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부록지도 코스가이드 | 연엽산 구절산] 춘천지맥 스쳐 지나가는 오염 안 된 청정의 산

글·사진 | 월간조선 박영래 객원기자 2015. 11. 30. 23:2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산자락에 자리한 강원도자연환경연구공원, 가족단위 자연 탐방코스로 인기

홍천과 춘천 경계인 가리산(1,051m)을 지나는 춘천지맥이 춘천시내 동쪽 대룡산(899m)에 이르면 방향을 남쪽으로 바꾼다. 대룡산을 뒤로하는 춘천지맥이 남쪽으로 약 1.5km 거리인 녹두봉(886.7m)에 이르면 남서쪽으로 수리봉(644m) 방면 능선을 분가시킨다. 수리봉 능선은 춘천시내 남단 금병산(652m)~향로산(342m)으로 이어진다.

[월간산]1 구절산 남동릉 744.4m봉에서 북으로 본 연엽산(가운데). 연엽산 오른쪽 뒤 멀리는 대룡산. 연엽산 왼쪽 능선은 춘천지맥이며 오른쪽 아래 안부는 새목현이다.

녹두봉에서 계속 남진하는 춘천지맥이 약 4.5km 거리에 빚어 놓은 산이 연엽산(蓮葉山·850.6m)이다. 연엽산에서 춘천지맥은 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강촌역 남쪽 고깔봉(421m)을 지나 봉화산(515.1m)~새덕산(490m)으로 이어진다.

연엽산에서 춘천지맥을 벗어나 남쪽으로 가지 치는 능선이 있다. 이 능선이 약 3.5km 뻗어나가다 들어 올린 산이 구절산(九節山·750.7m)이다. 구절산에서 계속 남진하는 능선은 약 5km 거리에 성재산(553.5m)을 빚은 다음, 또다시 5km 더 나아가 부사원천과 성동천 합수지점인 상화계리(북방면 소재지)에 이르러 여맥들이 자취를 감춘다.

[월간산]2 연엽산 정상에서 남쪽으로 본 구절산. 왼쪽 안부는 강원도자연환경연구공원 방면이다.

연엽산과 구절산 일원은 강원대학교 학술림이다. 당연히 강원대학에서는 전 구역을 수십 년째 입산금지구역으로 정해 놓았다. 그 여파로 연엽산과 구절산은 찾는 이들이 많지 않다. 그러나 반대급부로 옛 모습 그대로 잘 보존된 숲과 계곡이 어우러진 산 전체가 태곳적 자연미를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산세는 전체적으로 평범한 육산으로 보인다. 그러나 호랑이가 발톱을 숨긴 듯 계곡 곳곳에는 기암절벽들이 연이어져 아름다운 풍광을 자아낸다. 특히 연엽산 정상 북사면과 동쪽 능선, 그리고 구절산 정상 동쪽 수십 길 높이의 절벽지대는 등골이 오싹할 정도로 고도감을 자아낸다. 조망 또한 일품이다. 

[월간산]3 연엽산 정상의 초라한 정상석과 삼각점(내평 316. 2005년 복구).

연엽산 등산은 대개 춘천시내 방면 동산면 원창리 원창저수지 위쪽 쉰골계곡에서 능선이나 계곡을 타고 정상을 다녀오는 원점회귀 코스를 따랐다. 이 방면 코스들은 <월간山> 1985년 4월호와 1989년 5월호 주말산행코스로 소개되었다.

구절산 등산도 춘천 방면 동산면 봉명리 끝마을인 도화동에서 정상 북서릉, 또는 더운짐내기를 경유해 정상을 다녀오는 원점회귀 코스가 많이 이용됐다. 더운짐내기 방면 구절산 코스는 <월간山> 1985년 10월호와 1989년 2월호에 주말산행코스로 소개가 되었다. 1980년대 연엽산과 구절산은 수도권에서 춘천을 경유하는 당일산행코스로 인기가 매우 좋았다. 당시에는 관광버스로 단체산행을 즐겼던 안내등산회에서 이 산들을 많이 찾았다.

[월간산]1 연화사 입석불. 입석불 왼쪽 다리 건너로 등산로가 이어진다.

