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띄어쓰기 하나가 당락 가른다".. 맞춤법 받아쓰기 공부하는 취준생들

윤수정 기자 2017. 5. 13. 03:0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채용과정 중요 요소로
기업 인사 담당자 43% "국어 실력 부족 땐 탈락".. 필기시험 문제로도 출제
개별 교재로 공부하기도
2030 다섯 명 중 한 명 "맞춤법 교재 산 적 있어".. 20대 41% "취업 목적"

취업 준비생 최모(26)씨는 지난달 8일 공무원시험 준비생 3명과 함께 노량진의 한 패스트푸드점에서 만났다. 이들 손에는 국어 문제집이 각각 들려 있었다. 각자 노트를 꺼내 들자 최씨가 먼저 "두 시 삼십 분 오 초에 형수가 떠나고 불이 꺼진 지 오래다"라고 소리 내 읽었다. 나머지 사람들은 재빨리 노트 위에 최씨가 읽어주는 문장을 적었다.

한 사람씩 돌아가면서 문제집 속 예문을 한 문장씩 읽어준 뒤 이들은 서로 시험지를 돌려 보며 틀린 띄어쓰기 등을 바로잡았다. 붉은색 빗금이 잔뜩 그어진 시험지를 받아 든 최씨는 "초등학생 때 했던 받아쓰기를 다 커서 다시 하는 게 부끄럽지만 맞춤법 실수를 줄이려면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최근 취업 준비생들이 받아쓰기를 해 가며 한글 맞춤법 공부에 매달리고 있다. 취업 준비생이 자주 찾는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자소서를 작성해 서로 돌려 보고 틀린 어휘나 띄어쓰기를 잡아내는 '맞춤법 검사 스터디'가 인기다. 일반 이력서 쓰기 스터디도 아예 '한글 맞춤법 기본 장착되신 분 환영'이란 구인 조건이 달리고 있다.

다른 스펙 쌓기에도 시간이 모자랄 취준생들이 유독 맞춤법 공부에 매달리는 이유는 '오류 없는 완벽한 자기소개서'에 대한 부담감 때문이다. 최씨가 받아쓰기 스터디에 참여한 이유도 이번 상반기 공채 때 여러 대기업 입사 시험에 지원했지만 서류 전형에서 모두 탈락했기 때문이었다. 900점 초반의 토익 점수, 4점대 학점 등 나름 괜찮은 조건이라고 생각했던 최씨는 탈락에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지원서를 다시 꼼꼼히 살피자 자기소개서에서 '일일히', ' 지만' 등 잦은 맞춤법 실수를 발견했다. 최씨는 "맞춤법 틀린 것만이 이유는 아니었겠지만 뚜렷한 탈락 이유를 찾기도 어려웠다"고 말했다. 고민 끝에 최씨는 공무원시험 준비생들이 많이 찾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맞춤법 스터디'를 구했다.

채용 과정에서도 맞춤법은 중요한 요소다. 지난해 9월 잡코리아가 기업 인사 담당자 238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92%가 '자기소개서에 한글 맞춤법이 틀리는 경우를 본 적 있다'고 답했다. 특히 이들 중 43.3%가 '서류전형 평가 결과가 합격 수준으로 높아도 한글 맞춤법 등 국어 실력이 부족해 보이면 탈락시킨다'고 답했다. 또 공기업 NCS(국가 직무능력 표준)나 사기업 입사 필기시험에서도 국어 맞춤법을 묻는 문제가 등장하고 있다.

자소서뿐 아니라 인턴·실무 전형 등을 대비해 틈틈이 개별 교재로 맞춤법 공부를 하는 이들도 생기고 있다. 지난달 26일 온라인 유통업체 11번가에서 20~30대 501명에게 '최근 6개월간 맞춤법·띄어쓰기·문장 교정 교재를 구입한 적이 있는가'를 묻자 93명(18.6%)이 '그렇다'고 답했다. 이 중 20대는 41.7%가 '취업 목적'으로 구입한 걸로 나타났다. 지난해 9월 대기업 인턴 채용 과정에서 탈락한 이모(29)씨는 "기안서 작성 과제 때 수차례 맞춤법을 지적받은 게 가장 마음에 걸렸다"면서 "인사 담당자 중 '문법 나치(국어 문법 틀리는 것을 극도로 싫어하는 사람)'도 많다는 이야기를 들어 맞춤법 교재로 공부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에 맞춤법 검사기와 전화·온라인 국어 생활 상담 서비스를 제공 중인 국립국어원에도 맞춤법 걱정이 큰 취준생 방문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3월부터 지금까지 들어온 총 상담 건수 30만2677건 중 14만1509건(46.7%)이 띄어쓰기·문장부호 등 맞춤법에 관한 상담 문의였다. 국립국어원 한 관계자는 "국립국어원 카톡 상담 서비스 '우리말365'에 종종 급하다며 자소서 문장을 잔뜩 올리고 틀린 맞춤법을 고쳐 달라거나 풀던 입사 문제를 여럿 올리는 사람도 있다"면서 "상담 유형을 벗어나기 때문에 대부분 정중히 거절하지만 얼마나 스트레스를 받으면 저럴까 생각된다"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