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여행] 빨간 민물가재 꽃이 피었습니다

2017. 5. 22. 04:0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공터 여기저기 차려진 천막마다 가득한 사람들, 록인지 재즈인지 분명하지 않지만 엉덩이를 들썩일 만큼 흥겨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밴드의 음악 소리, 사람들의 손마다 맥주 잔이 들려있고 금방이라도 무대 앞에선 춤판이 벌어질 듯하다.

하지만 이곳은 지금 한창 축제가 벌어지고 있는 곳, 손수레 가득 쌓인 새빨간 민물 가재 크로피시(Craw Fish)만큼 달아오른 열기가 가득하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터 여기저기 차려진 천막마다 가득한 사람들, 록인지 재즈인지 분명하지 않지만 엉덩이를 들썩일 만큼 흥겨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밴드의 음악 소리, 사람들의 손마다 맥주 잔이 들려있고 금방이라도 무대 앞에선 춤판이 벌어질 듯하다. 봄이라 해도 이미 햇빛은 뜨겁고 습도도 높아 숨이 막힌다. 하지만 이곳은 지금 한창 축제가 벌어지고 있는 곳, 손수레 가득 쌓인 새빨간 민물 가재 크로피시(Craw Fish)만큼 달아오른 열기가 가득하다.

크로피시는 작은 하천이나 개울, 웅덩이, 논에 사는 민물 가재다. 조금씩 모양은 다르겠지만, 깨끗한 민물이 있는 곳이라면, 전 세계 여러 곳에서 찾아볼 수 있는 비교적 친근한 갑각류다. 하지만 특히나 이 크로피시를 즐겨 먹는 곳을 꼽는다면 중국과 미국 남부를 들 수 있을 듯하다. 중국에서는 매운 사천식 양념에 버무린 '마라룽샤'라는 이름의 민물 가재를 먹는다. 맛은 있지만 손으로 껍질을 까며 계속 먹다보면 매운 양념에 입과 손이 얼얼해진다. 그 얼얼함 때문에라도 잊을 수 없는 맛으로 기억되는 음식이다.

미국에서 크로피시를 많이 먹는 곳은 단연 남동부 끝, 루이지애나주다. 텍사스나 미시시피 등 인근 주에서도 크로피시를 먹고 축제도 열곤 하지만 크로피시는 뭐니뭐니 해도 루이지애나 뉴올리언스다. 미국 크로피시 대부분이 이곳에서 공급되고 또 그 중 대부분이 이곳에서 소비된다. 최근 관광객들이 늘어나면서 현지 소비량을 다 감당할 수 없어 중국 양식장에서 수입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지만 여전히 미국 내에서의 생산은 이 지역이 중심이 된다.

매년 봄이 오는 3월 말부터 5월 중순까지, 주 내 전역에서는 돌아가며 축제가 펼쳐진다. 지역에서 만들어진 맥주, 칵테일, 바비큐와 함께 공연이 펼쳐지는 것은 물론 댄스 콘테스트, 가장 행렬, 요리 경연대회 등 음식 축제에 걸맞는 다양한 행사들이 함께 마련된다. 1년 동안 400여 회의 축제가 열릴 만큼 축제가 많고 흥이 많은 루이지애나이지만 그중에서도 크로피시 페스티벌은 누구나 첫손 꼽는 축제 중 하나이다. 삶은 크로피시를 산처럼 쌓아놓고 함께 모여 까먹으며 시간을 보내는 것은 오래된 가족과 마을의 전통이며 루이지애나를 상징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공식 축제가 아니라도 마을마다 집집마다 크로피시를 함께 나누는 모습이 봄이 왔음을 알린다. 중국의 크로피시가 마라의 매운맛이라면 이곳은 '케이준'의 매운맛이다. 케이준은 독특한 역사적 배경이 만들어낸 뉴올리언스 프랑스 이민 후예들의 음식 문화이다. 작은 대야만큼씩 퍼주는 것을 지치지 않고 다 먹으려면 현지인들처럼 단번에 까먹는 방법도 배워야 할 것이다.

[서현정 뚜르 디 메디치 대표]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