세월 따라 연엽산과 구절산은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등산로 들목마다 ‘강원대학교 학술림 입산금지’라고 쓰인 안내판들이 설치되며 등산인들의 발길이 사라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대룡산에서 연엽산을 경유해 고깔봉으로 이어지는 춘천지맥을 종주하는 산꾼들은 이 지역이 강원대학교 학술림 땅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연엽산을 지나다니고 있다. 여기에다 연엽산과 구절산에 대한 매력을 잊지 못하는 등산인들도 입산규제가 덜한 편인 산 동쪽 홍천군 북방면 일원에서 암암리에 이 산들을 오르내리고 있다.

그동안 연엽산과 구절산을 자주 다닌다는 산꾼들 경험에 의하면 소수 인원이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조용한 산행을 할 경우 강원대학 학술림 지킴이들이 등산을 막지는 않는다고 한다. 아무튼 강원대학교 학술림 보전지역인 연엽산 주능선 서쪽은 등산로 소개에서 제외했다. 이 방면은 학술림 보호를 위해 강원대학교 측이 신경 쓰는 지역이다.

[월간산]2 647.7m봉 북동릉을 다 내려오면 나오는 농바위 아래 너럭바위와 물놀이 터. 3 새목현에서 북동으로 본 연엽산 정상. 오른쪽 능선은 연엽골 건너 745m봉 동릉이다.

연엽산은 동쪽 북방면 북방리에서는 연화사~연엽골~새목현 경유 정상에 오른 다음, 북릉~745m봉 동릉을 경유해 북방리 사랑마을로 하산하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북방면 성동리에서는 강원도자연환경연구공원이 조성되어 있는 간성천 계곡 상류 자연탐방로인 자연소리길을 경유해 연엽산과 구절산을 다녀올 수 있다. 구절산 서쪽에서는 봉명리 춘천시내버스 종점에서 정상 서릉 코스와 정상 남동릉상의 744.4m봉 남서릉~임도를 따라 봉명리 장승공원으로 하산하는 코스가 가장 뚜렷하다.

상기 등산 코스들을 북방리 연화사에서 연엽골~새목현~연엽산 남동릉으로 오르는 코스를 시작으로 시계방향으로 소개한다.

[월간산]4 연엽산 정상 동쪽 북릉 갈림길에 있는 산불감시초소. 이곳과 정상에는 춘천지맥을 종주한 산악회 표지기가 수십 개 매달려 있다.

연화사~연엽골~675m봉 북동릉~새목현~연엽산 정상〈약 4 km·3시간 안팎 소요〉

북방면 소재지인 상화계리에서 성동천을 거슬러 약 16km 거리인 북방리 연화사와 이곳에서 약 2km 더 들어간 버스종점 사랑말 일원은 홍천군내에서 보기 드문 오지이다. 사랑말은 허름한 담뱃가게 말고는 그럴 듯한 식당과 숙박시설조차 찾아보기 어려운 곳이다.

[월간산]

연엽골 마지막 합수점에서 남서쪽으로 패어든 계곡은 대부분이 너덜길이다. 예전에는 마지막 합수점에서 오른쪽 지계곡을 경유해 새목현으로 올라갔으나 요즘은 합수점에서 왼쪽 675m봉 북동릉으로 오르는 길을 선호하고 있다. 새목현에서 정상 방면은 처음에는 완만하다가 산불감시초소 부근에 이르면 바윗길로 이어진다. 

연화사 입구 버스정류장-(10분)→연화사 앞 주차장-(2분)→주차장 서쪽 입석불 왼쪽 철다리-(1분)→다리 건너 오른쪽 계곡 길 입구(강원대 학술림 안내판)-(안내판 오른쪽 연엽골 계곡 길 10분)→오른쪽 돌밭 사면길 아래-(사면 길 약 15m)→임도 진입(←성동~북방 5km 푯말)-(3분)→다시 연엽골 계곡 입구-(서쪽 연엽골 계곡 길 13분)→너럭바위-(7분)→작은 폭포와 4평 넓이 물웅덩이 오른쪽-(5분)→큰 합수점-남서쪽 계곡 길 27분)→675m봉 북동릉 끝머리 합수점-(675m봉 북동릉 능선 진입 3분)→단풍나무 군락-(25분)→노송군락-(17분)→ㅏ자 갈림길-(오른쪽 사면길 5분)→새목현(헬기장)-(38분)→북릉 갈림길-(약 20m)→산불 감시초소(춘천지맥 종주를 한 수십 개 산악회 표지기)-(서쪽 능선으로 5분)→연엽산 정상(삼각점 내평 316).

