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속 오히려 저축률 증가..소비절벽 현실화 되나

이규복 2016. 8. 21. 15:5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요 국가들이 경기 부양을 위해 마이너스 금리를 속속 도입했지만 소비와 지출이 확대되기는커녕 오히려 저축률만 높아지는 이상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이울러 각국의 경쟁적 양적완화와 마이너스 금리 도입이 세계 경기침체를 장기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우리나라 역시 예외는 아니다. 경기부양을 위해 막대한 추경예산을 투입하고 1%대의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고 있지만 올해 우리 가계의 저축률은 4년 전인 2012년 대비 2배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최근 저축률 상승은 미래에 대한 불안 등으로 가계가 소비를 줄인데 따른 것으로 가뜩이나 내수가 부진한 상황에서 '소비절벽'이 현실화되는 것이 아니냐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21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가계저축률은 8.66%로 OECD 회원국 중 5위다. 우리나라의 가계저축률은 2011년 3.86%, 2012년 3.90%에서 2013년 5.60%로 껑충 뛴 뒤 2014년 7.18%, 2015년 8.82%로 급상승했다. 올해 우리 가계의 저축률은 4년 전인 2012년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 OECD는 우리나라의 가계저축률이 내년에도 8.66%라는 높은 비율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기준 우리나라의 가계저축률은 OECD 중 스위스(20.13%), 스웨덴(16.45%), 룩셈부르크(17.48%), 독일(10.38%)에 이어 5위에 해당한다.

기본적으로 저축률 상승은 가계 소비재원 확대, 기업 투자재원 확충 등 경제 전반에서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최근 저축률 상승은 미래에 대한 불안 등으로 가계가 소비를 줄인데 따른 것으로 내수부진이 심화가 우려된다. 이 같은 현상은 세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유로 지역 15개국의 가계저축률 평균은 2012년 6.13%에서 2013년 6.36%, 2014년 6.44%, 2015년 6.45%로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저금리를 넘어 마이너스 금리 시대를 연 일본의 경우도 2013년 -0.05%, 2014년 -0.81%에서 2014년에는 1.32%로 2015년에는 2.11%로 오히려 가계저축률이 증가세를 보였다. 미국 역시 2013년 4.76%, 2014년 4.80%, 2015년 5.06%, 2016년 5.17%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 같은 현상에 대해 전문가들은 "우리나라는 물론, 세계적으로 경제에 대한 불안정성과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짐에 따라 가계가 소비를 늘리기보다는 저축을 하는 경향이 강해졌다"며 "가계와 기업의 저축이 많아지면 금융안정성이 높아지고 노인 빈곤율 부담이 완화되는 등의 장점이 있지만, 지금의 경우에는 소비감소로 인한 내수위축이라는 단점이 더 크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소비주력층인 40대 인구의 감소세도 중장기 내수위축의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 통계청의 인구추계에 따르면 40대 인구는 2011년 853만3000명으로 정점을 기록했다. 40대 초반(40∼44세) 인구는 2013년 438만3000명을 찍은 뒤 감소 중이며, 40대 후반(45∼49세) 역시 올해 428만7000명에서 2018년 436만3000명까지 늘다가 이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내년부터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들면서 잠재성장력이 더욱 떨어질 것"이라며 "이에 따라 가계의 소비성향은 계속 저하되고 낮은 수준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즉, 미래에 대한 불안 심리로 인해 소비를 하지 않는 소비절벽이 온다는 얘기다.

이처럼 미래에 대한 불안과 금리가 낮아짐에 따라 가계의 저축률이 증가하는 한편, 금과 부동산 등 대체투자도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전세계 중앙은행들은 327t의 금을 매입했다. 이는 하반기 기준 역대 최대 규모다. 돈이 부동산으로 몰리며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시행 중인 국가들의 지난 1년간 실질주택가격 상승률은 4.3%로 64개국 평균(2.3%)의 2배에 달한다. 스웨덴 스톡홀름은 지난해 아파트 가격이 16%나 오르는 등 부동산 가격 상승속도가 가팔랐다.

국제금융센터는 달러화에 대한 선호 강세, 대체투자 확대, 실질금리 영향력 증가 등이 계속될 경우 경기침체에서 좀처럼 벗어나기 어려울 것으로 진단했다. 디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 금리인하 효과가 상쇄돼 아무리 돈을 풀어도 통화 가치가 되레 상승하고 이 때문에 수입물가가 하락해 디플레이션 압력이 더 커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미국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이 증가할 경우 자산거품, 디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며 금융시장이 더 불안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규복 기자 kblee341@sportschosun.com

OECD 가계저축 예상도

[스포츠조선 바로가기] [페이스북] [트위터]

- Copyrightsⓒ 스포츠조선,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은아, 양준혁 입으로 씻어낸 떡볶이를…
 ▲ 中 '런닝맨' 스타 막장 불륜 사건 '경악'
 ▲ 박잎선, 신봉선 머리채 잡고 난투극
 ▲ “영혼까지 끌어모은” 오승아 비키니
 ▲ “끝판왕 등장” 정순주 아나의 휴가
삼성컴퓨터 '10만원'대 초대박세일! 전시제품 80% 할인!
길용우·이현세의 '이루다 드래곤' 드라이버 67% 할인! 20세트!
퍼터의 혁명, 놀라운 직진성에 '10타' 줄이기 성공!
남성의 정력! 힘! 파워! '7일 무료체험'... 하루 한알로 불끈!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