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노애락을 모두 아우르는 오슬로 비겔란 공원

maytoaugust 2017. 2. 3. 06:04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옆집부부의 수상한 여행-15] "날이 좀 덥네요."

"그러게, 낮 5시가 다 돼가는데도 해가 쨍쨍하네."

 현재 우리 부부가 여행하고 있는 노르웨이(Norway)의 수도 오슬로, 이름에서 엿볼 수 있듯이 노르웨이는 '북쪽으로 가는 길'이란 뜻을 갖고 있다. 국토 절반 이상이 북극권에 속해 있어 4월부터 7월까지는 백야 현상으로 하루 종일 밝다. 이렇게 해가 길고 화창한 초여름에 북유럽을 여행을 할 수 있으매 감사했다.

 일찍이 노르웨이는 9세기부터 바이킹의 나라였다. 육지인들 입장에서는 약탈과 노략질을 일삼는 그들이 참으로 무서웠다고 한다. 우리나라로 치면 흉노, 말갈 정도 느낌일까. 아무튼 국토 대부분이 험준한 산악 지대인 데다 해풍이 따스한 해안 지역이 그나마 살기 좋았으나, 겨울엔 종일 어둡고 추워서 바다를 타고 늘 다른 곳으로 뛰쳐나갔다고 한다. 그래서인지 이곳 자연은 사람의 손이 닿지 않은 그대로다.

 이러한 노르웨이의 운명이 바뀐 건 1970년대에 북해에서 유전 잭팟이 터지면서부터다. 한때 유럽의 최빈국이 세계 5위 석유 수출국으로 올라섰다. 지금은 인구가 적고, 소득은 높고, 자연환경이 잘 보존되어 있고 사회복지가 좋다. 무엇보다 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교육, 의료 등의 복지에 대폭 할애해 시간당 소득을 포함한 각종 조사에서 최상위권을 달리는 선진국이다. 일부에서는 노르웨이의 복지제도는 석유를 등에 업은 것일 뿐이니 대단할 것도 없다고 말하지만, 산유국이라고 해서 무조건 선진국이나 복지국가는 아니다. 대표적인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일부 중동 국가들을 봐도 그렇고, 전 국민 복지를 실현하고 있으나 대신 민주주의 수준이 떨어지는 쿠웨이트와 브루나이 같은 나라도 있다.

 아무튼 날이 좋아서 그런지 쾌적한 거리 곳곳을 걷는 것만으로도 즐거웠다. 북유럽 국가들 중에 오슬로가 가장 쨍하게 깨끗했던 것 같다. 우리가 이렇게 한참을 시내를 걸으며 가는 곳은 바로 오슬로의 명소인 비겔란 공원(Vigeland Sculpture Park)이다. 아름다운 자연과 예술 작품이 훌륭한 조화를 이뤄 매해 200만명 이상이 방문하는 오슬로가 자랑하는 대표적인 문화 공간이다.

 노르웨이 출신의 세계적인 조각가 구스타브 비겔란(Gustav Vigeland)과 그의 제자들이 제작한 조각 작품 200여 개가 전시되어 있다. 오슬로 도심 북동쪽 드넓은 녹지에 조성되어 시민들의 산책 장소로 사랑받고 있다. 비겔란은 자신이 온 힘을 기울인 공원이 완성되기 전 세상을 떠나고 말았고 그 후 비겔란의 제자와 오슬로 시민들이 합심해 지금의 공원을 완성했다고 한다. 프로그네르 공원(Frogner Park)이라고도 불린다.

 "오빠 여기로 가는 게 진짜 맞아요? 가도가도 숲길인데."

 "조금만 가면 나올거 같은데…."

 실수했다. 애당초 노르웨이 민가 구경을 해보겠다고 주택가를 통해 공원까지 가려 했던 게 잘못이었지. 버스를 타고 비겔란역에 내린 것까진 좋았는데, 원래 있는 길 말고 구글맵을 켜고 주택가 뒤에 있는 샛길로 가보겠다고 호언장담한 것이었다. 그러면서 숲을 헤치고 다니면서 20여 분을 헤매다가 갑자기 공원으로 "뿅" 나오게 됐다.

잘 보면 거의 모든 조각들이 인체이다. 20세기 초, 비겔란은 자신의 일생 동안 영혼을 바쳐 조각한 작품들을 오슬로시에 기증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에 오슬로시는 공원 설계와 작품을 의뢰했고 비겔란은 13년에 걸쳐 청동, 화강암, 주철을 사용한 다양한 작품을 준비했다고 한다. 작품을 관통하는 테마는 인간의 삶과 죽음을 아우르는 희로애락이다.

 그는 오슬로와 코펜하겐에서 공부했고, 파리에서 몇 달간 머물면서 오귀스트 로댕의 작품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았다. 비겔란의 조각 작품에는 자연주의적인 정서가 담겨 있으며, 죽음과 남녀 사이의 관계를 주제로 한 인물의 흉상과 부조가 주를 이루었다. 그는 감정과 표현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여 고독과 황홀함의 대조되는 분위기로 인물상을 묘사했다.

 사실 북유럽의 예술 역사 자체가 프랑스나 이탈리아처럼 화려하거나 웅장한 맛은 없다. 16세기 들어서 바사 왕국이 형성되고 스웨덴 구스타프 전성기 때 주로 프랑스·영국 등 유럽 대륙의 영향을 받아들이고 따라 한 모습이 현재 느낄 수 있는 예술적인 가치의 전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곳의 예술은 화려함보다는 솔직함 그리고 추운 날씨와 척박한 환경에서 오는 인간 본연의 외로움과 우울함을 잘 표현한 매력이 있다.

  공원에 전시된 비겔란의 수많은 작품 중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높이가 약 17m에 달하는 화강암 조각상 '모놀리트(Monolith)'다. 멀리서 보면 그저 커다란 기둥처럼 보이지만, 121명의 남녀가 엉켜 괴로움으로 몸부림치는 모습이 생동감 있게 묘사되고 있다. 조각 속 사람들은 실제 사람 크기로 만들었다. 세계에서 가장 큰 화강암 조각품이라고 한다.

 "헬싱키나 스톡홀름이나 오슬로나 사람들이 웃통 벗고 누워 있는 건 매한가지구나."

 "저기~ 저 아기 너무 귀엽지 않아요?"

 남녀노소 다양한 사람들이 한낮을 즐기는 모습은 보는 것만으로도 휴식이 된다. 가족들도 유모차를 끌고 나와 망중한을 즐기면서 햇빛을 쬐고 있었다. 한 청년은 잔디밭에 누워 책을 보고 있었고, 다른 연인은 서로 팔베개를 해주면서 강한 햇빛을 그대로 맞이하고 있었다. 아마 우리나라 사람 같으면 바로 양산을 펴거나 그늘을 향해 피했겠지. 당장 우리 부부만 해도 선크림 덕지덕지 바르고 그늘로만 다니려 애쓰니까 말이다.

 그 밖에도 비겔란 공원은 야외 정원을 천천히 산책하며 곳곳에 설치된 다양한 조각 작품을 감상할 수 있었다. 호수와 다리, 분수대, 장미 정원 사이사이로 자리한 작품들은 모두 비겔란이 여생을 바쳐 인간의 일생을 담은 거대한 전시장과 같다. 그는 1943년에 사망할 때까지 자신의 작업실에서 이 공원에 배치할 조각들을 계속해서 제작했다고 한다.

 [MayToAugust부부 공동집필]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