[월간산]1 나비관찰원 위쪽 골짜기에서 보이는 연엽산 남동릉 상의 744.3m봉. 744.3m봉 왼쪽 안부에 자연소리길과 만나는 주능선 임도 삼거리가 있다.

연엽산 정상은 사방이 수림으로 에워싸여 조망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산불감시초소 방면 전망바위에 오르면 그런대로 멋진 조망을 즐기게 된다. 북서쪽으로는 외박골 협곡 건너 수리봉과 오른쪽 새골고개 뒤로 봉의산을 품은 춘천시내가 보인다. 북으로는 응봉 위로 녹두봉과 대룡산이 하늘 금을 이룬다. 남으로는 구절산 정상이 조망된다. 남서쪽으로는 쇠뿔봉과 금학산 뒤로 한강기맥과 용문산이 가물거린다. 

연엽산 북릉~745m봉 동릉~647.7m봉 북동릉~강원대학교 에코 포리스트 숲체험 산책로~사랑말 하산 코스〈약 5km ·3시간 안팎 소요〉

[월간산]2 촛대바위를 지나 공원전망길 임도까지 계속되는 자연소리길은 통나무 계단과 밧줄난간으로 이어진다. 3 임도 삼거리에서 20분 거리인 내리막 임도에서 마주보이는 구절산 정상(오른쪽).

산불감시초소에서 동쪽 20m 거리에 이르면 북릉 갈림길이 나온다. 북릉으로 1분 거리에서는 동쪽 연엽골이 조망된다. 이곳에서는 북동으로 745m봉 동릉 너머로 가리산 정상이 살짝 보인다. 동쪽 멀리로는 공작산도 눈에 들어온다.

전망장소를 뒤로하는 북서쪽 급경사 북사면 길은 경사도가 70도 정도 된다. 밧줄이 매여 있지만 너무 낡아 믿고 잡기에는 불안하다. 가능하면 새 자일을  사용하면 안전할 것 같다. 특히 이 급경사 길에서는 좋은 날씨라도 초심자는 반드시 경험자와 동행하고, 우천 시나 빙설 시에는 암벽에서와 같은 하강할 수도 있는 위험지역이다. 급경사 지역을 내려선 능선 길부터 사랑말까지는 위험요소가 거의 없다.

[월간산]4 구절산 북릉 능선길이 시작되는 임도 안부(사곡현)에 세워진 강원대학 약학대학 약초원 안내판.

북릉 726.2m봉을 지난 삼거리에서 오른쪽 지능선(북동쪽)으로 내려가면 쓰러진 나무가 나온다. 이 나무를 지나 나오는 삼거리에서 왼쪽길이 연엽골 방면 길이다. 오른쪽으로 뚜렷한 길은 위험한 길이다. 이 코스는 연화사로 원점회귀 길이다.

정상-(5분)→산불 감시초소-(20m)→북릉 갈림길-(4분)→북서쪽 급경사 진입-(8분)→급경사 하단부에서 오른쪽 우회길 진입-(1분)→약 8m 높이 수직벽 상단부-(1분)→8m 높이 수직벽 하단부-북동으로 약 25m 이동함→다시 북릉 능선길(바위벽 북쪽 하단부) 진입-(10분)→안부(서쪽은 잣나무 숲)-(7분)→726.2m봉-(2분)→ㅏ자 삼거리(연엽골 갈림길)-(직진 20분)→745m봉 삼거리-(동릉으로 8분)→안부-(3분)→ㅏ자 갈림길(오른쪽 갈림길은 연엽골 방면 하산길)-(10분)→711.2m봉-(10분)→처마바위-(2분)→무명봉-(4분)→약 20m 바위 절벽 상단부-(2분)→바위절벽 하단부-(6분)→안부(오른쪽은 수천 평 넓이 잣나무숲)-(5분)→647.7m봉(동쪽 아래로 사랑말 조망)-(북동릉 급경사 내리막 8분)→능선 길 왼쪽으로 철조망 시작-(16분)→능선이 Y자로 나누어지는 곳(철조망은 왼쪽 능선으로 이어짐)-(오른쪽 능선 길 4분)→T자 삼거리(개옻나무 설명판·강원대학교 에코포리스트 숲체험 산책로 진입)-(왼쪽 산책로로 1분)→오른쪽으로 꺾임-(아름드리 잣나무 숲길과 이끼 낀 통나무다리 건너 8분)→급경사 사태지역 상단부(위험·주의) 횡단-(8분)→ㅓ자 삼거리(어류서식 관찰지 안내판)-(남쪽으로 직진 5분)→왼쪽 사랑교 건너 북방1리 마을회관 앞 버스종점. 

