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전국서 순조롭게 진행..오후 10시께 당락 윤곽(종합)

2016. 4. 13. 11:1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전 11시 투표율 16.1%..직전 총선(19.6%)·지방선거(18.9%)보다 낮아 투표율 60% 돌파 여부 관심..부동층 표심·세대별 투표율 주목
<선택 4.13> 투표 참가하는 시민들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제 20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일인 13일 오후 서울 송파구 송파문화원에 마련된 잠실7동 제1투표소에서 시민들이 투표를 위해 선거인명부를 확인하고 있다.
<선택 4.13> '엄마 누구 뽑아?'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제 20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일인 13일 오후 서울 송파구 송파문화원에 마련된 잠실7동 제1투표소에 마련된 기표소에서 한 부녀가 투표를 하고 있다.
<선택 4.13> 붐비는 투표소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제 20대 국회의원선거 투표일인 13일 오후 서울 송파구 송파문화원에 마련된 잠실7동 제1투표소가 투표하는 시민들로 붐비고 있다.

오전 11시 투표율 16.1%…직전 총선(19.6%)·지방선거(18.9%)보다 낮아

투표율 60% 돌파 여부 관심…부동층 표심·세대별 투표율 주목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 제20대 국회의원을 뽑는 총선거가 13일 오전 6시 전국 253개 선거구 1만3천837개 투표소에서 일제히 시작돼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오전 11시 기준으로 전체 유권자 4천210만398명 가운데 679만2천650명이 투표에 참여해 16.1%의 투표율을 보였다고 밝혔다.

시·도별 투표율은 강원이 19.8%로 가장 높고 제주(18.4%), 전북(18.3%), 충남·전남(각 17.7%), 충북(17.3%), 경북(17.1%) 순이다. 투표율이 가장 낮은 곳은 대전(14.3%)이며, 서울(15.1%), 경남(15.4%), 대구(15.6%), 세종(15.7%), 인천(15.8%), 광주·경기(각 15.9%) 등의 투표율도 낮은 편이다.

전체 투표율은 2014년 지방선거 같은 시간대 투표율(18.9%)보다 2.8%포인트 낮다. 사전투표 없이 치러진 2012년 19대 총선의 오전 11시 기준 투표율(19.6%)과 비교하면 3.5%포인트 낮다.

오전 투표율에는 이번 총선에 처음 도입된 지난 8∼9일 사전투표(투표율 12.2%)가 반영되지 않았다. 사전투표는 이날 오후 1시에 집계되는 투표율부터 합산 반영된다.

선관위는 날씨 등의 영향으로 오전 투표율이 다소 저조하지만, 사전투표가 반영되고 날씨가 개는 오후부터 투표율이 탄력을 받으면 60%를 돌파할 수도 있다고 기대했다.

박근혜 대통령과 양승태 대법원장, 박한철 헌법재판소장, 황교안 국무총리, 이인복 선관위원장 등 주요 인사를 비롯해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 등은 이날 투표소에서 한 표를 행사했다. 정의화 국회의장과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대표는 사전선거 때 투표했다.

투표는 이날 오후 6시에 끝난다. 253개 개표소에서 투표함이 도착하는 즉시 개표가 시작된다.

선관위는 오후 10시 전에 당선자 윤곽이 대부분 드러날 것으로 예상했다.

다만 개표가 늦어지는 지역이나 후보 간 경합이 치열한 지역은 이날 자정을 전후해 당락이 가려질 것으로 내다봤다.

새누리당은 과반(150석 이상) 의석 달성을, 더민주는 현 상태 유지(102∼107석)를, 국민의당은 40석 확보를, 정의당은 10석 이상을 각각 목표로 삼았다.

여야는 지역별로 20∼30%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되는 부동층의 표심, 각종 여론조사에서 투표성향이 높아진 20∼30대와 투표성향이 낮아진 50∼60대 이상의 투표율이 승패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새누리당이 이번 총선에서도 과반 의석을 유지할 경우 박 대통령의 임기 후반기는 비교적 순탄하게 운영되고, 이른바 '노동시장 개혁'과 각종 '경제 활성화' 입법 등에도 한층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반대로 야권은 18대 총선부터 3연패의 수렁에 빠지면서 야권 분열의 책임론이 불거지는 등 내홍이 불가피하고, 내년 대선에서의 정권 교체에도 '빨간불'이 켜질 공산이 크다.

새누리당이 과반 확보에 실패하면 남은 국정 과제의 추진에 제동이 걸리는 것은 물론, 권력이 급격히 분산되면서 '레임덕(권력 누수)'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게 정치권의 관측이다.

야당은 '여소야대(與小野大)'의 국면에서 입법권과 예산 심의권을 최대한 활용, 여당의 주요 정책을 견제하면서 국회 청문회와 국정조사 등으로 정부의 실정을 강조하는 등 정권 교체의 발판을 마련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zheng@yna.co.kr

☞ 선거 관계자 실수로 투표권 박탈당했다면…배상은?
☞ 수족관 탈출한 뉴질랜드 문어, 배수관 타고 바다로 '귀향'
☞ 바지 찢어진 지단 감독 "선수 때는 흥분 안 했는데…"
☞ "프랑스 다락서 발견된 그림은 1천570억원 가치 카라바조 진품"
☞ 세계 드론 대회 석권한 12살 '드론 천재'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