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 내 방에 꼭 맞는 심플 책상 만들기

2016. 6. 17. 10:2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겨레] 완제품의 절반 값에 디자인도 내 뜻대로

마음에 쏙 드는 가구를 만나는 것만큼 기분 좋은 일도 별로 없다. 그러나 쉽지 않다. 디자인이 마음에 들면 크기가 맞지 않고, 크기가 맞으면 디자인이 영 마음에 들지 않은 경험은 누구나 있을 것이다. 이럴 때 떠오르는 생각이 ‘차라리 내 손으로 만들고 싶다!’인데, 사실 마음은 굴뚝같지만 손재주도 없는데다 공구도 없고…. 이러저러한 이유로 막상 직접 만들기에 나서는 일도 쉽지 않다. 그러나 막상 나서면 또 어려운 일도 아니다.

책상 정도는 목공을 따로 배우지 않고도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인터넷을 조금만 살피면 목재를 비롯해 만드는 데 필요한 재료를 주문대로 가공해 팔고 있는 사이트가 수두룩하다.

하루가 다르게 커가는 아이에게 꼭 맞는 책상을 선물하고 싶다면, 자기만의 책상이 필요하다는 남편의 목소리가 귀에 맴돈다면, 직접 만들어 보자. 세상에 하나뿐인 책상을 만들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 유통비, 쇼핑 시간도 아낄 수 있어 완제품을 사는 것보다 비용을 50~60%정도 아낄 수 있다. 그중 최고 장점은 공간에 딱 맞는 가구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이다.

재료: 레드파인 집성목, 모던스퀘어 철제다리, 하부 보조목, 사포, 목재 마감 오일, 목공 본드, 천, 소형 드릴 (모두 DIY쇼핑몰에서 살 수 있다).

만드는 과정

1 DIY 쇼핑몰에서 원하는 크기의 목재를 주문한다.(절단 주문을 하면 원하는 크기의 목재를 편하게 받을 수 있다. 각 공간에 맞는 크기와 사용자가 편한 크기에 맞춰 주문한다.(예, 폭 50㎝×길이 100㎝)

2 모던스퀘어 철제다리는 준비한 상판 위에 연필로 위치를 표시하고 소형 드릴로 피스를 고정시킨다.

3 상판에 목공 본드를 바르고 하부 보조목을 나사못으로 단단하게 고정한다. 하부 보조목은 목재가 팽창과 수축으로 휘어지는 것을 막아 준다.

4 테이블을 똑바로 세우고 모서리는 사포로 문지른다.

5 원하는 색의 수성페인트, 수성 스테인을 칠한 뒤 오일을 바른다. 잿빛이나 검은색을 칠하면 북유럽 스타일 느낌을 낼 수 있다. 원목 그대로의 색을 원한다면 색을 입히지 않고 바로 상판에 오일을 묻혀 천이나 스펀지로 꼼꼼하게 문질러 스미게 한다. 최소 세 번은 발라야 한다. 1회 칠하고 2시간 말리고 다시 칠하기를 반복한다.

오일 대 바니쉬

목재용 오일(사진)은 침투력이 좋고 잘 발리며 휘발성이 없다. 목재에 오일을 바르는 이유는 목재의 특징인 보이지 않는 구멍을 채워 변형을 막기 위해서다. 목재는 시간이 지나면 휘거나 갈라지는 등 변형이 되는데, 오일을 발라두면 목재의 특성을 오래도록 보존할 수 있다.

바니쉬(투명 코팅제)는 가구, 책상 등 표면에 막을 형성해 오일에 비해 외부 오염에 강한 편이다. 따라서 오일로 칠을 마감할 때는 최소 세 번 이상 칠하는 게 좋다. 싱크대, 식탁 등 방수가 필요한 면에는 3일 동안 오일을 말린 뒤, 바니쉬를 한 번 더 칠해 주면 된다.

글ㆍ사진 박인정 <리폼 셀프 인테리어> 저자

서울살이 길라잡이 서울앤(www.seouland.com) 취재팀 편집

<한겨레 인기기사>
단식농성 이재명에 보수단체 “일개 시장이 감히 대통령에게…”
‘임우재의 고백’을 왜곡하고 이용하는 사람들
핸드폰처럼…집에서 충전하는 자동차 나왔다
[카드뉴스] 파렴치범도, 정부에 쓴소리한 사람도…‘징역 8년’
[화보] ‘나는 누구일까요?’ 정치인들의 어린 시절

공식 SNS [페이스북][트위터] | [인기화보][인기만화][핫이슈]

Copyrights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는 한국온라인신문협회(www.kona.or.kr)의 디지털뉴스이용규칙에 따른 저작권을 행사합니다.>

Copyright © 한겨레.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크롤링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