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K 예다함상조, 상조 신상품 4종 출시

2015. 9. 7. 11:3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K 예다함상조(대표이사 김호영, www.yedaham.co.kr, 이하 예다함)는 신뢰(信)에 품격(格)을 더한 소비자중심의 합리적 신규 상품 4종(예다함信360, 예다함信390, 예다함信500, 예다함VIP)을 7일 출시했다고 밝혔다.

새롭게 선보인 상품은 업계 최고급형인 '예다함VIP', 프리미엄형 '예다함信500', 합리적 가격대의 실속형 '예다함信360'과 '예다함信390' 등으로 소비자가 원하는 장례규모와 소비자 성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도록 편의성을 높였다.

'예다함VIP'는 고품격 장례 서비스를 원하는 소비자들을 위해 마련된 VIP형 서비스로, 예다함 상품 중에서 최고의 품격과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한다. 장례지도사와 주·야간 도우미 등 투입되는 전문 인력만 20명에 달하며, 국내에서 수(手)제작된 최고급 수의, 고급 향나무 2단관, 900인분의 접객용품이 제공되는 등 접객수가 많은 VIP 인사의 의전진행에 걸 맞는 업계 최고 수준의 서비스가 제공된다.

프리미엄형 '예다함信500'은 '예다함VIP'보다 규모는 작지만 필요한 고급형 물품과 서비스는 꼭 챙긴 합리적 상품이다. '예다함VIP'와 마찬가지로 전국 어느 곳이든 거리 제한 없이 장의버스와 고급 리무진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납부방법을 월 180회납으로 선택하면 월 2만원 후반의 납부금액으로 예다함의 프리미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예다함信360', '예다함信390' 상품은 고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주요 품목만을 구성한 가장 실속 있는 상품이다. 특히 최근 국제 유가 하락에 따라 리무진과 버스 이용 시, 기본 제공거리 외 초과거리에 대한 추가 운임 비용을 낮춰 고객들의 부담을 줄인 점도 특징이다.

새롭게 출시된 신상품에도 접객 도우미, 버스, 수의 등 장례 진행 시 사용하지 않은 항목 비용을 돌려주는 페이백 시스템은 기존의 상품과 동일하게 적용된다.

예다함 김두호 마케팅팀장은 "최근 차별화된 상조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들의 니즈가 많아짐에 따라 고객들의 수요에 발맞춰 VIP와 프리미엄형 상품을 비롯한 신상품들을 출시하게 됐다"며 "국내 상조업계를 이끄는 브랜드로서 앞으로도 소비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세심하게 반영해 고객 만족도를 향상할 수 있는 상조 서비스를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예다함은 신상품 4종 출시를 기념해 10월 31일까지 풍성한 경품 이벤트를 진행한다. 이벤트 기간에 신규 상품인 예다함信360, 예다함信390, 예다함信500, 예다함VIP에 가입한 고객을 대상으로 추첨을 통해 삼성 셰프 컬렉션 대형 냉장고(1명), 55인치 LED TV(2명), 드럼세탁기(3명), 신세계 모바일 상품권(310명) 등 총 316명에게 푸짐한 경품을 제공한다. 또한, VIP상품 가입자 전원에게는 미니골드바가 사은품으로 증정한다.

이밖에도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이벤트로 신상품명을 맞추는 퀴즈이벤트 통해 정답자 300명을 추첨하여 모바일 상품권을 제공할 예정이다.

신규 상품에 대한 자세한 내용과 이벤트는 예다함 홈페이지(www.yedaham.co.kr)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대표전화(1566-6644)를 통해 안내 받을 수 있다. (연합뉴스)

☞ 수다? 성희롱?…MBC '진짜 사나이-여군특집3' 논란
☞ 돌고래호 가족들 대책위구성..."실종자 찾고, 진상규명을"
☞ 박대통령 열병식 때 쓴 선글라스, 국내 중소기업 제품
☞ 대만서 한국인 관광객 잇단 추태…이번엔 '치마속 몰카'
☞ 윤은혜 측 "의상 표절 아니다…노이즈 마케팅 말라"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