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약금 20%로 올려도.. '끝없는 청약행렬'
파이낸셜뉴스 2017. 7. 20. 18:19
고양 지축 등서 공급한 단지 두자릿수 경쟁률 여전
8월 더 강한 정책 예고돼 집 사려는 움직임 빨라져
8월 더 강한 정책 예고돼 집 사려는 움직임 빨라져
고양 지축 등서 공급한 단지 두자릿수 경쟁률 여전
8월 더 강한 정책 예고돼 집 사려는 움직임 빨라져
잔금대출제한, 분양권 전매금지 지역 확대 등 정부의 잇단 규제에도 신규 분양 시장의 열기는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건설사들이 공동주택 분양때 계약금을 분양가의 15~20%까지 올리고 있음에도 청약경쟁률이 두자릿수를 기록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초기 투입 비용이 2배까지 커 지는데도 여전히 청약률이 높은 것은 그만큼 실수요자가 많다는 방증으로 보고 있다.
■계약금 10→20%로 높여도 청약 '대박'
20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7일 청약을 마감한 '지축역 센트럴 푸르지오'는 계약금이 20%나 되지만 청약경쟁률이 1순위에서 평균 16.3대 1의 높은 경쟁률로 마감했다. 이 단지는 계약금 비중도 높지만 입주 때까지 분양권 전매가 금지되기 때문에 사실상 실수요자들이 대거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분양 관계자는 "전용면적 84㎡형의 분양가가 5억원대라서 계약금만 해도 1억원이라 조금 우려했던 것도 사실인데 막상 청약을 받아보니 실수요자들이 대부분이라 문제가 되지 않은 것 같다"면서 "투자 목적이라면 초기 투입 비용이 부담돼 주춤할 수 있지만 실수요자들은 중도금, 잔금 부담이 그만큼 줄어드는 것이라 개의치 않았던 것 같다"고 말했다.
청약 접수를 진행중인 반도건설의 '지축역 반도유보라' 역시 계약금이 15%로 다른 단지보다 높은 편이지만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다. 지난 14일 문을 연 견본주택에는 주말 3일간 누적 방문객수가 약 1만7000여명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지난 2000년대 초반 부동산이 호재를 맞았던 시기에 등장했던 분양가 20%를 계약금으로 받는 단지가 재등장했다는 점이 시장이 그만큼 좋다는 뜻이 된다. 시장이 침체되면서 점점 계약금 규모다 줄어 10%가 일반화된 최근 추세에서는 더욱 눈에 띄는 현상이다.
■실수요자 위주 분양시장 다시 확인한 셈
계약금을 높여도 청약경쟁률이 낮아지지 않는 것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불러온 일종의 풍선효과라는 분석이다. 실수요층이 집을 구매하려는 심리가 더 커지면서 서울 및 수도권의 신규 분양 시장이 규제 전보다 더 뜨거워지고 있는 것. 게다가 오는 8월 더 강한 규제가 예고되면서 하루 빨리 내집마련에 나선 수요자들이 몰리고 있다. 정부는 투기세력에 대한 경고라며 대책을 내놓았지만 실제 여전히 공급보다 수요가 부족하다는 사실만 다시 한번 확인한 셈이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취임사에서 "주택시장 과열의 원인을 아직도 공급 부족에서 찾는 사람이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지만 업계나 부동산 전문가들은 "서울과 주변 신도시의 공급이 여전히 부족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실수요층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자녀들이 분가하면서 소형평형에 실거주를 원하는 수요가 향후 2~3년은 충분히 있을 것다는 것이다. 실수요자들은 주택가격의 상승하락보다 금융규제에 더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더 강한 규제 전 집을 사려는 움직임이 빨라진다는 분석이다. 이 때문에 계약금을 높여도 청약경쟁률이 떨어지지 않는 현상도 나타난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신도시의 경우 특히 실수요자 중심 시장이라 향후 입주 활성화 차원에서 계약금을 높이는 경우가 있다"면서 "건설사 입장에서는 분양도 중요하지만 안정적인 입주까지 생각하면 수요층이 확실하다고 판단해 계약금을 높게 책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도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경기가 바닥을 치면서 초기 계약률을 높이기 위해 계약금을 5%나 더 적게는 1000만원까지도 내렸었다"면서 "그러다가 지난 해 11.3 대책에서 신규 분양시장 투자수요 제한을 위해 최소 10%에서 최대 20%까지 계약금을 받을 수 있도록 했는데 최근 20%까지 나온 것은 그만큼 투자보단 실수요가 많다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wonder@fnnews.com 정상희 기자
■계약금 10→20%로 높여도 청약 '대박'
20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7일 청약을 마감한 '지축역 센트럴 푸르지오'는 계약금이 20%나 되지만 청약경쟁률이 1순위에서 평균 16.3대 1의 높은 경쟁률로 마감했다. 이 단지는 계약금 비중도 높지만 입주 때까지 분양권 전매가 금지되기 때문에 사실상 실수요자들이 대거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분양 관계자는 "전용면적 84㎡형의 분양가가 5억원대라서 계약금만 해도 1억원이라 조금 우려했던 것도 사실인데 막상 청약을 받아보니 실수요자들이 대부분이라 문제가 되지 않은 것 같다"면서 "투자 목적이라면 초기 투입 비용이 부담돼 주춤할 수 있지만 실수요자들은 중도금, 잔금 부담이 그만큼 줄어드는 것이라 개의치 않았던 것 같다"고 말했다.
