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네이버 국어사전 검색 1위 신조어는 '츤데레'

2016. 12. 27. 06:1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인터넷을 통해 새로운 단어가 속속 등장하는 가운데 올해 네이버 국어사전에서 이용자가 가장 많이 찾아본 신조어는 무엇일까.

27일 네이버의 사전 서비스 공식 블로그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네이버 모바일 국어사전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신조어는 '츤데레'인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올해 국어사전에서 많이 검색된 종합 인기 검색어 1위에는 '사과'가 올랐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어남류'·'어그로'도 관심..종합 검색어 1위는 '사과'
'응팔'의 류준열 지난 2월 24일 오전 서울 강남구 CGV 압구정점에서 열린 영화 '글로리데이' 제작발표회에서 배우 류준열이 참석해 웃고 있다.

'어남류'·'어그로'도 관심…종합 검색어 1위는 '사과'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인터넷을 통해 새로운 단어가 속속 등장하는 가운데 올해 네이버 국어사전에서 이용자가 가장 많이 찾아본 신조어는 무엇일까.

27일 네이버의 사전 서비스 공식 블로그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네이버 모바일 국어사전에서 가장 많이 검색된 신조어는 '츤데레'인 것으로 집계됐다.

인터넷에서 유행한 이 단어는 새침하고 퉁명스러운 모습을 나타내는 일본어 의태어인 '츤츤'(つんつん)과 달라붙는 모습을 표현하는 '데레데레'(でれでれ)가 합쳐진 말이다.

겉으로는 쌀쌀맞아 보이지만 알고 보면 잘 챙겨주는, 속정이 깊은 사람을 뜻한다. 일본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등에서 주로 사용되었지만, 최근에는 일상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다.

인기 신조어 2위는 드라마 '응답하라 1988'로 비롯된 '어남류'였다. '어차피 남편은 류준열'의 준말로, 극 중 성덕선(혜리)의 남편은 어차피 김정환(류준열)이라는 의미다.

3위에는 '어그로'가 올랐다. 이 단어는 눈길을 끌 만한 글이나 사진, 동영상 등을 올려서 온라인상에서 관심을 받는 것 또는 그런 행동을 뜻하지만, 부정적 의미가 내포돼있다.

서로 궁금한 점을 묻고 답하는 지식인(iN)에서 유래한 단어도 관심을 받았다. 놀이터에서 데려온 새끼 새를 묻는 말에 '화질구지'라고 사진 상태를 지적한 단어가 그것이다.

'예전이나 지금이나 앞으로도 사랑해'라는 문장의 앞글자만 딴 '예지앞사'도 작년에 이어 상위권에 올랐다. 이 단어는 아이돌 그룹 비투비(BTOB)의 멤버 창섭이 먼저 썼다.

한편, 올해 국어사전에서 많이 검색된 종합 인기 검색어 1위에는 '사과'가 올랐다. 단어는 '자기의 잘못 인정하고 용서를 빎', '사과나무의 열매' 등 여러 뜻으로 쓰였다.

작년과 비교해 새롭게 검색어 순위에 들어온 단어에는 '졸혼'(결혼을 졸업함), '헬조선'(지옥을 뜻하는 '헬'과 조선의 합성어), '농단' 등이 포함돼 시대상을 엿볼 수 있었다.

네이버는 기존 사전에 등재되지 않았지만, 일상에서 많이 쓰이는 신조어나 유행어 등을 이용자가 직접 등록하고 다른 이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오픈 국어'를 운영하고 있다.

네이버 국어사전의 2016년 새로운 인기 검색어(왼쪽)와 인기 신조어(오른쪽) [홈페이지 캡처]

yes@yna.co.kr

☞ "7세 딸 자살폭탄테러 시킨 지하드 추종 부모"
☞ '고양이에 맡긴 생선가게'…차병원 일가 멋대로 제대혈 시술
☞ 러시아 피겨 소트니코바도 도핑 의혹? 김연아 금 되찾나
☞ 감방서 입 뗀 최순실…"어제 기억도 없는데 세월호 기억나겠나"
☞ 포스터 한 장 무심코 태웠다가…50대 방화죄로 징역형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