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자 관리하기 힘든 고혈압·당뇨, 동네의원과 함께 하세요"

2016. 8. 17. 14:4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혼자 관리하기 힘든 고혈압·당뇨, 동네의원과 함께 하세요”
「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참여기관 신청·접수(8.17∼26)
9월부터 동네의원이 지속적 관찰과 상담을 병행하여 만성질환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이 본격 시행된다.
보건복지부(장관 정진엽)는 8.17(수)부터 8.26(금)까지 「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에 참여할 의료기관을 모집한다고 밝혔다.
참여 기관은 의원급 의료기관이며, 고혈압·당뇨병 재진 환자*를 대상으로 한다.
* 적절한 지원과 교육을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고 악화를 감소시킬 수 있는 환자
시범사업에서는 의사가 대면 진료시 환자별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대면진료 사이에 주 1회 이상 주기적으로 혈압․혈당정보를 관찰, 월 2회 이내로 전화 상담을 실시하게 된다.(상세내용 붙임2 참조)
<만성질환 관리 서비스 제공 흐름도>
  1. 환자 등록
    • 인적사항, 질환정보 등록
    • 회원 등록
      • (기본정보)
      • (문진표 작성)
      • (질병정보 조사)
      • (생활습관 평가)
  2. 계획 수립
    • 환자 상태를 평가하여 질환 관리목표 설정 및 제공
      • (측정주기 및 관리목표치 설정)
  3. 지속관찰
    • 환자 생체정보(혈압 ·혈당) 관찰·분석
      • 주1회이상 환자가 생체정보를전송하면 의사는 주기적으로 정보를 확인 후 피드백 (문자 발송 등)
  4. 전화상담
    • 필요시 전화상담을 통해 건강관리
    • 환자 정보를 관찰·분석 후, 검사결과, 약물복용, 질환관리, 생활습관 실천 확인 등 필요시 상담 실시
  5. 점검 및 평가
    • 대면 진료시 치료지침조정 및 평가
    • 1개월 이상 모니터링을 바탕으로 환자의 건강상태 평가 및 다음 진료 계획 수립 및 교육
기존 진찰료와는 별도로 계획수립 및 평가, 지속관찰·관리, 전화 상담 행위에 대한 수가가 책정된다.
< 의원급 만성질환자 지속관리료 시범수가 >
< 의원급 만성질환자 지속관리료 시범수가 >
분류 금액 세부내용
① 계획 수립, 점검 및 평가
주: 대면진찰과 함께 이뤄지며 최대 월1회 산정, 진찰료와 별도 산정하며 해당 행위가 일어나는 월에 청구
9,270
  • 만성질환 관리 데이터를 분석·평가하여 대면진료에 활용하고 환자에게 교육 및 정보 제공
  • 계획 수립 단계에서 관리하고 있는 고혈압·당뇨재진환자의 건강상태와 생활습관 위험요인 체크
② 지속 관찰 관리
주: 주1회 이상 환자의 혈압·혈당 등 정보를 확인하고, 월2회 이상 문자메시지 등 recall·remind 서비스 제공시 산정
10,520
  • 환자가 통신 기능 혈압·혈당계 또는 일반 혈압·혈당계 측정 후, 모바일앱·인터넷 등을 통하여 혈압·혈당 정보를 주1회 전송하고, 의료기관에서 주 단위로 월2회 이상의 recall(문자 발송 등) 서비스 제공
③ 전화 상담
주: 전화 상담 수가 최대 월2회 인정하며, 의원 재진 기본진찰료 수가 적용
7,510
  • 계획단계에서 체크된 생활습관 위험요인등에 대해 상담
  • 전화상담은 의료기관 내에서 진료시간 또는 인접한 시간 내에 실시
  • 사전에 협의된 시간에 의사가 환자에게 전화 또는 환자가 의사에게 사전에 전화상담 요청 후 실시
시범사업 기간 환자의 별도 본인부담은 없으며,
시범사업 참여 환자는 보유한 기존 의료기기를 우선 사용하되, 의료기기가 없거나 의료기기 사용이 익숙하지 않은 일부 환자층(고령자 등)에게는 무선통신용 의료기기를 대여·지급할 예정이다.
참여를 원하는 의료기관은 신청기간 동안 보건복지부에 신청서를 인터넷 또는 우편으로 제출하면 된다.
< 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 참여기관 모집계획 >
  1. 모집대상 : 「의료법」에 따른 의원급 의료기관으로 고혈압·당뇨병 등 만성질환을 관리 할 수 있는 기관
  2. 모집기간 : ‘16.8.17 ∼ 8.26 (10일간)
  3. 접수방법 : 인터넷 접수 또는 등기우편
    • 복지부 : 건강보험공단 요양기관 정보마당(http://medi.nhis.or.kr)
      인터넷 접수 또는 우편제출
      * 우편 제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지원단
      (우편번호 26464) 강원도 원주시 건강로 32, 23층(반곡동, 국민건강보험공단)
  4. 제출서류 : 보건복지부, 대한의사협회 공고문 참조
    • 보건복지부 홈페이지(www.mw.go.kr) → 알림 → 공고
    •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 → 공고입찰 게시판
    • 요양기관 정보마당(http://medi.nhis.or.kr) → 공지사항
아울러, 지역별 사업 설명회를 실시하여 시범사업에 대한 상세한 소개 및 참여 희망 의료기관과의 질의 응답 시간을 진행할 예정이다.
* 8.19일부터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전국 주요 도시 권역별 실시 계획이며, 세부 설명회 일정은 별도 안내 예정
이러한 과정에서 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 운영을 위하여 정부와 의료계가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갈 계획이다.
‘(가칭) 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 TF’를 구성해 시범사업 세부기준 및 관련 S/W 등을 공동으로 마련해 나갈 예정이며,
* 복지부 내 시범사업 추진지원단, 의협내 시범사업 운영지원센터 구성하여 협업 검토
의원급 일차의료기관이 사업주체가 되도록 하는 등 일차의료 살리기 및 의료전달체계 개편 작업과 병행하여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9월초 참여기관이 최종 선정되면, 이후 본격적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하게 된다.
참여 의료기관에 대하여는 선정 후, 관련 정보시스템 사용 방법 등 별도 교육을 실시하고, 환자 교육·관리계획 수립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상담 매뉴얼을 제공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상의 공고문을 참고하면 된다.
<붙임>
  1. 「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 홍보 포스터
  2. 「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 서비스 개요
  3. 「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 질의응답

Copyright © 정책브리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