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복·중복·말복..'복날'(伏─)'의 유래와 속 뜻은?

이슈팀 구유나 기자 2015. 7. 13. 07:0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슈팀 구유나 기자]

오늘(13일)은 초복이다. 1년 중 가장 더운 기간인 삼복(三伏)의 시작을 알리는 날이다. 사람이 더위에 지쳐 있다고 해 '복'(伏)이라고 이름 지었다.

'초복(初伏)'은 하지 후 3번째 경일(庚日)이며 4번째 경일은 '중복(中伏)', 입추 후 첫 경일을 '말복(末伏)'이라고 한다. 초복·중복·말복을 통틀어 '삼경일(三庚日)' 또는 '삼복'이라 부른다.

천간(天干) 중 경일(庚日)을 복날로 삼은 이유는 경(庚)이 오행 중 '금(金)'을 나타내며 계절로는 가을을 상징하기 때문이다. 즉, 금의 기운이 있는 경일을 복날로 정해 더위를 극복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일반적으로 초복·중복·말복은 10일 간격으로 찾아오지만 해에 따라서 중복과 말복 사이가 20일 간격이 되기도 한다. 이 날을 '월복(越伏)'이라 한다.

삼복에 대한 기록은 조선시대 기록물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학자들은 이를 중국 진나라에서 때부터 시작된 속절(俗節)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조선 후기 간행된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상고하면 '사기(史記·중국 전한시대 사마천이 저술한 역사서)'에 이르기를 진덕공 2년에 처음으로 삼복 제사를 지냈는데, 성 사대문 안에서는 개를 잡아 충재(蟲災·해충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방지했다고 하였다"라고 서술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궁중에서 삼복맞이 피서를 위해 벼슬아치들에게 얼음을 하사했다. 민간에서는 오늘날과 비슷하게 계삼탕(삼계탕)과 구탕(보신탕)을 먹었다. 무더위를 피해 술과 음식을 마련해 계곡이나 산정을 찾아가 발을 씻으며 노는 풍습도 있었다.

이슈팀 구유나 기자 kwhyen@gmail.com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