청약 접수를 진행중인 반도건설의 '지축역 반도유보라' 역시 계약금이 15%로 다른 단지보다 높은 편이지만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다. 지난 14일 문을 연 견본주택에는 주말 3일간 누적 방문객수가 약 1만7000여명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지난 2000년대 초반 부동산이 호재를 맞았던 시기에 등장했던 분양가 20%를 계약금으로 받는 단지가 재등장했다는 점이 시장이 그만큼 좋다는 뜻이 된다. 시장이 침체되면서 점점 계약금 규모다 줄어 10%가 일반화된 최근 추세에서는 더욱 눈에 띄는 현상이다.
■실수요자 위주 분양시장 다시 확인한 셈
계약금을 높여도 청약경쟁률이 낮아지지 않는 것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불러온 일종의 풍선효과라는 분석이다. 실수요층이 집을 구매하려는 심리가 더 커지면서 서울 및 수도권의 신규 분양 시장이 규제 전보다 더 뜨거워지고 있는 것. 게다가 오는 8월 더 강한 규제가 예고되면서 하루 빨리 내집마련에 나선 수요자들이 몰리고 있다. 정부는 투기세력에 대한 경고라며 대책을 내놓았지만 실제 여전히 공급보다 수요가 부족하다는 사실만 다시 한번 확인한 셈이다.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취임사에서 "주택시장 과열의 원인을 아직도 공급 부족에서 찾는 사람이 있는 것 같다"고 지적했지만 업계나 부동산 전문가들은 "서울과 주변 신도시의 공급이 여전히 부족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현재 실수요층은 베이비부머 세대의 자녀들이 분가하면서 소형평형에 실거주를 원하는 수요가 향후 2~3년은 충분히 있을 것다는 것이다. 실수요자들은 주택가격의 상승하락보다 금융규제에 더 큰 영향을 받기 때문에 더 강한 규제 전 집을 사려는 움직임이 빨라진다는 분석이다. 이 때문에 계약금을 높여도 청약경쟁률이 떨어지지 않는 현상도 나타난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신도시의 경우 특히 실수요자 중심 시장이라 향후 입주 활성화 차원에서 계약금을 높이는 경우가 있다"면서 "건설사 입장에서는 분양도 중요하지만 안정적인 입주까지 생각하면 수요층이 확실하다고 판단해 계약금을 높게 책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도 "금융위기 이후 부동산 경기가 바닥을 치면서 초기 계약률을 높이기 위해 계약금을 5%나 더 적게는 1000만원까지도 내렸었다"면서 "그러다가 지난 해 11.3 대책에서 신규 분양시장 투자수요 제한을 위해 최소 10%에서 최대 20%까지 계약금을 받을 수 있도록 했는데 최근 20%까지 나온 것은 그만큼 투자보단 실수요가 많다는 뜻"이라고 해석했다.
wonder@fnnews.com 정상희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파이낸셜뉴스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난민은 받자면서 아들은 안 들이네"…정우성 저격한 정유라
- 김병만 전처 "내가 든 사망보험 4개뿐…삼혼 아니라 재혼"
- '성폭행 피살' 엄마 잃은 꼬마…18년간 '사진' 넣고 다니다 검거한 형사
- 명세빈 "속초 여행 중 17세 연하남이 대시해" 깜짝 고백
- 이천희 "옛애인 탓…전혜진과 결혼 3년만 위기"
- 도지혜 "임신 후 상견례 했는데 남편 잠적…협의이혼"
- 권성동 의원, 국감 중 비키니女 검색 "아내에 혼나"
- 이래도 안 닦나요?…휴대전화 현미경으로 들여다보니 충격
- 스크루 살피다…제주서 실종 선장 열흘 만에 숨진 채 발견(종합)
- "역겨워 다 게워냈다" 배달음식서 나온 치간칫솔…사장 "재사용 아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