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인 손은 인식하지 않는 '인종차별' 자동물비누 논란

2017. 7. 15. 18: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공중화장실에 설치된 자동 물비누 디스펜서가 흑인들이 손을 대면 작동하지 않아서 의문을 갖게 만들었다.

화장실에 있는 10개 정도의 비누 기기를 시험해봤지만 그의 손을 인식해 제대로 작동되는 건 없었다.

그는 "물비누 디스펜서는 근적외선 기술을 사용한다. 손에 비가시 광선을 보내면 이는 센서에 도로 반사돼 작동되는 원리다. 비누가 하루종일 거품을 일으키지 않는 이유도 빛을 다시 반사하는 대상이 없고 기기의 회로가 닫혀 있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피츠페트릭의 영상이 온라인에 게재된 후, 실제 비슷한 경험을 한 흑인들의 이야기가 쏟아져나왔다. (사진=유튜브 캡쳐)

공중화장실에 설치된 자동 물비누 디스펜서가 흑인들이 손을 대면 작동하지 않아서 의문을 갖게 만들었다.

13일(현지시간) 다소 ‘인종 차별적’인 물비누 디스펜서의 영상을 공개한 메트로는 흑인들에게는 비누가 제공되지 않는다고 전했다.

유튜브에 영상을 올린 남성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피츠페트릭으로, 그는 애틀랜타 메리어트 호텔에서 백인 친구 래리와 함께 비누 디스펜서가 어두운 피부색을 인식하지 않음을 입증하기 위한 실험에 나섰다.

영상에서 피츠페트릭이 손을 갖다댔을 땐 나오지 않던 물비누가 친구 래리의 손에선 너무도 손쉽게 나왔다. 화장실에 있는 10개 정도의 비누 기기를 시험해봤지만 그의 손을 인식해 제대로 작동되는 건 없었다.

피츠페트릭은 “화장실을 갈 때마다 친구에게 대신 비누를 받아달라고 해야했다”며 “기분이 상했다기보다 ‘어째서 나를 인식하지 못하는 걸까’하는 궁금증이 생겼다”고 말했다.

이에 첨단 기술 회사 파티클(tech-company Particle)의 리차드 휘트니는 물비누 기계를 비롯해 많은 기기들이 다양한 피부 타입을 인식 못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고 인정했다.

그는 “물비누 디스펜서는 근적외선 기술을 사용한다. 손에 비가시 광선을 보내면 이는 센서에 도로 반사돼 작동되는 원리다. 비누가 하루종일 거품을 일으키지 않는 이유도 빛을 다시 반사하는 대상이 없고 기기의 회로가 닫혀 있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어두운 색 피부처럼 만약 반사하는 대상이 빛을 흡수하면 충분치 않은 빛이 반사되기 때문에 센서는 작동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비누 디스펜서는 다양한 신체 유형을 인식하지 못하는 기술의 한계를 보여주는 또 다른 예다. 2010년 뉴욕 타임즈의 가젯와이즈(Gadgetwise)는 미국 마이크로소프트사의 가정용 게임기 엑스박스 키넥트(Xbox Kinect)와 휴렛 팩커드의 얼굴인식 프로그램이 흑인 얼굴을 인식하지 못했고, 구글 포토의 오토 라벨링 시스템도 흑인을 고릴라로 오인했다고 보도한 적이 있다.

사진=유튜브 캡쳐

안정은 기자 netineri@seoul.co.kr

▶서울신문 나우뉴스 통신원 및 전문 프리랜서 기자 모집합니다 나우뉴스(nownews.seoul.co.kr) [페이스북] [군사·무기] [별별남녀]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