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풍부는 北中경제>왕복 4차선 다리 80% 완공.. "나진-상하이 뱃길도 개통"

박세영 기자 2015. 11. 3. 14:3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上) 활기 되찾는 훈춘
최근 랴오닝성과 지린성 등 북·중 접경지역 중심으로 양국 간 경제 교류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10월 28일 중국 훈춘과 북한 나선을 잇는 두만강대교 옆으로 신두만강대교 건설이 한창이다 .
10월 28일 화물을 실은 컨테이너 트럭이 북한으로 입국하기 앞서 중국 측 취안허 세관으로 들어가고 있다.

연말쯤 준공… 통행량 늘듯

中, 훈춘을‘물류 중심지’로

나진항 이용해 한국 수출도

“곧 광저우 항로도 준비중”

단둥 北연계 관광 활성화

호시무역구 등 교역 기대

북한의 김정은 체제 출범 후 얼어붙었던 북·중 관계가 최근 류윈산(劉雲山)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의 방북 이후 해빙 조짐을 보이고 있다. 랴오닝(遼寧)성과 지린(吉林)성 등 북·중 접경지역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양국 간 새 기류를 상·하편으로 점검한다.

지난 10월 말, 화창하지만 싸늘한 초겨울 바람이 부는 중국 지린(吉林)성 훈춘(琿春). 북한과 중국, 러시아의 국경 지역인 이곳에서 북한 나선과 이어주는 두만강대교 옆에는 신두만강대교 건설이 한창이었다. 정식 명칭은 ‘중조(中朝)변경취안허(圈河)통상구 대교’. 중국 측에서 1억6800만 위안(약 300억 원)의 건설비를 전액 투자해 건설되는 이 새로운 다리는 철판 상판을 얹는 작업이 진행 중이었다. 공사는 80% 이상 완료돼 연말쯤 준공될 예정이다.

새 다리는 총 길이 630m, 왕복 4차선 규모에 차량통행속도 시속 60㎞로 건설되는데, 4차선인 취안허 해관(세관) 간 고속도로와 연결되며 기존의 두만강대교를 대체하게 될 전망이다. 지난 1936년 건설돼 낡고 폭도 6.6m로 좁은 두만강대교에는 이따금 화물차들이 오갔다. 두만강대교를 통해 북한과 중국을 오가는 화물이 통과하게 되는 중국 측 세관인 취안허 해관에는 화물을 실은 트럭들이 꾸준히 들어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현지 정부 관계자는 북·중 무역이 꾸준히 이뤄지고 있지만 아직 직접적으로 눈에 띄게 늘지는 않았다고 전했다. 그러나 훈춘시에는 북한·러시아·한국과의 협력으로 이 지역을 물류 중심지로 개발하겠다는 기대가 높아지고 있었다. 훈춘시는 새 다리가 완공되면 늘어나는 통행량을 감당하고 물류 운수 원가를 낮춰 훈춘의 투자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북한과 러시아 사이 지도에서 길쭉하게 동해 쪽으로 뻗은 훈춘의 동쪽 끝 팡촨(防川) 룽후거(龍虎閣)에서는 저 멀리 동해부터 두만강, 그리고 두만강을 경계로 한 북한과 중국, 그리고 중국과 육상 경계를 함께하고 있는 러시아까지 한눈에 볼 수 있다. 룽후거는 ‘한눈에 3개국을 본다(一眼望三國)’는 광고 문구로 관광객들을 끌어들이고 있었다. 위도가 높은 데다 바닷바람, 강바람까지 불어 10월 말이지만 체감 기온이 영하에 가까운 날씨임에도 불구하고 남방 사투리를 쓰는 중국인 관광객들과 러시아 관광객들, 그리고 취재 기자, 기자를 안내한 조선족 기사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들었다.

중국은 이 지역에서 3국 중 유일하게 동해에 항구를 갖지 못했다. 중국 국경은 동해를 불과 9.6㎞ 앞에 두고 있다. 따라서 훈춘을 물류 중심지로 개발한다는 것은 북한의 나진항, 러시아의 자루비노항 등 러시아와 북한과의 협력을 전제로 한 것과 마찬가지다. 중국은 2009년부터 북한 나선 경제특구를 북한과 공동 개발하면서 ‘차항출해(借港出海·항구를 빌려 바다로 진출)’에 나섰지만 2013년 북한의 3차 핵실험과 장성택 처형으로 중국 대기업들이 상당 부분 철수하는 등 위축됐었다. 현지 소식통은 “2012년까지만 해도 활기를 띠며 지린성과 훈춘시 등 중국 공무원들이 대거 나선에 파견을 나갔었으나 2013년 두 사건 이후 돌아왔다”고 전했다.

그러나 최근 류윈산 상무위원의 방북에 지린성 등 동북 지역 상무 담당 지도자들이 동행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지린성 등 국경을 맞대고 있는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다시 북한과 적극적인 경제 협력을 통해 중국의 지방 도시와 함께 발전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지린성은 북·러와 육로로 연결되는 4개 국가급 통상구를 확보한 훈춘시에 대해 권한을 위임하고 자율성을 부여키로 했다고 현지 매체 지린왕(吉林網) 등이 보도했다.

훈춘에 지난 3월 말 준공돼 4월부터 영업을 시작한 포항현대국제물류유한공사의 연제성 법인장은 “지린성 내에서 훈춘은 물류 및 국제 협력 도시로 성장성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 지역에서 가장 현대화된 설비를 갖춘 이곳 물류센터 역시 올 들어 지린성과 옌볜주 관계자 등 2400여 명의 중국인 방문객들이 찾는 등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면서 “현재는 중국이 나진항을 통해 상하이(上海) 항로를 개통한 상황이고 곧 광저우(廣州)로 이어지는 항로도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현재 내륙으로 다롄(大連)과 잉커우(營口)를 통해 한국으로 수출하는 물품도 나진항을 이용할 수 있게 될 경우 물류 비용이 절반 이하로 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과 북한 국경의 동쪽 끝 훈춘에서 이 같은 준비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서쪽 끝인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에서도 북한과 연계한 관광이 이미 활성화됐으며 호시(互市)무역구를 개장하는 등 플랫폼을 만들고 북한과의 교역이 늘기를 기대하고 있다. 지난 10월 15일 단둥 궈먼(國門)항 커지우진청(科技五金城)에서 김영남 주선양(瀋陽) 북한총영사관 부총영사 등 북한 관계자들을 비롯한 중국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호시무역구 개장식이 열렸다. 스젠(石堅) 단둥시장은 “단둥을 북·중 무역 및 동북아 물류의 중심지로 만들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훈춘·단둥 = 글·사진 박세영 특파원 go@munhwa.com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 모바일 웹:m.munhwa.com)]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