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HTING ITEM

매거진 2016. 9. 12. 09:2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빛을 맞이하는 법

꽃 하나만으로 집안의 분위기가 화사하게 살아나듯, 적재적소에 놓기만 해도 공간에 포인트가 되는 조명. 스타일별 조명 제안과 설치 시 체크 사항을 함께 소개한다.



Floor Lamps


1  온화한 불빛의 LED 조명이 두 줄로 장착된 moooi의 Prop Light. 밝기 조절이 가능하고 Round와 Vertical 등 두 가지 디자인이 있다. W25×H107(㎝) wellz

2  1947년 디자인된 Grasshopper 램프는 뒤로 기울어진 스틸 소재의 몸체와 원뿔형 쉐이드로, 빛의 방향을 바꿀 수 있어 눈부심을 최소화한다. W43.5×H125.5(㎝) rooming

3  스마트폰 무선 충전 기능을 가진 플로어 램프 VARV. 제품에 USB 포트가 설치되어 동시에 2대의 기기를 충전할 수 있다. Ø30×H169(㎝) ikea

4  바퀴가 달려 있어 이동이 편리한 Mirobolite 램프는 컬러풀한 색감으로 산뜻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각도 조절도 쉬워 원하는 방향으로 빛 조절이 가능하다. Ø29×H106.5~260(㎝), 사용전구 : E27(최대 60W) rooming

5  Bertjan Pot가 디자인한 Random 조명은 합성수지실을 임의로 엉키게 해 구(球) 형태로 만들어졌다. 조명을 켜면 마치 보름달이 떠 있는 듯한 느낌이 든다. Ø50×H187, Ø80×H205(㎝) wellz

6  TECNOLUMEN社의 BST 23는 Gyula Pap에 의해 1923년 처음 제작된 조명으로, 단순하지만 디테일이 살아 있다. Ø37×H168×Ø40(㎝), 사용전구 : E27(최대 75W) chapter1


TIP 1 - 전구 교체 전, 체크 사항

전구 교체 전, 가장 먼저 체크해야 할 것이 바로 ‘소켓의 규격’이다. 소켓은 전원과 전구를 연결하는 장치로, 돌려 끼우는 일반적인 형태의 전구인 경우 패키지에 ‘E14, E17, E26, E27, E39’와 같은 표시가 되어 있는데, 이것이 소켓의 지름을 의미한다. 보통 가정용 전구는 소켓 지름 26㎜ 즉, E26을 사용하고, 샹들리에나 인테리어 조명에는 E14, E17 등이 많이 쓰인다.

기존 사용 전구의 ‘와트(W)’도 미리 확인해야 한다. 특히 일반 전구에서 LED 전구로 교체 시 몇 와트의 제품을 구입해야 할지 헷갈릴 수 있는데, 이는 아래 표를 참조하도록 한다.


Pendant Lamps

Side Table  : Normann Copenhagen Box Table
innometsa / Sofa : ferm living TURN SOFA 3 hpix 


1  줄을 당기면 각각의 조각들이 갈라져 전체등에서 무드등으로 변신하는 PS 2014. 조각 틈으로 새어 나오는 불빛은 천장과 벽에 멋진 패턴을 만든다. Ø35㎝ ikea

2  MENU의 GM 시리즈 팬던트 조명은 지름 15㎝, 30㎝ 두 가지 사이즈로 구성되어 있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색상과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Ø30×H21(㎝) hpix

3  계란판지를 재활용해 만든 seletti의 Columbus 친환경 조명. 로맨틱한 모양과 새빨간 전선이 어우러져 공간에 포인트가 되어준다. Ø35㎝ rooming

4  Normann Copenhagen의 Amp 램프. 전구가 포함되어 있고, 추후 E14 전구로 호환 가능하다. H17×D14(㎝), H26×D11.2(㎝) innometsa

5  Work 램프는 조명 상단에 on/off 스위치가 있고, 전선 중간에 밝기 조절이 가능한 기능을 갖췄다. Ø15×H21(㎝) chapter1

6  Verner Panton이 1969년 디자인한 Flower Pot. 크기가 서로 다른 두 개의 반구체를 조합하여 만들었다. Ø23×H16(㎝) innometsa


TIP 2 - 조명의 색온도

색온도란, 쉽게 전구의 색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는 켈빈(K)이라는 단위로 표시되는데, 켈빈 값이 낮을수록 따뜻한 느낌의 색(주황색)을 띠고, 높을수록 차가운 느낌의 색(파란색)을 띤다. 직접 구입할 때는 이런 켈빈 값보다 더 쉽게 색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으니, 바로 주광색, 주백색, 전구색 표시이다.

