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홍천, 산마늘 주산지..산간 지역 소득원으로 '우뚝'

G1 정동원 기자 2016. 4. 21. 18: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흔히, 명이나물로 불리는 산마늘은 맛과 향이 좋아 소비가 늘고 있지만 적합한 재배환경을 찾기가 어려워 늘 생산량이 부족한데요, 홍천군이 울릉도와 오대산 고산지대가 원산지인 산마늘의 주산지가 되고 있습니다. 매년 수확할 수 있고 가격도 높아, 산간 지역 농가의 새 소득원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보도에 정동원 기자입니다.

<기자>

해발 800미터 고랭지.

자작나무 숲 사이로 특유의 알싸한 향이 풍깁니다.

톡 쏘는 맛을 내는 산마늘이 겨울을 잘 버티고 훌쩍 자랐습니다.

여기서 재배되는 종은 월정사 스님들이 신선초라 불렀던 오대산 종입니다.

자연 재배를 고집한 탓에 적합한 환경을 찾기 어려워, 씨앗에서 싹을 틔워 심은 지 무려 10년 만에 첫 수확을 했습니다.

[이우준/재배농민 : 소비자들하고 맛으로 승부한다고 했다고, 그래서 10년이나 20년 후에 가면 소비자들이 향을(보고 찾는다고) 노지니까 향으로 승부를 한다고 해가지고 이걸 전부 다 노지로 시작한거죠.]

소화불량에 좋고 콜레스테롤까지 낮추는 효능이 있어 일반 쌈 채소보다 3~4배 비싼 값에 팔릴 만큼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먹으면 명이 길어진다고 해서 명이나물로 불리는 이곳 홍천 산마늘은 지난 2013년 홍천 명이로 지리적 표시 등록도 했습니다.

농가별 직거래를 통해 1kg당 평균 2만 원 선에 판매됩니다.

올해는 100여농가 30ha에서 135톤을 생산해 27억원의 수익을 올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김선경/홍천군농업기술센터 기술보급과장 : 타 지역에서 재배하기 어려운 홍천명이를 홍천군의 전략작목으로 육성하기 위해 면적을 100ha까지 육성하고 가공공장도 농가별로 지원해서….]

홍천 명이로 특화된 홍천산 산마늘은 다음 달 초부터 소비자들에게 개별 직거래를 통해 본격 출하됩니다.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