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에 우주선까지, '종이접기' 첨단 과학과 만나다

김지경 2016. 5. 22. 20:4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데스크]
◀ 앵커 ▶

아이들 놀이라고 여겼던 종이접기가 첨단 과학에 응용되고 있습니다.

부피를 줄였다 늘렸다 할 때 그 아이디어를 얻는 건데요.

몸속에 들어가는 초소형 로봇 개발에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부터 보실까요.

김지경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리포트 ▶

절개부위가 작고 회복이 빠른 게 장점인 수술로봇.

관건은 몸속에 들어가는 수술용 로봇 집게가 얼마나 작고 효율적인가입니다.

최근 미국 연구진은 종이접기에서 해결책을 찾았습니다.

기존 부품의 개수를 1/4로 줄여 더욱 작고, 그만큼 더 세밀한 수술이 가능한 로봇 집게를 만든 겁니다.

[스펜서 마글비/미국 브리검영 대학 교수]
"종이접기에서 받은 영감으로 더 작은 의료기기들을 개발할 수 있습니다."

미국 MIT 연구진은 종이접기를 응용해 아이들이 삼킨 건전지를 체외로 배출시키는 로봇을 개발했습니다.

자석이 장착된 이 손톱만 한 로봇을 캡슐에 접어 넣은 뒤 삼키면, 캡슐이 녹은 뒤 몸체를 접었다 폈다 하며 위장 곳곳을 돌아다니다.

건전지를 찾으면 자석으로 붙여서 몸 밖으로 끌어냅니다.

[다니엘라 러스/미국 매사추세츠공대 교수]
"앞으로 이 로봇에 센서를 달고 구조를 바꿔서 자기장을 이용한 외부 조종 없이도 스스로 움직이게 할 계획입니다."

최소로 접어 최대로 펼쳐야 하는 우주선 태양전지판이나, 외계행성을 찾는 초대형 햇빛가리개 우주선도 종이접기에서 해답을 찾는 등, 설계도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변신하는 종이접기의 장점을 첨단과학이 배우고 있습니다.

MBC뉴스 김지경입니다.

(김지경)

[저작권자(c) MBC (www.imnews.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