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은 지금, 재건축아파트 가격만 치솟는 '디커플링'

김기정 2016. 10. 5. 17:2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저금리 부동자금 몰리며 안전자산으로 가치 부각

저금리에 부동자금이 몰리면서 강남 재건축 아파트 가격이 큰 폭으로 상승했다. 하지만 재건축 대상이 아닌 일반 아파트들은 가격 상승이 미미한 수준에 그쳤다. 같은 강남 대치동에서도 올해 초 대치아이파크 보다 1억원 이상 낮았던 은마아파트는 재건축 기대감이 불붙으며 8개월 만에 가격을 역전시켰다.

5일 매일경제신문이 신한은행과 공동으로 서울시, 부동산114 자료를 기반으로 최근 4년간 서울지역 164개 재건축 단지와 일반 아파트 단지의 실거래 가격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재건축 단지의 가격 상승률이 일반 아파트 단지의 가격 상승률을 크게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서울지역 재건축 아파트는 2014년 6.33%, 2015년 9.11%, 올해는 9월30일 기준 연초보다 13.36%가 올랐다. 반면 일반 아파트는 각각 1.65%, 5.54%, 3.77% 상승에 그쳤다.

특히 올해 들어 재건축 아파트와 기존 아파트 가격간 탈동조화(decoupling·디커플링) 현상이 두드러졌다. 재건축 아파트는 올 1분기 0.13% 하락했지만 곧 상승세로 돌아서 2분기 6.6%, 3분기 6.41%의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일반 아파트는 같은 기간 각각 0.3%, 1.18%, 2.26%가 올라 재건축 아파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름폭이 적었다.

같은 지역에서도 재건축 아파트와 일반 아파트의 가격 상승폭이 크게 차이 났다.

강남구 대치동 재건축 대상인 은마아파트(전용84.43㎡)는 올해 1월 10억6500만원에 거래됐다 8월에는 13억원에 매매가 이뤄졌다. 매매가 상승률이 무려 22%에 달한다. 같은 동 대치 아이파크(전용84.95㎡)는 같은 기간 11억8000만원에서 12억5000만원으로 5.93% 상승에 그쳤다.

개포주공1단지(전용 50.64㎡)는 올해 1월 8억7300만원에서 8월에는 11억3000만원으로 뛰었다. 반면 인근 우성 9차는 전용84㎡가 같은기간 8억원에서 8억3000만원으로 오르는데 그쳤다. 매매가 상승률은 개포주공 1단지가 29.4%, 우성 9차는 3.75%다.

예전에는 강남 재건축 아파트 상승세가 인근의 기존 아파트 가격까지 밀어 올렸지만 이번 상승장에서는 재건축과 기존 아파트간 탈동조화가 심화되는 추세다.

신정섭 신한은행 부동산팀장은 “재건축은 수익과 위험이 모두 큰 투자유형이지만 올 들어 반포한양과 개포주공2, 3단지 등이 높은 분양가에도 인기를 끌자 시장에서는 강남 재건축에 대한 불확실성이 낮게 인식되며 투자수요가 늘었다”고 말했다.

강남 재건축과 일반 아파트 단지간 가격 디커플링 현상은 앞으로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건물만 새로 지어지면 교통, 학군, 인문환경 등 최적의 주거여건이 갖춰지게 되는 강남재건축 단지에 투자하려는 대기 수요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또 2013년 말 부터 이어진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전체 주택수급의 문제라기 보다는 강남 재건축 특수에 따른 ‘착시현상’이란 분석도 가능하다. 강남 재건축으로 부동자금이 계속 모이는 것은 역설적으로 전체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이 점점 커지고 있기 때문이란 해석도 나온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경기가 좋을 때는 모든 지역의 부동산이 다 올랐지만 지금은 저금리로 인한 부동자금이 좀더 안전한 투자처를 찾는 상황”이라며 “강남 재건축이 부유층 사이에 안전자산으로 인식되고 있어 앞으로 당분간 가격 디커플링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기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