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T논평] 푸틴과 라스푸틴이 비교되는 이유

오성환 2015. 11. 10. 20:57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토머스 V 디배코(미 아메리칸대 명예교수)

President George W. Bush, in a joking slip of the tongue, once referred to Russian President Vladimir Putin as Rasputin, an association that may not be too far-fetched in terms of their similarities.

Gregory Yefimovich Rasputin(1872-1916) was a self-styled faith healer who became the confidant of Czar Nicholas II and Czarina Alexandra. Like Mr. Putin, under whose watch opposition leader Boris Nemtsov was assassinated earlier this year, Rasputin believed that there no was salvation without dark secrets and sin. The more one sinned, the more likely salvation.

His attraction to the czar and czarina came through a theologian in St. Petersburg, who served as a royal confessor and noted Rasputin’s wide travels as a holy man to Greece as well as to Jerusalem. Such a holy man, it was believed, might display healing power. And it came about, first with a favorite hunting dog of the royal family and then with son Alexis, a hemophiliac.

At first, Rasputin was put in charge of keeping all the lamps burning in the palace. But soon he, like Mr. Putin, who rose to become a KGB enforcer, was given the extraordinary power of appointing bishops, then even government officers, no matter the stories of his numerous sexual escapades.

If Vladimir Putin is known as a leader intent on building an empire, as illustrated by his actions in Ukraine and now in Syria, Rasputin was intent on exhibiting power and influence without concerns about Russia’s future. When World War I broke out in 1914 and Russian forces were deployed against the Central Powers of Germany and Austria, Rasputin was a critical factor in the ultimate downfall of the monarchy in the Bolshevik Revolution of 1917.

The reason: Czar Nicholas took personal command of troops at the front beginning in 1915, leaving Rasputin as the major decision-maker at home. Rasputin’s appointees were corrupt and incompetent, and food shortages plagued domestic affairs, leading to the revolutionary fervor that made Nicholas the last Russian czar. In sum, Rasputin paved the way for the ultimate Russian regime that Mr. Putin now heads.

Unlike Rasputin, Mr. Putin is no mystic in the traditional definition. His religion is realpolitik. Rasputin had a tragic end to his life. Finally, he was shot and dumped into the water. But even then, autopsy reports suggest that he actually drowned while trying to free himself from the ropes that bound him. Rest assured that Vladimir Putin has a similar determination to survive.

푸틴과 라스푸틴이 비교되는 이유

토머스 V 디배코(미 아메리칸대 명예교수)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과거에 농담 중의 실언으로 러시아 대통령 블라디미르 푸틴을 라스푸틴이라고 언급한 적이 있는데 두 사람 사이의 각종 유사점 면에서 이런 연관이 아주 지나친 것이 아닐 수도 있다.

그리고리 예피모비치 라스푸틴(1872∼1916)은 신앙 치료사를 자칭한 인물로 러시아 황제 니콜라스 2세 및 그의 황후 알렉산드라의 신임을 받게 되었다. 올해 초 그의 치하에서 야당 지도자 보리스 넴초프가 암살당한 푸틴처럼 라스푸틴은 어두운 비밀과 죄가 없이는 구원이 없다고 믿었다. 죄를 더 많이 지을수록 구원의 가능성은 높아진다.

라스푸틴은 황제 부부의 고해사로 봉사했던 상트페테르부르크의 한 신학자를 통해 황실에 접근했다. 그 신학자는 라스푸틴이 예루살렘은 물론 그리스까지 널리 순례한 성자란 점을 눈여겨보았다. 그런 성자는 치유 능력을 보여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믿어졌다. 치유 능력이 처음 시현된 것은 황제 가족의 애완견 사냥개였고 다음은 혈우병 환자였던 황태자 알렉시스였다.

처음에 라스푸틴은 궁전의 모든 등불을 관리하는 임무를 부여받았다. 그러나 국가보안위원회(KGB)의 집행자로 승진한 푸틴처럼 그 얼마 후 라스푸틴은 주교들을 임명하는 이례적인 권력을 부여받았고 그다음에는 심지어 관리 임명권까지 받았다. 그의 성적인 행각에 관한 다수의 이야기가 나돌았음에도 불구하고 그랬다.

우크라이나와 현재 시리아에서 분명히 드러난 바와 같이 블라디미르 푸틴이 제국 건설의 뜻을 품은 지도자로 알려져 있다면 라스푸틴은 러시아의 미래를 염려하지 않고 자신의 권력과 영향력을 과시하겠다는 의도를 지녔다. 1914년에 제1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여 러시아 군대가 독일 및 오스트리아의 동맹군에 대항하기 위해 파병되었을 때 라스푸틴은 결국 1917년 볼셰비키 혁명으로 러시아 왕정이 무너지는 데 중대한 요인이 되었다.

그 이유는 이렇다. 1915년부터 전선의 군대를 친히 지휘했던 니콜라스 황제는 라스푸틴을 국내의 주요한 의사 결정권자로 남겨 두었다. 라스푸틴이 임명한 자들은 부패하고 무능했으며 식량부족이 여러 가지 국내문제를 악화시켜 니콜라스를 러시아의 마지막 황제로 만든 혁명의 열기로 이어졌다. 요약하면 푸틴이 지금 수장 자리에 앉아 있는 최종 러시아 정권으로 가는 길을 닦은 사람이 라스푸틴이다.

라스푸틴과 달리 푸틴은 전통적 개념 규정에 따른 신비주의자는 아니다. 그의 종교는 현실정치다. 라스푸틴은 생을 비극적으로 마감했다. 마침내 그는 총을 맞은 다음 물속에 버려졌다. 그러나 그 지경에서도 라스푸틴은 자신을 묶은 밧줄을 풀려고 애를 쓰다가 익사한 사실을 부검 보고서는 시사한다. 살아남으려는 블라디미르 푸틴의 결의가 라스푸틴과 비슷하다는 점을 믿어도 좋다.

역주=오성환 외신전문위원 suhwo@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