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년來 최대물량 "시장 소화" vs "집값 폭락"

송학주 기자 2016. 10. 4. 05: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입주대란 공포 '무럭무럭'] <하> 과연 2017~2018년 입주대란 올까.."금리, 국내 경제상황 등 고려해야"

[머니투데이 송학주 기자] [[입주대란 공포 '무럭무럭']<하> 과연 2017~2018년 입주대란 올까…"금리, 국내 경제상황 등 고려해야"]

내년 아파트 입주 물량이 19년만에 최대인 것으로 조사되면서 입주자를 찾지 못한 주택이 넘쳐 날 것이란 '입주대란설'이 고개를 들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미분양이 속출하고 역전세난(세입자를 구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것이란 의견이 있는가 반면 충분히 시장에서 소화 가능하다는 주장을 펴는 등 입장이 갈린다.

입주대란설의 근거는 무엇보다 공급과잉이다. 최근 2~3년간 극심한 전세난을 피해 내집마련에 나선 무주택자를 잡기 위해 건설사들이 앞다퉈 밀어내기 분양에 나서면서 2007~2008년의 악몽이 재현될 것이란 우려가 팽배해지고 있다.

지난달 30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분양가상한제 시행을 앞두고 신규분양과 인허가가 급증했던 2007년(31만4009가구)과 20008년(32만215가구) 아파트 입주 물량보다 2017~2018년 입주물량(76만1012가구)이 12만6788가구나 많다.

내년부터 공급과잉에 따른 입주대란과 집값 폭락, 하우스푸어 양산 등의 후유증이 더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경제여건도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크게 다르지 않다. 금리가 인상되면 이자 부담을 견디지 못한 집주인이 집을 내놓으면서 집값이 폭락할 것이란 전망이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2000년 이후 최대 물량이 공급되면서 지역에 따라선 전매가 안되고 기존 집이 팔리지 않는 등 입주자의 유동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올해 물량까지 합치면 일종의 공급과잉 쇼크도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승섭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부동산감시팀 부장은 "최근 밀어내기 분양이 이어지는 것은 건설사 스스로도 지금과 같은 주택경기가 얼마 가지 못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공급과잉이 발생할 경우 입주자들의 피해만 가중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주택의 실질 수요층이 줄고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는 분석도 있다.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 따르면 생산가능인구(15~64세)가 올해 3704만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7년 3702만명 △2018년 3693만명 △2019년 3679만명 등으로 계속 감소한다. 주택을 구입할 수 있는 수요층이 갈수록 줄어드는 셈이다.

송인호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집을 구입할 수 있는 수요가 줄어드는데 공급이 급증하면 문제가 생기기 마련"이라며 "일본도 1990년부터 생산 가능 인구가 줄어들면서 주택 가격이 동반 하락했다"고 강조했다.

반면 아직은 공급 과잉이라고 단정하긴 이르다는 반론도 있다. 최근 공급 물량이 늘긴 했지만 2008년 이후 4~5년 동안 공급이 확 줄었던 걸 감안하면 2008년의 악몽이 되풀이될 정도의 과잉이라고까지 보기 어렵다는 주장이다.

실제 2008년 이후 입주물량을 살펴보면 △2009년 28만4946가구 △2010년 29만8436가구 △2011년 21만5960가구 △2012년 17만8768가구 △2013년 19만5949가구 등 급감했다. 게다가 지난해 정부가 2017년까지 신도시 개발을 중단하겠다고 발표하면서 내년부터 대규모 택지공급이 없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국토부 관계자는 "입주 가구 수가 크게 늘어나는 것은 맞지만 그렇다고 해서 입주 대란까지 벌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며 "5~6년간 주택 공급이 부족했던 까닭에 단기간에 늘어난 주택 공급 물량은 시장에서 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 부동산전문위원은 "매매가격은 수요·공급뿐 아니라 미래가치도 반영되기 때문에 입주물량만으로 집값이 하락할 것이라고 단정짓기 어렵다"며 "실제 입주대란 여부는 앞으로 금리와 중국발 경제위기, 국내 경제상황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학주 기자 hakju@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