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매매가 역대 최고 수준..3.3㎡당 1854만원

오경묵 기자 2016. 9. 9. 12: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간시황]이번주 서울 아파트 0.29%, 재건축 0.60% 뛰어 휴가철 끝나고 이사철 접어들며 전세시장도 다시 강세
© News1 방은영 디자이너

(서울=뉴스1) 오경묵 기자 =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가 무섭다. 2010년 3월 최고점을 찍은 이후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하락세를 보였으나 올 들어 강남권 아파트 분양흥행에 힘입은 재건축 아파트의 폭등으로 전고점을 회복했다.

9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9월 첫째 주 서울 아파트 3.3㎡당 매매가는 1854만원을 기록했다. 2010년 3월 기록한 전고점 1848만원을 넘어섰다. 2013년 12월 1622만원으로 2010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고 이후 LTV·DTI 등 부동산 경기부양책에 힘입어 꾸준한 상승세를 보였다.

이번주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29% 올랐다. 전주 대비 상승폭이 커졌다. 재건축 아파트도 0.60%나 뛰었다. 구별로 살펴보면 Δ서초(0.49%) Δ강남(0.38%) Δ양천(0.38%) Δ송파(0.37%) Δ마포(0.37%) Δ구로(0.36%) 순으로 오름폭이 컸다. 서초는 분양을 목전에 둔 아크로리버뷰, 래미안신반포리오센트 등에 대한 기대감에 힘입어 가격이 올랐다. 잠원동 한신17차가 5000만~6000만원,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반포가 2500만~5000만원 가량 올랐다. 강남은 개포주공2·3단지 분양 이후 관심이 높아지며 대치동 은마아파트가 3500만~4000만원 뛰었다.

신도시는 Δ일산(0.11%) Δ분당(0.10%) Δ위례(0.08%) Δ평촌(0.05%) Δ중동(0.03%)이 상승했다. 일산은 테크노밸리 조성 호재로 소형 아파트 위주로 투자수요가 꾸준히 이어졌다. 백석동 흰돌1단지금호타운이 1000만원, 대화동 성저3단지풍림이 500만원가량 올랐다. 위례는 8·25 가계부채 대책 이후 수도권 택지의 희소성이 높아지며 수요도 많아졌다. 위례에코앤롯데캐슬이 1500만원 올랐다.

경기ㆍ인천은 Δ광명(0.19%) Δ고양(0.16%) Δ남양주(0.14%) Δ안양(0.12%) Δ의정부(0.11%) Δ파주(0.08%) Δ부천(0.06%) Δ수원(0.05%) Δ구리(0.04%) Δ군포(0.04%) Δ김포(0.04%) 순으로 올랐다. 광명은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개통 이후 매물이 소진되며 매매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다. 하안동 주공12단지가 1000만원, 현대1단지가 250만원 가량 올랐다. 남양주는 전세수요의 매매전환으로 인해 오남읍 금호어울림이 750만~1250만원 상승했다.

© News1 방은영 디자이너

전세시장은 휴가 시즌이 끝나면서 이사수요가 늘어 상승폭이 커졌다. 이번 주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0.09% 상승했다. 저가 매물이 많은 관악·광진·도봉 등이 상승세를 이끌었다. Δ관악(0.45%) Δ도봉(0.37%) Δ광진(0.25%) Δ은평(0.24%) Δ금천(0.22%) 순으로 상승했다. 관악구는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개통 이후 강남권 진입이 편리해 지면서 전세수요가 부쩍 늘었다. 봉천동 관악드림타운이 500만~1000만원, 신림동 신림푸르지오가 1000만원 정도 올랐다.

신도시는 0.06% 상승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Δ위례(0.20%) Δ광교(0.16%) Δ일산(0.10%) Δ분당(0.09%) Δ중동(0.08%) 순으로 전셋값이 올랐다. 위례는 입주가 본격화되면서 상승세가 이어졌다. 하남시 학암동 위례엠코타운센트로엘이 1000만~2000만원 정도 올랐다. 광교는 수원시 이의동 광교오드카운티가 4500만원가량 상승했다. 순수 전세매물이 귀한 분당은 야탑동 장미코오롱이 500만~1000만원 뛰었다.

이번주 전셋값이 0.05% 오른 경기ㆍ인천은 Δ성남(0.20%) Δ수원(0.15%) Δ의정부(0.14%) Δ남양주(0.13%) Δ파주(0.11%) Δ고양(0.09%) Δ김포(0.07%) Δ용인(0.06%) Δ군포(0.05%) 순으로 올랐다. 성남은 신흥주공 이주수요 영향으로 전세 매물이 아주 귀하다. 성남동 한빛스위티와 은행동 현대가 1000만원 상승했다. 수원은 대규모 단지 위주로 전셋값이 올랐다. 남양주도 전세 매물 부족 현상으로 인해 상승세가 여전하다.

서성권 부동산114 선임연구원은 "8·25 가계부채 관리대책 발표 이후 서울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오히려 가격이 치솟기 시작하자 후속조치를 최대한 앞당긴다는 게 정부의 방침"이라며 "시장 분위기를 봤을 때 후속조치 시기를 당기더라도 시장을 진정시키기에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notepad@

<저작권자 © 뉴스1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