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차례상 차림표, 순서만 외우면 '끝'

2016. 2. 8. 11:2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설차례상 차림표, 순서만 외우면 ‘끝’

설차례상 차림표이 소개돼 관심을 끌고 있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몇 가지 원칙과 순서만 알아두면 차례상차림 알 수 있다.

조상을 기리기 위해 지내는 제사는 대대로 집안의 중요한 행사로 차례는 집안과 지방마다 제사를 지내는 방법이 다양하고 달라 '가가례(家家禮)'라고도 한다.

제사상은 북쪽을 향하게 놓아야 하며, 제사를 주관하는 제주(祭主)가 남쪽, 제주가 바라볼 때 오른쪽이 동쪽이고 왼쪽은 서쪽이 돼야 한다.

설차례상 차림표, 순서만 외우면 ‘끝’

나물, 과일 등 갖가지 제수(祭需, 제사음식)는 대체로 5열 차림으로 하는데 1열은 밥과 국을 함께 진설하며 2열에 구이를 중앙에, 3열은 두부나 고기탕 등, 4열에는 나물, 김치, 포 등 밑반찬 류, 그리고 마지막으로 5열은 과일을 등을 차린다.

통상적인 제수의 종류와 진설법에 먼저 첫째 줄은 홍동백서(紅東白西)에 따라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흰 것은 서쪽에 놓아야 한다.

동조서율(東棗西栗)은 대추는 동쪽에, 밤은 서쪽에 배치하고, 조율이시(棗栗梨枾)는 대추-밤-배-감 순서로 서쪽부터 동쪽으로 차례대로 놓는다는 뜻이다.

둘째 줄은 좌포우혜(左脯右醯)를 기억하며 서쪽 끝에는 포를, 동쪽 끝에 식혜를 놓는다.

그리고 물김치와 숙채(삼색 나물), 간장은 가운데 놓는다.

셋째 줄은 육탕(고기), 소탕(두부), 어탕(생선) 등 탕을 배치한다.

넷째 줄은 어동육서(魚東肉西)로 생선은 오른쪽에 차리고 육류는 서쪽에, 이 가운데 생선은 두동미서(頭東尾西)를 지켜 머리는 동쪽을,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한다.

마지막으로 다섯째 줄에는 반서갱동(飯西羹東)에 따라 밥과 술은 서쪽, 국은 동쪽, 수저와 그릇은 가운데 놓는다. 그리고 닭구이나 생선포의 경우 등이 위로 향하게 하는 배복방향(背腹方向), 익힌 나물은 서쪽, 생김치는 동쪽에 놓는 숙서생동(熟西生東)을 생각하면 된다.

차례상을 준비하기에 앞서 몇가지 유의할 점이 있다.

우선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들어간 생선은 차례상에 사용하지 않는다.

예로부터 '치'자가 들어간 것은 흔하고 천한 생선으로 여겼기 때문이다.

또 복숭아나 붉은 등은 요사스러운 기운을 몰아내고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 해 올리지 않는다.

설차례상 차림표

온라인 이슈팀 @mkculture.com
  • ▷▷ MBN 뉴스 더보기
  • ▶ [다시보기] 아쉽게 놓진 MBN 프로그램도 원클릭으로 쉽게!
  • ▶ [건강레시피] 밥상을 바꾸면 건강이 달라집니다! 건강밥상 레시피 지금 확인하세요!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