[월간산]

강원도자연환경연구공원~복자기나무 지난 삼거리~자연소리길~주능선 685m봉 북쪽 임도 삼거리~새목현~연엽산〈자연환경연구공원 주차장 기점 약 7.5 km·4시간 안팎 소요〉

복자기나무에서 1분 거리인 삼거리에서 왼쪽(북서쪽) 계곡은 자연소리길, 오른쪽(북동쪽) 계곡 길은 포근 잣나무길이다. 주능선 685m봉 북쪽 임도 삼거리로는 자연소리길이 지름길이다. 촛대바위는 계곡 안내푯말에서 왼쪽 계류 건너 약 30m 위로 올려다 보이는 돌출된 바위이다. 이 바위는 마치 촛대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화전 터를 뒤로하는 길 대부분은 임도까지 통나무 계단과 밧줄 난간 길로 이어진다. 

[월간산]1 포근잣나무길 임도 펜스에서 남쪽 임도로 내려서는 사면 길에 자리한 큰 밤나무.

강원도자연환경연구공원-(35분)→강원대학교 산림환경교육센터-(약 100m)→곤충생태원과 나비관찰원-(1분)→펜스형 출입문(↑자연터널길 1.10 km, ↑구절산 임도 2.93km, ↓연구공원 주차장 2.16km 푯말)-(7분)→오른쪽으로 다리 건너 잠자리 생태관찰지-(5분)→간선임도(오른쪽) 갈림길(정면으로 출입문 잠겨 있는 화장실)-(왼쪽 다리 건너 2분)→토양관찰지와 초지 관찰지-(2분)→야외교육장 앞-(오른쪽으로 다리 건너 감)→산림곤충생태관찰지-(약 80m)→생태탐방 안내도-(약 80m)→자연터널(통나무로 된 사각형 통로·↑구절산 임도 1.82km, ↓연구공원 주차장 3.27km 푯말)-(13분)→복자기나무-(오른쪽으로 계류 건너 1분)→삼거리(↑구절산 임도 1.18km, ↑포근 잣나무 0.70km, ↓자연터널길 0.65km, ↓연구공원주차장 3.92km 푯말)-(왼쪽 통나무 다리 건너 자연소리 길로 8분)→합수점-(오른쪽 계곡으로 5분)→화전민 집터(↓자연환경연구공원 4.3km 푯말)-(2분)→촛대바위 안내 푯말-(2분)→푯말(자연환경연구공원 4.6km)-(통나무 계단 밧줄 난간 길 4분)→밧줄 난간 길 끝-(5분)→왼쪽으로 계류 건너간 마지막 합수점(↑구절산 임도 0.42km, ↓자연환경연구공원 4.80km 푯말)-(통나무 계단과 밧줄 난간 길 약 28분)→임도 공원전망길 펜스 출입문(↓자연터널길 1.94km, ↓자연 모험길 4.57km, 자연환경연구공원 주차장 5.21km, ←강원대학 학술림 봉명관리소 4.80km 푯말)-(왼쪽으로 1분)→685m봉 북쪽 임도 삼거리(↓자연환경연구공원 5.3km 푯말과 ←봉명 4.5km, ←원창 9.6km, 산림환경교육센터 4.4km→, 북방 6.5km, ←구절산 4.4km 안내판)-(북서쪽 임도로 15분)→새목현(헬기장). 이후 북서쪽 능선을 타고(45분 소요) 연엽산 정상으로 향한다. 

