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뜨는 건물외벽마감재 중 '세라믹 사이딩' 장점과 단점은?

최성근 2017. 4. 4. 18:1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때 전원주택에 있어서 '1억으로 집짓기'가 선풍적인 인기를 끈 적이 있다.

이 중에서도 내진을 위해 두꺼운 나무를 사용하는 중목구조와 건물외벽마감재인 세라믹사이딩의 인기가 뜨겁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전원주택을 지을 때 내진에 강한 중목구조와 세라믹사이딩이 관심을 얻고 있다(출처=pexels)
[이데일리 e뉴스 최성근 기자] 한때 전원주택에 있어서 ‘1억으로 집짓기’가 선풍적인 인기를 끈 적이 있다. 하지만 패션에도 유행이 있듯 건축업계에도 끊임없이 변화한다. 최근 전원주택을 짓는다는 사람들 사이에 빈번하게 회자되는 핵심 키워드는 바로 ‘중목구조’와 ‘세라믹사이딩’두 가지이다. 두 가지 모두 작년 경주대지진 이후로 전국적으로 지진에 대한 경각심이 확산된 가운데 더욱 인기를 얻게 됐다는 공통점이 있다.

올해부터 내진설계 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이에 지진에 비교적 강한 목조주택과 자재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 중에서도 내진을 위해 두꺼운 나무를 사용하는 중목구조와 건물외벽마감재인 세라믹사이딩의 인기가 뜨겁다.

세라믹사이딩은 드라이비트, 스타코플렉스, 벽돌형 타일 등과 같이 건물외벽마감재의 한 종류인데 시간이 지나면 실리콘 틈 사이가 변색되어 보수가 필요한 석재 외장재나 지진에 취약한 벽돌마감재, 화재에 취약한 드라이비트와는 달리 가벼우면서도 변색되지 않고 화재에도 안전해 일본식 주택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다만, 세라믹 사이딩 외장재는 다소 가격이 비싸고 하지틀 작업이 필요하므로 추가적으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그렇지만 동건 DGMF패널을 사용하면 패널 자체가 하지틀 기능을 하면서도 내장된 멀티프레임으로 외장재를 강하게 고정해 지진에 강하고 단열효과가 있다.

최근 패시브하우스 인증을 받은 단독주택의 건축주에 따르면 “공사비가 다소 들더라도 단독주택이라 4면이 모두 뚫려있어 각별히 단열에 신경을 써서 외벽과 지붕까지 모두 동건패널로 시공을 했다”며 “패시브하우스 인증 결과 건물의 기밀 성능 테스트 결과 값이 기준을 훨씬 충족하는 등 우수한 성능 결과가 나와 잘 선택한 것 같다.”는 말을 전했다.

최성근 (sgchoi@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