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재 데크가 내려앉는 하자의 원인은?

매거진 2016. 5. 26. 10:4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집짓기 하자 체크 ③탄

“외기에 면해 있어 작은 하자쯤은 그냥 넘어가는 목재 데크. 동결선 깊이 준수, 방부목 품질 확인, 규격에 맞는 목재 사용 등 기초 공사를 꼼꼼히 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비용을 절감하는 방법이다.”



아파트를 떠나 단독주택을 선택한 건축주들은 집의 내부만큼이나 외부공간을 어떻게 꾸밀까 고민한다. 이를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현관이나 주방과 연결된 외부공간의 바닥엔 목재 데크가 든든히 버텨주고 있다.

데크는 신발을 신고 이용하기 때문에 외부 충격이 잦고, 비나 눈, 온도 차 등 기상환경으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다 보니 작은 하자쯤은 그냥 넘어가기도 한다. 하지만 데크가 내려앉는 하자는 보행에 위험하고 활동에 불편함을 준다. 따라서 데크 상판 목재의 종류나 도료, 상판 긴결 불량 등으로 인한 하자가 아닌, 기초 시공 부실로 인해 발생하는 데크의 처짐과 빠짐의 원인을 제대로 알아두는 것이 필요하다.

단순히 상판이 빠지거나 연결 불량의 하자는 교체하거나 연결을 새로 해주면 되지만 기초 부실로 인한 하자는 보수 시 큰 공사가 되기 때문에 처음 시공할 때 제대로 해야 추후 비용이 덜 든다.



데크는 직접 사람의 발이 닿는 상판재와 상판을 받쳐주는 장선, 장선을 지지하는 보, 그리고 이 모든 것을 받쳐주는 기둥에 의해 하중이 콘크리트 기초로 전달된다. 콘크리트 기초는 겨울철 어는 땅의 최대 깊이인 동결선을 고려해 그 깊이가 정해져야 한다. 동결선 깊이는 대체로 북동쪽이 높고 남서쪽이 낮은 등고선을 이루며 동결선보다 15㎝ 정도 더 깊이 파서 시멘트 모르타르로 채우고 데크 주춧돌을 세워 콘크리트 기초를 단단히 해야 한다.

데크의 기둥과 장선은 지표면과 직접 접촉하기 때문에 반드시 방부목을 사용해야 한다. 보존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은 방부목을 사용하면 성능이 저하돼 물리적·화학적 변화가 발생한다. 또한 방부목재의 낱개용 품질표시를 확인하여 사용환경 범주나 제조업체, 제조일자 등을 꼼꼼히 따져볼 필요가 있다. 데크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기초의 크기, 두께가 다르고 장선의 길이, 경간도 달라지므로 국제코드위원회에서 발행하는 IRC(International Residential Code) 표를 확인하여 규격에 맞는 적합한 치수의 목재를 선택해 시공하도록 한다.


취재_조성일

ⓒ 월간 전원속의 내집 2016년 5월호 / Vol.207


Copyright © 월간 전원속의 내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