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무학_주가, 거래량, 투심 모두 적정주순

2016. 10. 20. 14:5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위험대비수익률 -2.0, 업종지수보다 낮아

20일 오후 2시50분 현재 전일대비 2.57% 하락하면서 22,750원을 기록하고 있는 무학은 지난 1개월간 4.41% 하락했다. 동기간 동안 주가움직임의 위험지표인 표준편차는 2.1%를 기록했다. 이는 음식료품 업종내에서 주요종목들과 비교해볼 때 무학의 월간 주가등락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했음에도 변동성은 상대적으로 적정수준을 유지한 셈이다. 최근 1개월을 기준으로 무학의 위험을 고려한 수익률은 -2.0을 기록했는데, 주가는 하락했지만 위험대비 수익률은 주요종목군 내에서 중간 수준을 유지했다. 다만 음식료품업종의 위험대비수익률 -1.7보다는 낮았기 때문에 업종대비 성과는 긍정적으로 보기 어렵다.
다음으로 업종과 시장을 비교해보면 무학이 속해 있는 음식료품업종은 코스피지수보다 변동성은 높고, 등락률은 낮은 모습이다. 하락할 때 지수보다 탄력을 받고 있다는 의미이다.
  표준편차 수익율 위험대비 수익율
동원F&B 2.4% -5.8% -2.3
해태제과식품 2.4% -8.4% -3.4
무학 2.1% -4.4% -2.0
빙그레 1.7% 10.7% 6.3
롯데푸드 1.6% 0.7% 0.4
코스피 0.5% 0.7% 1.4
음식료품 0.9% -1.6% -1.7

관련종목들은 상승 우위, 음식료품업종 -0.53%
동원F&B
205,000원
▼9000(-4.21%)
해태제과식품
19,650원
▲100(+0.51%)
롯데푸드
687,000원
▲5000(+0.73%)
빙그레
64,000원
▲300(+0.47%)
증권사 목표주가 45,000원, 현재주가 대비 97% 추가 상승여력




8월17일에 무학 2/4분기(2016년4월~6월)실적 발표됨
<발표치> 매출액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2/4분기 699.4억 148.6억 135.2억
직전분기 대비 6.0% 증가 30.3% 증가 112.0% 증가
전년동기 대비 0.2% 감소 5.7% 감소 14.8% 증가

[재무분석 특징]
업종내 시가총액 규모가 가장 비슷한 4개 종목과 비교해보면 무학은 자산가치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나타내는 PBR과 순이익대비 현재의 주가수준을 보여주는 PER이 모두 상대적으로 적정한 수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무학 빙그레 해태제과식품 동원F&B 롯데푸드
ROE 5.1 3.5 6.6 10.1 5.7
PER 29.9 35.8 31.2 15.7 18.2
PBR 1.5 1.2 2.1 1.6 1.0
기준년월 2016년6월 2016년6월 2016년6월 2016년6월

외국인과 기관은 순매도, 개인은 순매수(한달누적)
10월13일부터 전일까지 기관과 외국인 모두 5거래일연속 동종목을 내다 팔았다. 4주간을 기준으로 보면 외국인이 매도 우위를 지속하면서 80,159주를 순매도했고, 기관도 순매수에서 순매도로 반전되면서 3,743주를 순매도했지만, 개인은 오히려 순매수량을 늘리며 83,902주를 순매수했다.

투자주체별 누적순매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은 0.16%로 적정수준
최근 한달간 무학의 상장주식수 대비 거래량을 비교해보니 일별 매매회전율이 0.16%로 집계됐다. 그리고 동기간 장중 저점과 고점의 차이인 일평균 주가변동률을 3.44%를 나타내고 있다.

거래비중 기관 15.02%, 외국인 18.99%
최근 한달간 주체별 거래비중을 살펴보면 개인이 65.97%로 가장 높은 참여율을 보였고, 외국인이 18.99%를 보였으며 기관은 15.02%를 나타냈다. 그리고 최근 5일간 거래비중은 개인 비중이 65.64%로 가장 높았고, 기관이 17.59%로 그 뒤를 이었다. 외국인은 16.76%를 나타냈다.

투자주체별 매매비중
*기관과 외국인을 제외한 개인 및 기타법인 등의 주체는 모두 개인으로 간주하였음

주가, 거래량, 투심 모두 적정주순
현주가를 최근의 주가변화폭을 기준으로 본다면 특정 방향으로의 추세는 확인되지 않고, 거래량 지표로 볼 때는 적정한 수준에서 특별한 변화는 포착되지 않고 있다. 실리적인 측면에서는 투자자들은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보이고 있고 이동평균선들의 배열도를 분석을 해보면 중기적 관점에서 불완전 정배열상태를 보이며 하락으로 추세전환 신호가 나오고 있다.

주요 매물구간인 24,250원선이 저항대로 작용


[포인트검색]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