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원도심 재생> ②'약발 없는' 활성화 대책만 분출

2016. 2. 9. 09: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년 가까이 천문학적 재원 투입에도 성과 없어 주먹구구식 선심성 정책 되풀이..상권침체 여전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25일 오전 제주시 산지천 분수광장에서 '탐라문화광장' 조성 사업 착공식이 열린 가운데 주요 참석 인사들이 발파 버튼을 누르고 있다. 2013.7.25. <<지방기사 참고>> khc@yna.co.kr
(제주=연합뉴스) 박지호 기자 = 3일 오후 제주시 삼도2동 제주목 관아 상공에서 바라본 제주시 원도심. 2016.2.9 jihopark@yna.co.kr
<< 자료사진 >>
(제주=연합뉴스) 김호천 기자 = 제주도가 추진중인 '탐라문화광장' 조성 예정지인 제주시 산지천 일대 모습(사진 상)과 광장 조성 계획도(사진 하). <<지방기사 참고>> 2011.9.21. khc@yna.co.kr

20년 가까이 천문학적 재원 투입에도 성과 없어

주먹구구식 선심성 정책 되풀이…상권침체 여전

(제주=연합뉴스) 변지철 기자 = 제주 원도심 활성화는 20년 가까이 천문학적인 재원을 쏟아부은 행정의 노력에도 가시적인 결실을 보지 못한 난제 중의 난제다.

기존 원도심의 기능과 성격이 바뀌어 정치·사회·경제·문화의 중심지라는 말은 이제 옛말이 됐지만 새로운 색깔을 입히려는 변화 없이 선심성 정책과 주먹구구식 활성화 정책을 되풀이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제주성 일대 옛 도심을 지칭하는 말로 흔히 '구(舊)도심' 또는 '원도심(原都心)'이란 용어가 쓰인다.

제주시가 확장하면서 생겨난 신(新)도심과 구별 짓고자 제주성 일대에 붙여진 이름이 구도심(구제주)이다.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구도심이란 말에서 낡고, 퇴락하고, 침체된 부정적 이미지를 떠올린다.

이 때문에 부정적인 느낌을 지우면서도 과거 도시 근간을 이뤘던 옛 제주성 일대의 의미를 되살린다는 뜻에서 원도심이라는 용어가 새로 쓰이기 시작했다.

그러나 현실은 구도심이란 말이 주는 이미지 그대로다.

1980년대 들어 주요 행정기관과 교육기관이 이전하면서 함께 원도심 일대 유동인구가 썰물 빠지듯 빠져나갔고 하나둘씩 점포들도 사라졌다. 상업기능이 쇠퇴하면서 천년 넘게 명성을 유지했던 제주 원도심은 불과 30여년 사이 슬럼화됐다.

행정은 최근 20년 가까이 원도심을 살리기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여왔다.

현대화시설을 통한 재래시장 활성화와 각종 테마 거리를 만들어 인근 상권을 살리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제주의 명동'이라 일컬어지며 제주 상권의 중심축 역할을 해온 일도1동 칠성로 4개 구간(435m)에 49억여원을 들여 아케이드(아치형 지붕 통로)를 설치, 보행자 보호구역으로 지정했다. 비가 오는 날씨에도 사람들이 우산을 쓰지 않고 쇼핑을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함이었다.

원도심 주차불편 문제가 가장 시급하다는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수십억원을 들여 동문시장 입구에 주차빌딩과 인근 칠성로에 공영 주차장을 건설했고, 계속해서 원도심 일대에 주차공간을 마련하고 있다. 이외에도 재래시장 고객지원센터와 각종 편의시설이 연이어 동문 전통시장 일대에 들어섰다.

지역문화와 지역상권을 연계해 관광객들의 발길을 끌고 지역경제도 살린다는 목적으로 각종 테마·특화거리도 만들어졌다.

중앙로 일대의 '빛의 거리', 남문로와 탑동사거리를 잇는 남·북 방향의 '자연의 거리', 관덕로와 동문로터리를 잇는 동·서 방향의 '문화의 거리'가 만들어졌다. 칠성로 일대에도 '영화의 거리'와 '흑돼지 명품거리'가 잇따라 생겨났다.

2000년 이후 제주도와 제주시가 10여 차례에 걸쳐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용역을 실시했으나, 상당수가 타당성 부족 등 이유로 추진되지 못했다. 일부가 실제로 추진됐지만 한 번 떠난 사람들의 발길을 다시 돌리는 데는 역부족이었다.

원도심을 다시 살려보려던 지역주민들의 바람에 찬물을 끼얹는 상황이 벌어지기도 했다.

제주도는 2008년 원도심 45만3천200㎡를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 일도1·건입·삼도2동 일대를 재개발하려던 계획을 세웠으나 3년 만에 백지화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경영 악화 등으로 사업 참여가 어렵다는 견해를 밝힌 데다 재개발에 따른 토지주와 건물주의 부담이 커 사업성이 떨어진다는 전문가의 진단이 나왔기 때문이다. 토지주와 건물주들이 조합을 구성해 재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하기 위해 의견을 수렴했으나 대다수가 반대해 결국 재개발사업은 없던 일이 됐다.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된 해당 지역은 2008년∼2011년 3년간 건물 신·증축 등이 제한되는 등 재산권 행사에 큰 제약을 초래했으나 아무런 결실 없이 끝나자 행정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불신만 키운 결과를 가져왔다.

이후에도 천문학적인 재원을 쏟아가며 원도심 활성화 사업은 계속됐다.

제주도는 해상 관문이자 원도심인 제주시 산지천 일대를 살리기 위해 842억원(공공사업비 490억원, 민자 352억원)을 들여 생태하천, 테마정원, 세계음식테마거리 등을 만드는 탐라문화광장 조성사업 공사를 2013년 착공, 올해 9월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어 해마다 전통시장 활성화사업, 문화예술 거점사업, 제주성지 누각복원 등 원도심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해 수백억원의 예산이 투입되고 있다.

박경훈 전 제주민예총 이사장은 "세월이 흐르면서 원도심의 도시기능상 구성요건들과 성격, 각 공간의 역할이 이미 바뀌었음에도 주먹구구식으로 선심성 정책이 펼쳐졌고 단발적·즉흥적인 처방이 남발되면서 예산 낭비만 가져왔다"고 지적했다.

그는 "제주성 원도심을 구성하는 행정체계 역시 4∼5개로 쪼개지다 보니 통합적·효율적인 예산운용이 어렵고 적절한 사업을 추진하기 어려운 구조적 문제가 있었다"며 "결과적으로 사업·공간 간 효율적인 연계가 이뤄지지 못해 상권을 활성화시키지도, 도시공동화를 막지도 못했다"고 평가했다.

bjc@yna.co.kr

☞ 장남에게만 유산…자식간 진흙탕 소송으로 비화
☞ 무료 성형에 후기 모델 7년…"지나친 조건 아냐"
☞ '직장에 불륜 알리겠다' 공갈혐의 30대 女조선족 '무죄'
☞ "2시간안에 병원 가야"…손가락 절단 8살 신속히 옮겨 수술
☞ "우릴 쏘지 말라"…비욘세 '슈퍼볼' 공연 논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