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선무늬 '헤링본'에 푹 빠진 바닥재 업계

이유범 2016. 3. 13. 18: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오늬 모양을 짜맞춘 형태 북유럽풍 디자인으로 인기공간 넓어보여 시각적 효과.. 내오염성·내오염성 '우수'

오늬 모양을 짜맞춘 형태 북유럽풍 디자인으로 인기
공간 넓어보여 시각적 효과.. 내오염성·내오염성 '우수'

LG하우시스가 지난해 선보인 헤링본 시트바닥재 '자연애 스페셜'.
최근 바닥재시장에서 '헤링본(Herringbone)' 디자인 제품이 인기를 모으고 있다. 기존 패션계에서 유행하던 헤링본 디자인이 바닥재 시장까지 넘어온 것. 헤링본 디자인 제품은 공간을 넓어보이게 하고, 내오염성이 우수해 유지관리가 쉬운 것도 장점이라는 분석이다.

1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이건산업은 지난 2014년 11월 '마띠에 헤링본'을 출시한데 이어, 한솔홈데코도 지난해 5월 헤링본 강마루 제품 '울트라 엣지'를 선보였다. LG하우시스는 지난해 9월 헤링본 시트바닥재(장판) '자연애 스페셜'을 선보인데 이어 지난 2월에는 헤링본 강마루 제품 '강그린 리얼(Real) 헤링본'을 출시했다. 여기에 동화자연마루에서도 3월말에서 4월초께 헤링본 마루제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패션계에서 유행하던 헤링본 제품이 바닥재 시장에서 잇달아 출시되고 있는 것이다. 헤링본은 원래 '청어의 뼈'라는 의미로, 물고기의 뼈 모양 혹은 화살의 오늬 같은 모양을 짜 맞춘 무늬를 뜻한다. 독특한 사선 무늬로 인해 그동안 코트 등에 많이 사용돼왔던 패턴이지만 이제는 마루시장의 대세로 자리잡아가는 모습이다.

특히 헤링본 디자인은 '북유럽 스타일'을 선호하는 건축주들 사이에서는 가장 인기 있는 무늬다. 헤링본 시공이 된 마루의 경우, 해당 무늬가 향하는 방향으로 역동적인 뻗음이 느껴지기 때문에 일자형 시공 형태보다 더 넓어보이는 시각적 효과를 가진다. 또 화이트 패턴을 사용할 경우 그 효과가 더욱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능적으로 헤링본 제품에 내마모성과 내오염성이 우수하다는 평가다. LG하우시스의 '강그린 리얼 헤링본'은 제품 표면에 동조엠보와 고강도 표면 보호층을 적용, 마루의 약점으로 꼽히는 찍힘 및 긁힘, 뒤틀림에 대한 내구성을 높였다.

한솔홈데코의 헤링본 강마루엣지는 Al203(산화알루미늄)을 분사한 고강도 표면소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마모와 오염에 강하다. 이건산업의 마띠에 헤링본은 목재 조직에 수지 성분을 주입해 표면 물성을 높이는 'WPC'(Wood Polymer Composite) 공법을 사용한 제품이다. 이 때문에 기존 천연마루 대비 긁힘 방지 성능 2배 이상, 눌림 방지 성능은 1.5배 이상 향상됐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헤링본 디자인의 인기가 이제 옷에서 인테리어로 확산되고 있는 모습"이라며 "디자인과 기능 모두 우수하다는 점에서 인테리어 시장내 인기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leeyb@fnnews.com 이유범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