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려동물도 가족처럼"..창원시 공공 장묘시설 전국 첫 추진

2016. 1. 18. 14:4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천만 넘어..사체 폐기물 처리 "정서상 맞지 않아", 위생 문제도 전국 민간시설만 14곳..시 진해화장장 등 유휴화장시설 활용 검토

1천만 넘어…사체 폐기물 처리 "정서상 맞지 않아", 위생 문제도

전국 민간시설만 14곳…시 진해화장장 등 유휴화장시설 활용 검토

(창원=연합뉴스) 최병길 기자 = 핵가족화와 고령화로 가족처럼 키우는 반려동물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늘어난 반려동물 만큼 불가피한 사후 처리에 애로를 겪는다.

경남 창원시가 18일 1천만 반려동물 시대에 맞춰 전국에서 처음으로 '공공 동물 장묘시설'을 추진하기로 해 관심을 끈다.

창원시설공단은 이날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반려동물을 친환경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공공 장묘시설 조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공공기관에서 반려동물 장묘시설을 추진하는 것은 처음이다.

시가 파악한 반려동물 사육가구는 모두 7만4천 가구로 추정하고 있다.

이는 시 전체 41만5천여가구 중 18%다. 10가구 중 2가구꼴이다.

시는 반려동물을 10년 생존율로 적용하면 해마다 시에서 7천400마리가 죽는 것으로 파악했다.

그러나 국내 동물 장묘시설은 수도권 13곳, 부산권 1곳 등 전국에 14곳에 불과하다. 모두 민간에서 운영한다.

화장 비용도 적게는 30만원에서 많게는 400만원까지 부담이 크다.

현재 반려동물을 키우다가 동물병원에서 죽으면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소각 처리하고 있다.

하지만, 일반 가정에서 발생하는 동물 사체는 일반폐기물 처리법에 따라 생활쓰레기 봉투에 담아 폐기하고 있다.

죽은 동물을 쓰레기봉투에 담아 버리면서 여름철에는 악취 민원도 다반사다.

여기에 반려동물을 키우는 이들은 가족처럼 키운 동물을 폐기물로 처리하는 것도 정서상 맞지 않아 동물 화장시설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이 때문에 공공에서 운영하는 일반 화장시설에서의 반려동물 화장 요구도 이어지고 있다.

경기도개발연구원이 지난해 6월 조사한 자료에 따르면 바람직한 반려동물 사체 처리에 대한 인식을 조사해보니 공공처리(48%), 동물병원(21%), 장묘시설(19%) 순으로 파악됐다.

일부에서는 죽은 반려동물을 불법을 묻거나 내버려 병원균 등 각종 질병을 옮길 우려를 낳고 있다.

권영균 공단 기획전략부장은 브리핑에서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급증하면서 사체 처리방식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함에 따라 반려동물 장묘시설 조성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창원시설공단은 현재 시설 낡고 오래돼 지난해 1월부터 가동을 중단한 진해화장장을 동물 장묘시설로 전환하는 방안을 우선 검토하고 있다.

이곳에 화장로 2기를 설치하고 장례식장, 납골당 등은 부대시설로 바꾸는 방안이다.

기존 화장장을 새롭게 재단장하려면 10억원가량이 들 것으로 보고 있다.

진동 창원공원묘원 내 마산화장장이나 진해 천자원 부근도 검토 대상지다.

공단은 이 시설을 이용하면 민간시설보다 저렴한 사용료를 받고 시에 등록된 반려동물이나 저소득층은 추가 할인혜택을 줄 계획이다.

권영균 창원시설공단 기획전략부장은 "1천만 반려동물 시대를 맞아 공공 동물장묘시설을 통해 환경 문제와 동물 생명 윤리 인식도 제고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민 의견을 수렴하고 분석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창원시에는 지난해 말 기준 등록된 반려동물이 모두 2만184마리다.

하지만, 등록 의무제가 아니어서 등록하지 않은 반려동물을 합하면 이보다 3배가량 많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창원지역에 버려진 유기동물은 1천620마리로 집계됐다.

choi21@yna.co.kr

☞ "왜 쫓아다녀" 20대女, 스토킹 남성 결박 뒤 흉기 살해
☞ 쯔위, 오늘 '아육대' 녹화 참여…"국내 예정된 일정 소화"
☞ '지하감옥 5년간 만들어 여성 납치·감금' 스웨덴 의사 체포
☞ 일본서도 친엄마가 3살 여아 학대 사망…일본 사회 충격
☞ 고현정, 전 소속사 임원과 '우회상장 차익' 분쟁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