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한국일보 신춘문예] 동화 심사평

한국일보 2018. 1. 1. 04: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동화는 어린이의 시선을 이해하고 그들의 솔직한 물음을 담아야 한다.

성인이 된 작가가 젊은 세대 앞에서 과거의 삶을 과시하며 인정투쟁을 벌이는 서사는 동화가 될 수 없다.

어린이를 핑계 삼아 엄마의 양육태도 공격에 몰입하는 작품들도 있었다.

동화작가라면 멋진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시혜자의 자세를 벗어나 자신의 편견부터 점검해보아야 할 것 같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화는 작가의 과거가 아닌 아이들의 물음 담아야"
최정선(왼쪽) 어린이책 기획자와 김지은 아동문학 평론가가 한국일보 본사에서 신춘문예 동화 부문 원고를 검토하고 있다. 홍인기 기자

동화는 어린이의 시선을 이해하고 그들의 솔직한 물음을 담아야 한다. 성인이 된 작가가 젊은 세대 앞에서 과거의 삶을 과시하며 인정투쟁을 벌이는 서사는 동화가 될 수 없다. 어린이를 핑계 삼아 엄마의 양육태도 공격에 몰입하는 작품들도 있었다. 악역을 맡는 어른은 왜 늘 과장된 형상의 엄마인가 돌아볼 필요가 있다. 인공지능(AI)을 다룬 작품들이 많았으나 기계적인 상상의 파편을 엮은 것에 그쳤다. 동화작가라면 멋진 이야기를 들려준다는 시혜자의 자세를 벗어나 자신의 편견부터 점검해보아야 할 것 같다.

두 편의 작품이 최종심에 올랐다. 동화의 본령에 가까우면서도 아이들의 눈길을 놓치지 않은 작품들이다. ‘우리 엄마’는 이모와 살아가는 자매가 길고양이들을 돌보게 되면서 가족의 의미를 다시 헤아리는 이야기다. “좋으면 됐지”라는 말로 세간의 시선을 툭툭 털어내는 두 아이는 가족을 구성하는데 사랑 말고 무엇이 더 필요한가를 되묻는다. 따뜻한 문장이 돋보였으나 이모의 비혼을 부정적으로 다룬 부분이 작품의 주제와 맞서는 것 같아 아쉬웠다.

‘길 잃은 편지’는 차분하게 어린이의 걸음을 따라가는 작품이었다. 아빠의 손에 맡겨졌으나 아빠의 충분한 보호를 받지 못하는 주인공과 아픈 엄마의 보호자로 지내야 하는 친구 윤주가 등장한다. 두 어린이는 배달이 보류된 편지처럼 일시 정지된 성장기의 한 골목을 지난다. 갑작스러운 환경의 변화 속에서 길을 잃지만 멀리 있는 친구에게 의지하면서 어떻게든 스스로 중심을 잡아가려고 애쓰는 주인공 나의 모습이 뭉클한 공감을 일으킨다. 투고된 작품 가운데 어린이의 마음과 가장 가까이에 있는 작품이라고 생각하여 이 작품을 당선작으로 정했다. 앞으로 이 보폭의 사실감을 잊지 않고 좋은 작품으로 독자들의 큰 사랑을 받는 작가가 되시기를 바란다.

최정선 어린이책 기획자 김지은 아동문학평론가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