주광색(Cool daylight)은 일반 형광등 색으로, 6,500K 정도로 약간 푸른빛이 도는 흰색을 띤다. 살짝 노란 아이보리 빛깔의 주백색(Natural white)은 4,000K 정도로 태양광에 근접한 색온도이며, 전구색(Warm white)은 약 3,000K의 강한 주황색을 띠는 일반 백열전구색이다. 이런 색온도를 직접 고를 때는 장소와 용도에 따라 선택하면 되는데, 따뜻하고 아늑한 느낌을 주는 전구색은 화장실, 현관, 베란다 등에 적합하고 활기찬 분위기의 주광색은 환한 느낌이 필요한 거실이나 놀이방에 쓰면 좋다.


Table Lamps

Table : Bonaldo Octa wellz 


1  무선 충전이 가능해 기능적이면서도 집안 분위기와 잘 어울리는 RIGGAD는, LED 전구를 사용하여 백열등보다 에너지 소비량이 최대 85% 낮다. Ø6×H43(㎝) ikea

2  Cloche 테이블 램프. 무게감 있는 철 소재의 몸체가 조명의 중심을 잡아주고 넉넉한 길이의 케이블로 편리함을 더했다. W13.5×D46.1×H42.8(㎝), 사용전구 : E14 LED 5W rooming

3  직접 불어 만든 유리로 제작된 Kaipo는 Smoke, Red, White 3가지 색상이 있다. 조명 밝기를 조절하는 디머 스위치로 분위기에 어울리는 연출이 가능하다. Ø39×H86(㎝) wellz

4  Blom은 Andreas Engesvik가 만든 제품으로, 두 꽃잎을 좌우로 움직여 조도를 조절할 수 있고 적정온도가 유지되도록 안전성을 고려했다. Ø15×H24(㎝) rooming

5  이탈리아 Oluce社의 Atollo 239 조명. 원뿔과 반구 모양의 기하학적인 형태가 특징이며 마치 공중에 떠있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Ø38×H50(㎝), 사용전구 : E14(최대 75W) chapter1

6  특수 가공된 종이로 만들어진 PION 램프는 파우더 코팅이 되어 있어 은은한 빛을 연출하는 데 그만이다. 사이즈는 Small, Large 두 가지로 출시되었다. Large : W49.5×D14.8×H66(㎝), 사용전구 : E26 LED 13W innometsa


TIP 3 - LED 조명에 대한 궁금증

Q LED 조명의 수명은 무한대?

A 기존 조명보다 수명이 긴 것은 맞지만, 영구적인 건 아니다. 여기서 체크해야 할 것이 바로 광속유지율! 광속유지율이란 2,000시간이 지난 뒤 처음 밝기와 비교한 비율로, 수치가 높을수록 우 수한 제품이다. 조명을 구입할 때 패키지나 설명서에 나와 있는 광속유지율을 꼭 확인하도록 한다.


Q 기존 조명보다 LED 조명이 훨씬 밝다.

A ‘얼마나 빛을 내는지’에 대해선 ‘정격광속’을 확인하면 된다. 빛의 밝기는 와트(W)가 아닌 광량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LED의 경우 기존 전구보다 루멘(lumen) 값이 더 적은 걸 골라도 같은 밝기를 낼 수 있는데, 표면 전체로 빛을 방출하는 일반 전구와 달리 LED는 한 방향으로만 빛을 보내서이다. 결과적으로 대상을 비추는데 필요한 양의 빛만을 쓰니, 밝고 그만큼 에너지도 아끼게 된다.


Q LED 조명은 뜨겁지 않다?

A 보통 일반 백열램프는 불을 켜면 필라멘트에 전류가 흐르며 열이 발생해 매우 뜨겁지만 LED 조명은 아무리 오래 불을 켜도 뜨겁지 않다. 일반 조명처럼 적외선 열을 방출하지 않고 가시광선만 내보내기 때문. 대신 전기가 빛으로 변환될 때 약간의 열이 나지만 LED 조명 안에는 열을 흡수하는 방열판이 있어 문제없다.


자료참고_ 필립스 라이팅 코리아  www.lighting.philips.co.kr

취재_ 김연정

ⓒ월간 전원속의 내집 2016년 9월호 / Vol.211


Copyright © 월간 전원속의 내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