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김세중 교수팀 "급성 신손상에 새로운 기준 적용해야"

김소형 2017. 1. 12. 14:5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신장내과 김세중 교수팀이 '급성 신손상(Acute Kidney Injury)'에 새로운 평가기준을 추가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김세중 교수<사진> 는 "그 동안 사용해 왔던 국제신장학회의 급성 신손상 기준은 사실 임의 기준임에도 지나치게 이에 의존해왔던 것 같다"며, "이번 연구에서는 그 동안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급성 신손상 전단계' 환자의 예후가 객관적으로 평가된 만큼, 새로운 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분당서울대병원은 신장내과 김세중 교수팀이 '급성 신손상(Acute Kidney Injury)'에 새로운 평가기준을 추가해야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김세중 교수팀은 기존 국제신장학회의 평가 기준인 '혈청 크레아티닌 0.3ml/dl 또는 50% 증가'에 환자가 도달하기 전이라도 치료가 필요할 수 있고, 특히 '혈청 크레아티닌 25-50% 증가' 수준의 환자들은 새 기준을 적용해 적극적으로 치료해야한다고 밝혔다. 급성 신손상은 조기에 적절한 치료가 이뤄지지 않는 경우 감염은 물론 심장혈관, 뇌혈관, 간 등 신체에 악영향을 미치고 사망률까지 높일 수 있어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한 질환이다.

연구팀이 2013년 1년간 분당서울대병원에 입원한 환자 2만 1261명의 기록을 분석한 결과, '급성 신손상' 단계는 이르지 않았지만 '급성 신손상 전단계(pre-AKI)'에 해당하는 환자군은 정상적 신장 기능을 가진 환자에 비해 단기 사망 위험도는 약 2.1배, 2년 이상 장기 추적시 사망 위험도는 1.4배나 높았다. 또한 급성 신손상 전단계 환자들의 평균 입원기간은 평균 3.7일 더 길었고, 입원비도 약 99만5500원을 더 지불하는 등 급성 신손상 전단계 환자의 신체적·시간적·경제적 손해가 컸다.

김세중 교수<사진>는 "그 동안 사용해 왔던 국제신장학회의 급성 신손상 기준은 사실 임의 기준임에도 지나치게 이에 의존해왔던 것 같다"며, "이번 연구에서는 그 동안 사각지대에 놓여 있던 '급성 신손상 전단계' 환자의 예후가 객관적으로 평가된 만큼, 새로운 기준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소형기자 compact@sportschosun.com

'핵꿀잼' 펀펌+'핵미녀' 디바[스포츠조선 바로가기] [스포츠조선 페이스북]
- Copyrightsⓒ스포츠조선(http://sports.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향수샤워젤' 8,900원 72%할인 '3일간만' 악마의 유혹~
 ▲ '풍문쇼' “은지원, 고모 박대통령 부담…”
 ▲ 섹시 스타, 잠자는 아내 누드 공개
 ▲ 설리 또 속옷 미착용…길거리에서 '눈살'
 ▲ 의사 “딘딘, 이 정도면 남성 기능 상실…”
 ▲ 아내·내연남, 한 침대에…남편의 응징
삼성컴퓨터 '10만원'대 판매, 전시제품 80% 할인, 초대박 세일!
남성의 정력! 힘! 파워! '7일 무료체험'... 하루 한알로 불끈!
퍼터의 혁명, 놀라운 직진성에 '10타' 줄이기 성공!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