강원도 자연환경 연구공원~복자기나무 지난 삼거리~자연소리길~주능선 685m봉 북쪽 임도 삼거리~구절산〈자연환경연구공원 주차장 기점 약 8.5 kmㆍ3 시간 30분  안팎 소요〉

[월간산]2 주능선 임도 삼거리에서 약 20분 거리인 포근잣나무길 갈림길 펜스 문 옆 푯말. 3 정상 서릉에서 보게 되는 케언(석탑). 이곳에서 북으로 연엽산이 보인다. 4 구절산 정상 푯말. 5 정상 직전 전망바위에서 뒤돌아본 서릉과 봉명2리.

685m봉 북쪽 임도에서 사곡현(강원대 약학대 안내판)까지는 임도로 편하게 접근할 수 있다. 사곡현부터 구절산 정상까지는 능선 길로 이어진다. 이 능선 서쪽 일원이 더운짐내기라는 곳이다. 더운짐내기는 너덜지대로 추운 겨울에는 돌 틈바구니에서 ‘더운 수증기(1989년 1월 월간山 취재팀 확인)’가 나오고, 여름에는 시원한 공기가 바람 불 듯 나오는 곳이다. 그러나 이곳은 출입금지구역에 묶여 탐방이 안 되고 있다.   

685m봉 북쪽 임도 삼거리-(남서쪽 임도로 5분)→U자형으로 패인 절개지 가운데로 통과-(남쪽 내리막 5분)→안부-(남서쪽 임도 8분)→잣나무 숲지나 왼쪽(남동쪽)으로 임도 꺾이는 지점-(12분)→사곡현(안부·강원대학교 약학대학 약초원 안내판)-(약초원 안내판 왼쪽 능선으로 40분)→구절산 정상.

[월간산]강재구 소령 기념관 왼쪽에 자리한 강재구 소령 추모탑.

685m봉 북쪽 임도 삼거리~자연소리길 갈림길~학술림 임도구간 공원 전망길~포근 잣나무 길~하산 코스 <685m봉 북쪽 임도 삼거리 기점 약 6.5km·3시간 안팎 소요〉

이 코스는 연엽산이나 구절산에서 하산코스로 안성마춤이다. 연엽산의 경우 다시 새목현으로 내려온 다음, 남동쪽 임도 삼거리로 나오면 된다. 자연연구공원 주차장에 승용차를 세워 놓은 경우 백코스로 북릉~강원대 약학대 안내판~임도 삼거리로 나온 다음, 포근잣나무길로 내려와도 된다. 

[월간산]1 구절산 정상 남동릉 상의 744.4m봉을 거쳐 바위 안부를 지나면 나오는 처마바위. 바위 오른쪽에 살짝 걸쳐 있어 언젠가는 떨어질 위험성이 있다.

자연소리길 갈림길에서 약 15분 거리인 간선임도(오른쪽 갈림길)는 약 3.5km 길이로 인류생활생태관찰지 북쪽 화장실 앞으로 이어진다. 잣나무 길은 돼지 목욕장소가 있을 정도로 멧돼지들이 많은 곳이다. 혼자인 경우 멧돼지들을 피해 간선임도를 따라 내려와도 괜찮다. 

주능선 685m봉 북쪽 임도 삼거리-(2분〔약 90m 거리〕)→자연소리길 갈림길-(직진 15분)→간선임도 갈림길(↓구절산 5.3km, ↓봉명 5.4km, ↓원창 10.5km, ↑북방 5.6km, 산림환경교육센터 3.5km→ 푯말)-(직진 약 80m)→포근잣나무길 갈림길(↓자연소리길 입구 0.86km, ↓강원대학학술림 봉명관리소 5.80km, 포근잣나무길 0.48km→, 자연환경연구공원주차장 5.10km→ 푯말)-(남릉 10분)→안부-(서쪽 사면 약 40m)→큰 밤나무(나무 밑둥 어른 팔로 세 아름 정도 굵기)-(1분)→간선임도 횡단 후, 계곡(포근 잣나무 길) 진입-(9분)→멧돼지 목욕자리(제2 산지습지,↓잣나무 군락지 0.4km 푯말)-(4분)→감투바위-(4분)→15m 길이 와폭-(2분)→제1 산지습지(↓잣나무군락지 0.8km 푯말)-(2분)→자연소리길과 만나는 삼거리(↓구절산 임도 1.18km, ↑자연환경연구공원 주차장 3.9km 푯말)-(3분)→복자기나무-(9분)→자연터널길-(2분)→야외교육장-(5분)→간선임도 만나는 삼거리(왼쪽에 화장실)-(12분)→산림환경교육센터-(30분)→자연환경연구공원 주차장(버스 회차장).  

