동전. 그런데 딱 한 번 8000개 밖에 생산되지 않은 해가 있었다. 1998년 IMF 시기에 한정수량 생산을 했던 것이다. 1998년 500원 동전은 100만원 이상 가격에 판매된 적도 있다고 한다. 천덕꾸러기로만 생각했던 동전이 등잔 밑 보물일 수 있다는 얘기이다. 앞으로는 동전을 사용하기 전에 재미 삼아 연도를 체크하는 습관을 가져보자.

양형모 기자 ranbi@donga.com

Copyright © 스포츠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