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지나 데이비스, 영화·드라마 성평등 지수 공개

양홍주 2016. 9. 25. 14:2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995년 영화 컷스로트 아일랜드에 출연한 지나 데이비스. 한국일보 자료사진

여성 권익 신장을 위해 노력해온 할리우드 배우 지나 데이비스(60)가 영화ㆍ드라마 등의 성평등 수준을 수치화해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지수 ‘지나 데이비스 포용 지수(일명 GD-IQ)’를 만들었다. 미 NBC방송이 24일(현지시간) 소개한 이 지수는 구글, 미국 남가주대학(USC) 그리고 ‘언론에 등장하는 성(性)을 연구하는 지나 데이비스 재단’이 공동 개발한 것으로 영화, 드라마에서 남녀 배우의 출연시간 및 대사 분량, 대화의 질을 토대로 얼마나 성차별적인지를 가늠케 한다.

NBC에 따르면 데이비스 재단이 지나 데이비스 포용 지수를 설정하기 위해 지난해 비 애니메이션 영화 및 드라마 200편을 분석한 결과 남자 배우들의 출연 분량은 28.5%로 여자 배우들(16%)의 두 배에 육박했다. 대사 분량에 있어서도 남자 배우들(28.4%)이 여자 배우들(15.4%)을 크게 앞섰다.

데이비스는 “할리우드 등 제작사들이 일부러 여성을 소외했다기보다 무의식적인 편견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남성 위주 선입견에 붙잡히지 않은 영화들이 종종 놀라운 결과를 보여주기도 한다고 덧붙이며 “활을 든 여성 주인공이 나오는 영화 ‘헝거 게임’, 픽사의 애니메이션 ‘브레이브’ 덕분에 실제 많은 여성이 양궁에 폭발적인 관심을 보였다”고 말했다. 드라마 ‘커맨더 인 치프’에서 미국 최초의 여성 대통령을 연기했던 데이비스는 대본 원작에 나온 남자와 여자의 배역 비중 조정을 위해 수년간 할리우드를 상대로 로비를 벌여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양홍주기자 yanghong@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