[월간산]2 봉평2리 장승공원.

봉명2리 버스종점~소나무 조림지~임도 횡단~구절산 정상 서릉~구절산 정상〈봉명2리 버스 종점 기점 약 2km·1시간 40분 안팎 소요〉

봉명2리 종점 아래 농가에서 이곳 주민을 만나 연엽산과 구절산으로 오르는 등산기점을 물었더니 “아 강대산이요?”라는 답변이 돌아왔다. 이곳 주민들은 연엽산과 구절산 일원을 통칭 강대산으로 부른다고 말한다. 강대산은 ‘강원대학교 산’이라는 뜻이었다.

[월간산]강원도자연환경 연구공원 본관 건물. 건물 내부에 각종 전시실이 있다.

봉명2리 버스종점에서 정상 서릉으로 오르는 초입에는 묘들이 연이어진다. 묘들은 대부분 부부 합장묘로 6개가 연이어 자리하고 있다. 묘역에서 뒤돌아보면 왼쪽에 장자골, 오른쪽에 도화동계곡(일명 봉명계곡)이 패어 내린 명당으로 보인다. 임도를 건너간 능선길에서는 ‘강원대학·자연보호’라고 쓰인 표지기용 플라스틱 푯말들이 보이기 시작한다. 이후 케언(돌탑)들이 자주 나오는데 이곳에서는 북쪽으로 연엽산이 마주 보인다.   

봉명2리 버스 회차 장소-(남쪽으로 1분)→왼쪽 사면 길 진입로-(사면 길로 약 40m 오름)→왼쪽 구절산 정상 서릉 진입-(2분)→전주이씨 묘-(8분)→안동권씨 묘-(4분)→죽산박씨 묘-(잣나무 숲길 10분)→잣나무 숲 끝나고 이어 왼쪽 오르막 사면 참나무 숲길 진입-(3분)→오른쪽 능선 길 진입-(14분)→소나무 조림지역(소나무 모수작업 시험지 안내판)-(4분)→임도 진입(성동~구절산 3km 푯말)-(임도 건너 경사진 절개지〔길이 약 3m〕오른 정상 서릉으로 10분)→‘강원대학 자연보호’라고 쓰인 플라스틱 작은 푯말-(8분)→허리 높이 케언 1기-(3분)→어른키 높이 케언 1기와 작은 케언 4기-(8분)→어깨 높이 케언 1기-(5분)→약 10m 높이 바위벽 하단부-(왼쪽 우회 급경사 오르막 사면 5분)→오른쪽으로 꺾어지는 곳-(1분)→10m 바위벽 상단부 전망바위-(3분)→구절산 정상(삼각점·내평 26).

강재구 소령 추모공원

부하 살리려 수류탄 덮친 살신성인의 표상
1965년 베트남전 파병을 앞두고 훈련 중 유효반경내 부하들 살려낸 의인

구절산 정상에서 남동으로 뻗어 내리는 능선이 있다. 이 능선으로 약 8km 거리인 375.5m봉에서 북동으로 가지 친 지능선 끝머리 북방면 성동리 갈골 일원에서 1965년 10월 4일 베트남전 파병을 앞두고 맹호 제1연대 제3대대 제10중대에서 수류탄 투척 훈련을 시행했다.

