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산불주의, 3-4월 발생 건수 절반·피해 면적은 77%

2017. 3. 12. 09:5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봄철 산불주의, 3-4월 발생 건수 절반·피해 면적은 77%

봄철 산불주의 / 사진=연합뉴스

지난 9일 오전 10시 28분께 강원 강릉시 옥계면 산계리 인근 야산에서 불이 났습니다.

불은 순간 최대 풍속 14.6m/s의 강한 바람을 타고 발화 지점에서 3㎞ 떨어진 산계1리 마을회관 뒷산까지 번졌습니다.

산림청 헬기 17대와 인력 1천500여명을 투입해 진화에 총력을 기울인 끝에 만 하루만인 이튿날 오전 10시 30분께 불길을 잡았으나 소중한 산림 75ha가 잿더미로 변했습니다.

2009년 4월 6일 오전 11시께는 경북 칠곡군 지천면 창평리 백운산에서 입산자 실화로 보이는 불이 났습니다.

강한 바람을 타고 인근 동명면과 대구시 북구 읍내동 방향으로 확산해 주민 300여 명에게 대피령이 내렸습니다.

이 불로 1561년 지은 창평리 녹봉사 안 녹봉정사, 산신각, 관음전 등과 임야 407㏊가 탔습니다.

최근 10년간 봄철 '단골 불청객' 산불이 3∼4월에 연간 발생 건수의 절반, 피해면적의 7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나 산림 당국이 예방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12일 산림청에 따르면 2007년부터 2016년까지 10년 동안 전국에서 발생한 산불은 연평균 393.5건이고 평균 피해면적은 478.0ha입니다.

월별로는 3월이 평균 100건으로 가장 많고 4월 94건, 2월 49건, 5월 38건 등입니다.

피해면적은 4월 213.7ha, 3월 158.7ha, 1월 27.0ha, 5월 23.5ha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3∼4월이 194건으로 연간 발생한 산불의 49.3%에 이르고 두 달 피해면적도 372.4ha로 전체의 77.9%를 차지합니다.

2009년 이후 한꺼번에 임야 100ha 이상 탄 '대형 산불' 7건도 3∼4월 발생했습니다.

최근 10년간 산불을 요일별로 보면 나들이가 많은 일요일이 평균 69건(17%)으로 가장 많다. 이어 토요일 62건(16%), 수요일과 금요일 각 51건(13%) 등이었습니다.

시간대별로는 오후 2∼6시 188건(47.7%), 오전 11시∼오후 1시 133건(33.7%), 오후 7시 이후 45건(11.4%)입니다.

지역별로는 경북이 연평균 70.9건으로 18.0%를 차지했다. 이어 강원 56.5건(14.3%), 전남 42.4건(10.7%), 경기 41.0건(10.4%), 경남 39.9건(10.1%) 순입니다.

피해면적은 경북이 연평균 211.9ha로 전체의 44.3%를 차지해 압도적입니다.

경북 산림 면적이 190만ha로 전국의 19%인 점을 고려할 때 피해가 큽니다.

또 강원 62.8ha(13.1%), 울산 39.8ha(8.3%), 전남 38.2ha(7.9%), 경남 36.7ha(7.6%) 등입니다.

산불 원인은 부주의가 대부분입니다.

입산자 실화가 149건(37.8%)으로 가장 많고 논·밭두렁 소각 72건(18.2%), 쓰레기 소각 49건(12.4%), 담뱃불 실화 24건(6.0%), 성묘객 실화 17건(4.3%) 등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들어서는 현재까지 100여건이 발생해 임야 90여ha가 탔습니다.

산림 피해 규모가 큰 시기에 접어들고 건조한 날씨까지 이어지자 산림청은 지난 10일 정오부터 국가산불위기 경보를 기존 '주의'에서 '경계'로 한 단계 높였습니다.

중앙과 지역 산불방지대책본부를 특별 비상근무체제로 전환하고 산불 방지 인력도 증원하는 등 대응 태세를 강화했습니다.

또 오는 20일부터 한 달 동안을 '대형 산불 조심 기간'으로 정했습니다.

이 기간에 산불감시원 1만1천여 명 외에 지자체 공무원 3천여 명을 추가로 투입해 산불 주요 원인인 논·밭두렁과 쓰레기 소각을 집중 단속합니다.

산림청 박도환 산불방지과장은 "대부분 산불이 사람의 사소한 실수로 발생하고 피해 규모도 3∼4월에 큰 것으로 나타나 원인 행위를 미리 차단하는 등 예방에 힘을 기울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
  • ▷▷ MBN 뉴스 더보기
  • ▶ [다시보기] 아쉽게 놓진 MBN 프로그램도 원클릭으로 쉽게!
  • ▶ [건강레시피] 밥상을 바꾸면 건강이 달라집니다! 건강밥상 레시피 지금 확인하세요!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