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외국어대학교·한중대학교 결국 폐교.. 문재인정부 '첫 퇴출' 결정

김나현 기자 2017. 10. 27. 13:2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사학 비리, 부실 운영 등 논란이 된 대구외국어대학교와 한중대학교가 폐교된다.

두 대학은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최하위 E등급을 받았다.

교비에서 부당 집행한 법인 사업비 3억8000만원 등 12건의 감사 지적 사항도 이행하지 못했다.

지난해에는 4억여원의 적자를 기록하는 등 재정 상황도 악화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구외국어대학교. 한중대학교. /사진=대구외국어대학교 제공

사학 비리, 부실 운영 등 논란이 된 대구외국어대학교와 한중대학교가 폐교된다. 문재인정부에서는 처음 나온 퇴출 결정이다.

교육부는 27일 경북 경산시 대구외대와 강원 동해시 한중대에 2018학년도 학생모집 정지와 학교폐쇄 명령을 내렸다고 발표했다. 두 대학은 다음해 2월28일자로 폐교된다.

두 대학은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에서 최하위 E등급을 받았다. 상시 컨설팅을 실시하고 자구 노력 기회를 줬지만 올해 특별종합감사 결과 학교 폐쇄가 필요하다고 결정했다. 설립자 및 경영자 비리, 낮은 학생 충원율, 재정 악화로 교육 여건이 부실해져 더 이상 교육의 질을 담보할 수 없는 한계 상황에 직면했다고 판단했다.

대구외대는 2003년 개교 당시 인가 조건이었던 수익용 기본재산 30억원을 아직도 확보하지 못했다. 교비에서 부당 집행한 법인 사업비 3억8000만원 등 12건의 감사 지적 사항도 이행하지 못했다.

지난해에는 4억여원의 적자를 기록하는 등 재정 상황도 악화됐다. 학생 1인당 교육비가 774만2000원에 불과할 정도로 교육 여건이 나빠 정상적 학사 운영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4년제 일반대학 평균 13000만원의 절반 수준이다.

한중대는 2004년 교육부 감사에서 적발된 전 총장의 교비 횡령액 244억원 등 379억5000만원을 13년째 보전하지 못했다. 교직원 임금 체불액도 333억9000만원에 달하는 등 18건의 감사 지적 사항을 이행하지 못했다.

신입생 모집은 저조하고 중도 탈락자는 늘고 있다. 한중대의 올해 신입생 충원율은 27.3%, 재학생 충원율은 29.4%(정원내 기준)에 불과했다. 법인전입금은 0원이고 법정부담금 부담률은 0%다.

두 대학이 폐교되면서 기존 재적생들은 인근의 다른 대학으로 특별 편입학된다. 현재 두 대학의 재적생은 대구외대 392명, 한중대 1047명(대학원생 75명 포함) 등 1439명이다. 지난 9월 수시 모집 원서 접수 기간에 대구외대(35명)와 한중대(39명)에 지원한 수험생에게는 다른 대학 전형 준비와 정시 모집 지원을 안내해 대입에 차질이 없도록 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청와대 "한중 정상회담, 사드 유감표명 전제조건 아냐"
삼양그룹, 불합격자에 합격 통보… "심려 끼쳐 죄송"
케네디 암살 관련 문건 기밀 해제… 2800건 해당
'국정원 수사 방해 의혹' 장호중 지검장 등 7명 압수수색
실업급여, 내년부터 1일 상한액 6만원으로 인상

실시간 재테크 경제뉴스창업정보의 모든 것
김나현 기자 kimnahyeon@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