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모양 바구니 속에∼ 살랑살랑 '지중해 내음'

2017. 10. 31. 03: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친애하는 독자 여러분, '달의 이면' 전시(내년 2월 4일까지)에 초대해준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여러분, 제게 이토록 신선한 전시를 소개할 기회를 주셔서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전시 제목인 '달의 이면'은 세계적 석학인 클로드 레비스트로스(1908∼2009)의 저서 제목에서 따왔습니다.

"아시아 작가들에게 유럽지중해 지역의 민속 전통과 일상문화를 해석하도록 제안한 것은 '익숙함이라는 낯섦'에 대한 다양한 입장에 주목했기 때문입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달의 이면' 展.. 亞 현대미술 작가 22명 유럽-지중해문명 재해석

[동아일보]

26일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만난 시로키 작가는 뮈셈의 옛 접시 그림을 참조해 자신만의 방식으로 지중해를 형상화했다. 광주=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친애하는 독자 여러분, ‘달의 이면’ 전시(내년 2월 4일까지)에 초대해준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여러분, 제게 이토록 신선한 전시를 소개할 기회를 주셔서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전시 제목인 ‘달의 이면’은 세계적 석학인 클로드 레비스트로스(1908∼2009)의 저서 제목에서 따왔습니다. 아시아문화전당이 2013년 문을 연 프랑스 마르세유의 유럽지중해문명박물관(MuCEM·뮈셈)과 협력한 전시인데요. 아시아 현대미술 작가 22명이 마르세유에 약 1주일간 머물면서 뮈셈의 소장품 100만여 점을 각자의 관심에 따라 해석해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낸 것입니다.

전시를 기획한 김성원 아시아문화전당 전시사업본부장의 설명을 들어볼까요. “아시아 작가들에게 유럽지중해 지역의 민속 전통과 일상문화를 해석하도록 제안한 것은 ‘익숙함이라는 낯섦’에 대한 다양한 입장에 주목했기 때문입니다.”

익숙함이라는 낯섦. 레비스트로스의 ‘달의 이면’에 나오는 표현입니다. ‘누구에게는 낯선 것이 누구에게는 익숙한 것입니다…. 문명들은 서로 존중할 만하며 각자 상대는 모르는 신비한 지식을 알고 있죠. 그러므로 계속해서 퍼낼 지혜의 우물이 서로에게 있는 겁니다.’

전시를 하루 앞둔 26일 아시아문화전당에 가보니, 일본의 시로키 아사코 작가는 참나무 의자로 대륙을, 푸른색 천으로 지중해를 형상화했더군요. “제가 뮈셈에서 참고한 건 유럽 사람들이 사용하던 두 개의 도자기 접시였어요. 바다를 항해하는 배 그림과 어린이들이 노는 그림이 각각 접시에 그려져 있었죠. 어린 시절의 꿈과 바다의 역동성을 나무, 천, 유리, 돌을 사용해 표현했어요.”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리고 있는 ‘달의 이면’ 전시. 이슬기 작가는 프랑스 유럽지중해문명박물관에 전시된 왕골 바구니를 본 후 아프리카로 가서 한글 모양의 왕골 바구니를 만들어 이번에 전시했다. 광주=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프랑스에서 활동하는 이슬기 작가는 뮈셈에 전시된 왕골 바구니를 보고 아프리카로 가서 현지 장인들과 함께 한글, 벌집 모양의 왕골 바구니를 만들어왔습니다. 지중해 바람을 맞아 해진 형형색색 깃발들을 바구니와 함께 설치했더니 그 바구니는 아프리카도, 한국도, 프랑스도 아닌 독특한 문화로 다시 태어났지요.

인도에서 온 프라바카르 파슈푸테 작가는 뮈셈의 농기구들을 주목했습니다. ‘죽어 있는’ 연장을 인간의 몸과 결합한 혼성 생물체로 재탄생시키고 그걸 전시장 벽화로 그렸죠. 이상혁 작가는 19세기 유럽인의 식생활을 다룬 그림들을 뮈셈 수장고에서 빌려와 걸고, 그림 속 치즈 만드는 도구들을 독창적으로 표현했습니다. 일례로 그가 설치한 금속 조각은 응고된 우유에서 물기를 제거할 때 사람의 팔이 그리는 움직임을 형상화했다는군요.

감히 말하건대, 보이는 달의 표면이 아니라 보이지 않는 달의 이면을 통해 보면 역사는 더욱 중요해집니다. 인류의 과거 가운데 신비롭게 남아있는 부분에 접근하는 데 있어 지중해의 일상도 중요한 열쇠를 제공해 주리라 생각합니다.

PS 글의 도입과 마무리를 레비스트로스의 ‘달의 이면’에서 따와 썼다는 것을 밝혀둡니다. 레비스트로스가 사랑했던 일본을 지중해로 바꿔서요. 전시를 보러 가기 전, 이 책을 일독하시면 동서양의 대칭적 사고를 이해하는 준비가 될 듯합니다.

광주=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핫한 경제 이슈와 재테크 방법 총집결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