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상승폭..6.19 대책 이전 급등세 넘어서

CBS노컷뉴스 윤석제 기자 2017. 7. 21. 11: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의 아파트 값이 재건축, 일반 할 것없이 상승폭이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7월 3주차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41% 상승해 전주(0.29%) 대비 상승폭이 크게 확대됐다.

특히, 재건축(0.43%)이 전주에 이어 강세를 보였고, 일반아파트(0.41%)도 전주(0.26%)대비 상승폭을 0.15%p나 확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진=자료사진)
서울의 아파트 값이 재건축, 일반 할 것없이 상승폭이 크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7월 3주차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41% 상승해 전주(0.29%) 대비 상승폭이 크게 확대됐다.

이는 한 달 전 6.19 부동산 대책 발표 이전의 급등(6월2주차 0.32%) 흐름까지 넘어선 것이다.

특히, 재건축(0.43%)이 전주에 이어 강세를 보였고, 일반아파트(0.41%)도 전주(0.26%)대비 상승폭을 0.15%p나 확대했다.

지역별로는 △강동(0.97%) △광진(0.74%) △노원(0.74%) △송파(0.64%) △강남(0.49%) △구로(0.49%) △동작(0.47%) △강서(0.38%) △동대문(0.38%) 순으로 매매가격 상승률이 높았다.

강동은 둔촌주공 5,930가구의 이주가(7월20일) 시작되며 주변 매매수요가 크게 확대됐다. 매물은 나오는 즉시 거래되고 있다. 둔촌동 초원동아, 중앙하이츠, 현대2차 등이 500만원-5,000만원 상승했다.

광진은 수요가 꾸준한 가운데 상대적으로 덜 올랐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가격이 뛰는 분위기다. 자양동 한양이 1,500만원-2,500만원, 구의동 현대2단지가 1,000만원-2,000만원 올랐다.

노원은 저가매물이 모두 소진된 이후 상승흐름이 장기화될 조짐이다. 상계동 주공4단지가 1,250만원-2,500만원, 하계동 청솔이 1,000만원-1,500만원 상승했다.

송파는 재건축 투자수요 증가로 매물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오금동 현대2,3,4차가 1,000만원-3,500만원, 거여동 거여5단지가 1,500만원-2,000만원 올랐다.

신도시는 0.17%로 분당, 위례 중심으로 상승을 이끌었고 경기ㆍ인천은 0.06% 변동률로 전주와 동일했다.

한편, 전세시장은 서울 0.12%, 신도시 0.02%, 경기ㆍ인천은 0.01% 상승했지만 전주 대비로는 상승폭이 둔화됐다.

동탄, 김포 등 새 아파트 입주물량이 늘어난 지역들이 마이너스 변동률을 나타내며 전세시장 전반에 영향력을 확대했다.

[CBS노컷뉴스 윤석제 기자] yoonthomas@cbs.co.kr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