이때 ㅂ 이병이 수류탄 안전핀을 뽑은 다음, 수류탄을 잡고 있는 팔을 뒤로 제쳤다가 재빠르게 앞으로 던져야 하는 것을 팔을 뒤로 제친 상태에서 실수로 수류탄을 놓치고 말았다. 이때 ㅂ 이병 바로 뒤에서 이 상황을 보게 된 강재구 중대장(당시 대위·28세)은 순간적으로 부하들을 구하려는 일념으로 몸을 날려 수류탄을 덮쳐 폭발음과 함께 장렬하게 순직하고 말았다. 당시 떨어진 수류탄 주변에는 유효반경 내에 수 십 명의 투척대기조가 자리해 이 수류탄이 그냥 폭발했다면 수십 명의 사상자가 나올 뻔했다고 한다.

이 사고 이후 육군에서는 사후 진급된 강재구 소령의 거룩한 희생정신을 기리기 위해 맹호 제1연대 제3대대를 ‘재구대대’라 명명했다. 당시 파월된 재구대대는 베트남에서 혁혁한 전공을 세웠고, 이후 매년 희생정신의 본보기가 되는 모범 중대장을 선발해 ‘재구상(賞)’을 수여하기도 했다. 또한 모교인 육군사관학교와 서울고등학교에 ‘강재구 동상’을 건립해 후학들의 표상으로 삼고 있다.

구절산 정상~남동릉~744.4m봉~744.4m봉 남서릉~봉명 임도~장승공원 하산코스〈약 3.5km·2시간 30분 안팎〉

구절산 정상 남동릉인 암릉은 이 산에서 가장 절경을 이루는 곳이다. 남동릉 암릉에서는 동쪽 깎아지른 절벽 아래로 강원도자연환경연구공원 일원이 골골샅샅이 조망된다. 이곳에서 북동으로는 가리산, 백우산, 공작산, 대학산, 병무산 등이 광활하게 펼쳐진다. 744.4m봉 직전 안부 동쪽으로 돌출된 지붕 처마를 닮은 바위에서 경거망동은 금물이다. 이 바위에 올라갔다가 잘못되면 추락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744.4m봉을 지난 가로 막힌 바위 앞 갈림길에서 오른쪽으로는 돌탑 2기가 있다. 돌탑 방면으로 흐릿한 길로 5분이면 서쪽 능선으로 내려서는 지점(빨간 표지기 한 개 보임)이 나온다. 이후 무조건 서쪽 능선 마루를 인식하면서 하산하면 된다. 

정상-(남동릉으로 10분)→744.4m봉 (암봉)-(내리막 1분)→정면으로 지붕처마바위 보이는 전망장소-(바위 안부 지나 2분)→가로막는 바위벽 하단부-(바위벽 오른쪽 5분)→남서릉 갈림길(너덜지대 나뭇가지에 빨간색 표지기)-(남서릉 너덜길 12분)→흰색 표지기-(계속 이어지는 너덜길 10분)→돌출된 바위-(6분)→봉명 임도로 내려섬-(임도 따라 3분)→넓은 공터(약 300평 넓이)-(3분)→안부(북서쪽은 장자골)-(남서쪽으로 8분)→552.7m봉 남릉 임도 굽도는 곳-(북서쪽 내리막 8분)→철망 출입문-(3분)→임도 안내석-(15분)→봉명임도 안내판-(11분)→장승공원-(5분)→보람목장 왼쪽 삼거리(↓장승공원 200m, ←도농교류센터 4km 장승 푯말). 

강원도자연환경연구공원
습지, 야생동식물, 곤충 등 생태계를 관찰할 수 있는 야외 및 실내 체험장

홍천군 북방면 성동리 구절산 동쪽 간성천 깊은 골짜기에 자리한 ‘강원도자연환경연구공원(이하 자연공원)’은 말이 공원이지 실제로는 태곳적 자연미를 만끽할 수 있는 천혜의 자연공간에 가깝다.

자연공원은 약 5km 거리로 이어지는 산책로를 따라 토양, 습지, 식물, 곤충, 조류와 관련된 생태계를 관찰할 수 있는 시설들로 이뤄져 있다. 이 시설들은 야외 체험을 통해 자연환경의 소중함과 생태보전의 중요성을 느끼게 한다.

