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남부서 고구려 목책성 최초 확인

김성곤 2015. 11. 2. 09: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안성 도기동 유적서 백제·고구려 시대 목책성 발굴5일 오후 2시 발굴현장 일반 공개
안성 도기동 유적 원경(사진=문화재청)

[이데일리 김성곤 기자] 경기 남부지역에서 고구려가 활용한 목책성이 최초로 모습을 드러냈다.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의 허가를 받아 기남문화재연구원(원장 이동성)이 지난 9월부터 발굴조사 중인 ‘안성 도기동 유적’에서 백제의 한성 도읍기부터 고구려가 남쪽으로 진출한 시기에 사용된 목책성(木柵城)이 확인됐다. 목책성은 구덩이를 파고 나무기둥을 박아 서로 엮어서 성벽을 만든 방어 시설이다.

안성 도기동 유적은 안성천과 잇닿은 나지막한 구릉지에 위치한다. 목책성은 산줄기의 지형을 따라 분포하는데 모두 4개 구간에 걸쳐 130m 정도의 길이로 확인됐다. 목책성은 토루(土壘)를 쌓고 목책을 세운 구조로 토루는 기반암 풍화토를 층이 지게 비스듬히 깎은 후 토루 바깥면에 깬돌을 활용하거나, 토제(土堤)를 두고 흙다짐하여 조성했다.

특이한 점은 토루 바깥면을 직각으로 깎아낸 후 신라 석성의 구조적 특징 중 하나인 보축성벽과 유사한 보강벽을 조성한 것. 단면이 직각 삼각형 모양인 보강벽은 깬돌을 3~4단 정도 쌓고 벽면에 점토를 두텁게 바른 후 점토덩어리를 겹겹이 쌓고 불탄 흙을 다져 올려 마무리한 구조로 고구려 목책성인 세종시 부강면의 남성골산성과 축조방법이 매우 흡사하다.

유물론는 토루의 흙다짐층과 목책구덩 등에서 세발토기(삼족기), 굽다리접시(고배), 시루 등 백제 한성도읍기의 토기를 비롯해 껑, 손잡이 달린 항아리(파수부 호), 짧은 목 항아리(단경호), 사발(완) 등의 고구려 토기와 컵 모양의 가야계 토기도 출토됐다.

출토된 유물로 보아 목책성의 중심연대는 4~6세기로, 백제에 의해 축조돼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한 이후에는 고구려가 일부 고쳐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기동 유적에서 확인된 목책성의 구조와 출토유물로 볼 때, 이번 발굴조사는 사료로만 전하는 삼국 시대 책(柵)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경기 남부지역에서 고구려가 활용한 목책성이 최초로 확인되면서 진천 대모산성(충청북도 기념물 제83호), 세종 부강리 남성골산성(세종특별자치시도 기념물 제9호), 대전 월평동산성(대전광역시 기념물 제7호) 등과 연계해 고구려의 남진 경로를 재구성할 수 있는 학술적 가치가 매우 높은 유적이다.

한편 문화재청은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안성 도기동 유적의 보존방향을 모색할 예정이다. 발굴현장(경기도 안성시 도기동 산51-5번지)은 오는 5일 오후 2시 관심 있는 학계 연구자와 일반인에게 공개할 예정이다.

삼국 시대 성책 목책렬 전경 1구간(사진=문화재청)

김성곤 (skzero@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