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처서.. 모기 가고 귀뚜라미 온다

이영민 기자 2017. 8. 23. 06: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오늘(23일)은 가을의 2번째 절기 '처서'다.

한국민속대백과사전에 따르면 처서는 흔히 '땅에서는 귀뚜라미 등에 업혀오고, 하늘에서는 뭉게구름 타고 온다'고 할 정도로 여름이 가고 가을이 드는 계절의 엄염한 순행을 드러내는 때이다.

아침저녁으로 신선한 기운을 느끼게 되는 계절이기에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고 한다.

이 속담처럼 처서의 서늘함 때문에 파리, 모기의 극성도 사라져가고, 귀뚜라미가 하나둘씩 나오기 시작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처서를 하루 앞둔 22일 오후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을 찾은 시민들이 푸르고 청명한 가을하늘 아래서 즐거운시간을 보내고 있다./ 사진=뉴스1

오늘(23일)은 가을의 2번째 절기 '처서'다. 여름 더위가 가시고 신선한 가을을 맞이하게 된다는 의미로 '더위가 그친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한국민속대백과사전에 따르면 처서는 흔히 '땅에서는 귀뚜라미 등에 업혀오고, 하늘에서는 뭉게구름 타고 온다'고 할 정도로 여름이 가고 가을이 드는 계절의 엄염한 순행을 드러내는 때이다.

아침저녁으로 신선한 기운을 느끼게 되는 계절이기에 "처서가 지나면 모기도 입이 비뚤어진다"고 한다. 이 속담처럼 처서의 서늘함 때문에 파리, 모기의 극성도 사라져가고, 귀뚜라미가 하나둘씩 나오기 시작한다.

처서가 지나면 따가운 햇볕이 누그러져 풀이 더 이상 자라지 않기 때문에 논두렁의 풀을 깎거나 산소를 찾아 벌초한다.

처서 무렵의 날씨는 한해 농사의 풍흉(豊凶)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처서 무렵이면 벼의 이삭이 생기는 때다. 따라서 햇살이 강하고 날씨는 쾌청해야 한다.

처서에 비가 오면 곡식이 제대로 자라지 못해 썩는다. '처서에 비가 오면 독 안에 든 쌀이 줄어든다', '처서에 비가 오면 십리 안에 있는 곡식 천석이 감한다' 는 말도 있다.

한편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전국이 대체로 흐리고, 곳곳에서 비가 올 것으로 보인다.

이영민 기자 letswin@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