자연공원에서는 견학, 관찰, 참여 등 직접 몸과 마음으로 느끼는 현장중심 생태학습장을 기반으로 희귀, 멸종, 야생동식물의 종자(種子) 확보를 위한 증식 및 복원연구와 생태하천 및 수생태 복원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자연공원은 ‘자연과 인간이 둘이 아닌 하나’라는 기치 아래 생태탐방로 등 자연환경 연구 및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이 기대되는 곳이다. 이곳은 평일에도 학생들 및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단위 탐방객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이용 안내

관람시간

하절기(3~10월) 10:00~18:00(17:00까지 입장), 동절기 (11~2월) 10:00~17:00(16:00까지 입장). 

입장료

무료. 교육체험프로그램

안내문의

033-248-6570. 세부프로그램 일정은 강원도자연환경연구공원 홈페이지 https://ecopark.gwd.go.kr 참조.

동절기 1~2월은 휴무. 

연엽산·구절산
850.6m·750.7m
강원도 춘천시·홍천군

• 교통 •

■    서울↔홍천

동서울터미널(전철 2호선 강변역)에서 우등버스 25회(06:10~22:20), 무정차 18회(06:00~20:10) 운행. 요금 6,600원.

■ 홍천→북방1리

1일 5회(06:20, 08:30, 12:30, 15:30, 18:30) 운행. 북방면 방면은 홍천터미널 14번 승강장에서 승하차. 사랑말 종점까지 30분 소요.

■ 북방1리→홍천

1일 5회(06:50, 09:00, 13:00, 16:00, 19:00) 운행.

■ 홍천→성골(강원도자연환경연구공원)

1일 3회(08:10〔또는 20분〕, 12:10, 17:30) 운행. 공원 주차장까지 20분 소요.

■ 성골(강원도자연환경연구공원)→홍천

1일 3회(08:30, 12:30, 17:50) 운행.

■ 춘천↔홍천

20~30분 간격(07:00~22:40)으로 운행. 요금 2,600원.

■ 춘천→봉명2리

후평동 종점에서 1일 4회(06:00, 09:30, 13:30, 18:30), 40, 41, 43번 버스 운행. 춘천시청 앞~법원~학곡리~원창을 경유한다. 요금 카드 1,200원, 현금 1,300원.

■ 봉명2리→춘천

4회(07:00, 11:00, 15:20, 20:20) 운행.

■ 홍천

개인택시 080-432-0088.

• 식사 및 숙박(지역번호 강원도 033) •

■ 홍천 터미널 일원

터미널과 인접한 동쪽 식당골목(희망4리)에 있는 큰집가마솥설렁탕(434-2546), 이가네순대국(434-9908), 용궁삼계탕(434-5880), 토종순대국밥(433-1577), 중화요리 레드차이나(432-8021), 왕순대(433-0059), 은아식당(433-8037), 전통순대국(434-2522), 옛날순대국밥(434-8288) 등 이용. 

■ 북방면 화동리 일원

북방삼거리에서 약 1km 거리 북방리 들목인 화동리 삼거리의 장수횟집(434-5453), 장수횟집에서 북으로 약 1.8km 들어간 곳인 범골 휴 식당(433-6788) 등 이용.

■ 북방면 성동리 강원도자연환경 연구공원 일원

성동구판장에서 북동쪽 대룡저수지를 지나 왼쪽에 에코밸리 캠핑 민박(433-0805) 한 곳이 있다.

■ 북방리 일원

북방1리 사랑말 종점에서 도보로 10분 더 들어간 곳에 흙집사랑펜션(433-0099)이 있다. 이 펜션은 ‘도그 펜션’으로 애견인들이 개와 함께 이용하는 곳이다. 그러나 이곳 여행객들에게도 개방되어 있다. 

■ 동산면 조양리 일원

면소재지 동산치안센터 서쪽 동산기사식당(262-6564), 치안센터 맞은편 동남상회(262-2011) 동쪽 밥숟가락(262-3131) 등 이용. 동산면사무소 소재지에서 북동으로 약 3km 거리인 봉명리에는 식당이 전무하다.

▶ 실컷 놀았는데도 저녁… '한나절 행복' 찾아 춘천으로, 파주로

▶ 자동차 타이어에 새겨진 숫자의 비밀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월간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