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바닥 위의 웹툰 급성장.. 웹툰 플랫폼 '피너툰' 1주년 행사

2016. 7. 26. 16:1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웹툰 전문 플랫폼 ‘피너툰’, 서비스 시작 1주년 기념행사 - 한국콘텐츠진흥원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웹툰 플랫폼은 포털·통신사·신문사·웹툰 전문 플랫폼을 포함해 총 28개이고, 여기에 총 4661개의 작품이 연재 중이다. 국내 웹툰 전문 플랫폼 중 한 곳인 ‘피너툰’은 최근 서비스 시작 1주년을 맞아 특별 이벤트를 진행했다. 넥스큐브 제공

1990년대 후반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시작된 ‘웹툰’이 스마트 기기의 대중화를 통해 이제는 많은 사람들이 찾는 대표적인 문화 콘텐츠로 자리잡았다. 한 인기 예능 프로그램도 출연진들이 최근 웹툰 작가들과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웹툰을 직접 그리는 특집 방송을 마련했을 정도다.

웹툰 인기에 힘입어 국내 만화시장 규모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26일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웹툰 산업 현황 및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만화산업 시장 규모는 2005년 4362억원에서 2013년 7976억원으로 약 2배 성장했다. 최근에는 ‘미생’, ‘송곳’, ‘26년’, ‘패션왕’, ‘더파이브’ 등 웹툰을 원작으로 하는 영화와 드라마 제작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며 만화 캐릭터를 상품으로 개발하는 움직임도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다.

이런 웹툰을 볼 수 있는 곳(플랫폼)은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 포털 서비스와 웹툰 전문 플랫폼으로 나뉜다. 2014년 기준으로 웹툰 플랫폼은 포털·통신사·신문사·웹툰 전문 플랫폼을 포함해 총 28개이고, 여기에 총 4661개의 작품이 연재 중이다.

이런 가운테 웹툰 전문 플랫폼 중 한 곳인 ‘피너툰’이 서비스 시작 1주년을 맞았다. 만화 유통 전문기업 ㈜넥스큐브가 만든 피너툰은 지난해 7월 서비스를 시작한 이래 현재 회원 50만명에 1400여편의 만화 콘텐츠를 보유한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지난 1년 동안 100명이 넘는 국내 작가가 피너툰을 통해 웹툰을 연재했다. 이들 중 대다수는 피너툰으로 데뷔해 작가로 자리 잡았다.

피너툰은 서비스 시작 1주년을 맞아 독자들을 대상으로 로고 공모전, 팬아트 이벤트, 유료 웹툰 무료 정주행 이벤트, 축하 댓글 이벤트 등 여러 이벤트를 진행했다. 피너툰과 동고동락 해온 작가들을 위한 이벤트도 눈길을 끌었다. 지난 22일 서울 강남구 임페리얼펠리스 두베홀에서 100여명의 작가들이 참석한 가운데 1주년 기념행사를 진행했다. 행사에는 한국 만화계를 대표하는 이현세 작가, 하승남 작가도 참석했다.

최신혜 넥스큐브 대표이사는 “앞으로도 재능 있는 신인 웹툰 작가 발굴에 힘써 웹툰 생태계를 보호하겠다. 작가들과 함께 성장하는 플랫폼을 만드는 것이 피너툰의 목표”라고 전했다.

웹툰 전문 플랫폼 ‘피너툰’, 서비스 시작 1주년 - 최근 서비스 시작 1주년을 맞은 ‘피너툰’이 마련한 특별 행사에서 한 시민이 피너툰을 스마트폰에 실행시킨 뒤 포즈를 취하고 있다. 넥스큐브 제공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 환경보호 하느라 샤샤샤~ 알뜰살뜰 아이디어 넘치는 당신이라면? (6월 19일까지 참여하세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