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뇌졸중 '모야모야병' 새 원인 유전자 첫 밝혀냈다

2015. 7. 23. 09:5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RALDH2 유전자 이상과 모야모야병의 관련성 밝혀져

[헤럴드경제=이태형 기자]소아 뇌졸중으로 알려진 ‘모야모야병’의 새로운 원인 유전자가 국내 연구팀에 의해 최초로 밝혀졌다.

서울대어린이병원 소아신경외과 김승기 교수, 서울의대 해부학교실 이지연 교수팀은 이 같은 결과를 미국심장학회가 발간하는 동맥경화ㆍ혈관생물학 분야 권위지인 ‘Arteriosclerosis Thrombosis and Vascular Biology’에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모야모야병은 주요 혈관이 서서히 막혀서 허혈성 뇌손상과 뇌졸중을 일으키는 질환으로, 혈관형성에 관여하는 혈관내피전구세포(endothelial progenitor cell, EPC)의 기능 이상이 모야모야병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왔다. 

국내와 일본에서 발병률이 높으며, 조기 진단과 적절한 수술적 치료를 받을 경우 정상 생활이 가능해 예후가 좋지만, 진단이 지연될 경우 뇌경색이나 뇌출혈로 인해 영구적인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한다. 특히 어린이에게서 발병률이 높아 주의를 요한다.

연구팀은 모야모야병 환아(환자군)와 정상인(대조군)에게서 말초혈액을 채혈하고 혈관내피전구세포를 분리ㆍ배양한 후 유전자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환자군의 혈관내피전구세포는 기능이 저하된 반면 정상 대조군은 이상이 없었다. 환자군은 정상 대조군에 비해 RALDH2(retinaldehyde dehydrogenase 2) 유전자가 4.2배 적게 발현됐다.

RALDH2 유전자는 비타민 A의 파생물질인 레티노익산(retinoic acid, RA)의 생체 합성에 관여한다. 환자군의 혈관내피전구세포에 레티노익산을 보충한 이후 기능이 정상 대조군과 같은 수준으로 회복됐다.

정상 대조군의 혈관내피전구세포에 RALDH2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켰을 때는 환자군의 혈관내피전구세포와 비슷한 기능 이상이 유발됐다.

김 교수는 “현재 모야모야병은 좁아진 뇌혈관 자체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고, 수술을 통해 혈류의 우회로를 만들어서 뇌혈류를 보충하는 것이 유일하다” 며 “이번 연구를 기반으로 원인 유전자와 치료 약제를 발견하면 조기 진단과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지정 희귀질환 중개연구센터인 소아청소년 뇌신경계 희귀질환 집중연구센터의 연구로 이뤄졌다.

thlee@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우리아이 영어글쓰기, 어떻게 교육하나요]
걸그룹 속옷 논란, 해명보니 “시간 없어 진짜 노출”
공급은 적고, 매매량은 증가하고, 서울 중심 중대형 아파트 인기
국정원 직원 자살 ‘미스터리 네가지’…네티즌 vs 경찰 ‘팽팽’
백종원 “아버지에 대한 미움이..“, 부친 백승탁, 강제추행혐의 조사 받아
이마트 트럭과 충돌한 투싼 ‘충격’…현대차 깎아내리기?
“수영복 벗은거야 입은거야?” 걸그룹의 ‘33반’ 아찔 몸매
“악덕 사장님 공개합니다” 알바몬 한 방에 네티즌 ‘박수’
김수현 측 "김주나, 이복 동생 맞다..잘 됐으면 좋겠어" 응원 '눈길'
김수현 김주나 이복남매 사실에 사총동생 엔소닉 시온도 '화제'…"잘 생겼는데 착하기까지"
부산에 들어서는 선시공•후분양 타운하우스, 금정 우진 더클래식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