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05 특별부록지도 코스가이드ㅣ경기광주 백마산] 부드러운 능선 타고 주능선 올라 서울 방면 바라보는 조망 일품

글·사진 박영래 객원기자 2015. 6. 5. 15: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풍수지리 원조 도선국사가 이름 지어.. 왕건이 천하 다스릴 때 타게 될 백마를 닮은 산세라 하여

↑ [월간산]헬기장인 447.8m봉에서 남쪽으로 조망되는 백마산 정상 동릉(바로 앞). 정상 동릉 뒤편은 말바위능선, 말바위능선 오른쪽은 용마봉. 백마산 정상은 오른쪽 소나무 나뭇가지에 살짝 가려진 채 보인다.

칠장산을 뒤로하는 한남정맥은 용인시 문수봉(403m)을 지나 수원시 광교산(581m) 방면으로 나아간다. 문수봉에서 한남정맥을 이탈해 북쪽으로 달아나는 능선이 있다. 앵자지맥이다. 앵자지맥은 약 7km 거리 독조봉(434m)에 이르면 동쪽으로 독조지맥을 분가시키고 계속 북진한다.

북진하는 앵자지맥은 약 7km 거리인 410m봉(용인시 양지면 정수리 동쪽)에 이른 다음,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약 0.7km 거리인 370m봉에서 진행 방향을 북동으로 바꾼다. 이후 앵자지맥은 광주시와 이천시 경계를 이루며 천덕봉(635m)~앵자봉(670m)으로 이어진다.

앵자지맥이 북동으로 방향을 바꾸는 370m봉에서 북서쪽으로 가지 치는 능선이 있다. 이 능선이 약 6.5km 거리에 이르면 마구산(595m·일명 말아가리산)을 일으키고, 능선은 ㅏ자형으로 갈라진다. 이곳에서 남동으로 가지 치는 능선은 약 1.4km 거리에 태화산(泰華山·641.1m)을 빚어 놓는다.

마구산에서 북으로 직진하는 주능선은 약 3km 거리에 정광산(正光山·562.1m), 정광산에서 약 0.5km 거리에 노고봉(老姑峰·579.1m), 노고봉에서 약 2.5km 거리에 발리봉(發梨峰·511.5m), 발리봉에서 약 1.6km 거리에 용마봉(勇馬峰·503.3m), 용마봉에서 약 1.3km 거리에 이르러 백마산(白馬山·460.6m)을 빚어놓는다.

↑ [월간산]2 마름산 서릉 묘역에서 남동쪽으로 보이는 헬기장인 447.8m봉(왼쪽). 447.8m봉 뒤 백마산 정상은 가려져 보이지 않는다. 그 뒤는 용마봉이다. 오른쪽 315m봉 서릉 아래는 대주아파트(왼쪽)와 우림아파트. 우림아파트 오른쪽에 쌍용 2차아파트가 있다. / 3 백마산 정상비석.

백마산에서 계속 북진하는 능선은 약 2.8km 거리에 마름산(316.3m)을 들어 올린 다음 주능선 방향을 북동으로 틀어 약 5km 더 이어지다가 광주시 초월읍 지월리 경안천과 곤지암천 합수지점에 여맥들을 모두 가라앉힌다.

백마산 이름은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의 도선국사(道詵國師)가 멀리서 이 산을 바라보고 산세가 마치 백마의 등허리 같다고 해서 지었다는 설과 도선국사가 후백제의 견훤을 물리치고 고려를 개국할 재목으로 왕건을 지목하고 그의 휘하 군사들을 훈련시킬 장소로 백마산 일대를 택했었다는 설이 전한다.

도선국사는 우리나라 풍수지리설의 원조다. 중국에서 기원한 풍수지리설과 음양도참설을 골자로 한 그의 〈도선비기(道詵秘記)〉는 고려의 정치와 사회는 물론, 조선을 거쳐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 국민 생활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 [월간산]1 쌍용 2차아파트 방면 315m봉 서릉으로 25분가량 오른 쉼터 직전에서 남동으로 보이는 헬기장인 447.8m봉과 백마산 정상(오른쪽) / 2 315m봉에서 10분 오르면 나오는 바위지대 우회길 밧줄난간지대.

도선국사는 왕건이 20세 때 세상을 떠났다. 전설에 의하면 그가 풍수지리의 영향으로 장차 새 나라를 세울 운세를 가진 왕건이 태어나도록 집터를 잡아 주었고, 왕건이 세울 새 나라의 서울을 개성으로 잡아 주기까지 했다. 그 공로 때문인지 고려 왕조는 여러 대를 내려가며 그에게 요공국사 선각국사라는 시호와 대선사 왕사라는 칭호를 추증하기도 했다.

경기도 중앙에 위치한 광주시(廣州市)는 한강을 지배했던 세력이 한반도 역사를 이룬 그대로 고구려, 신라, 백제의 각축장이었다. 뿐만 아니라 외침(外侵)을 받았을 때에도 수도 공략 및 피란지(남한산성)로 이용되는 등 수난이 심했던 곳이다.

한강을 이용했던 시대에는 한강변의 중소 항구로서 내륙으로 물자를 수송하는 중요한 역할을 했고, 육로교통이 발달하면서는 3번(광주~이천·충주, 일명 경충국도), 43번(광주~성남·수원), 45번(광주~용인·평택) 국도와 근래에 이르러 중부고속국도가 광주시 중앙을 관통, 물자교역상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월간산]3 양벌초교(왼쪽) 입구에서 남동으로 본 447.8m봉 (헬기장). 447.8m봉 왼쪽 아래가 공작현이다. 오른쪽은 315m봉 서릉 아래 대주아파트와 우림아파트 / 4 북쪽 마름산과 동쪽 초월읍사무소 방면 길이 만나는 공작현.

광주시는 옛날 한때 수도권 동남부에서 최고로 광활한 주거지였다. 현재 서울특별시 강동구, 잠실 일원, 성남시와 하남시 등이 본래는 옛날 광주군(廣州郡) 땅이었다. 그래서 넓을 광(廣)을 쓰는 고을 이름을 얻게 된 것이다.

백마산은 서울, 성남, 하남, 이천, 용인지방 주민들에게 평일 및 주말 등산코스로 인기 높은 산이다. 백마산 등산기점으로 연결되는 광역버스로 1시간 안팎이면 닿기 때문이다.

산세는 몇 군데 바위지대가 보이지만, 대부분이 육산이다. 바위지대 및 급경사마다 난간형 밧줄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외에 등산로 주요기점마다 안내판 및 정확한 이정표가 설치되어 노약자 및 어린이를 동반한 가족산행 코스로도 제격이다.

↑ [월간산]

백마산 등산코스는 주능선 북서쪽인 오포읍 양벌리와 주능선 동쪽인 초월읍 쌍령리, 대쌍령리, 쌍동리, 산이리 방면에서 오르고 내리는 코스들이 발달되어 있다.

양벌리 방면에서는 양벌2리 쌍용 2차아파트~315m봉 서릉~극락사 갈림길~ 315m봉~헬기장(447.8m), 쌍용 2차아파트(또는 양벌초등학교)~우림아파트 출입구~공작현~대주아파트 갈림길~315m봉~헬기장, 우림아파트 출입구~ 대주아파트~공작현 남쪽 대주아파트 갈림길~315m봉~헬기장, 양벌초등학교 북쪽 쌍용 1차아파트~마름산~공작현 경유 백마산 정상에 오르는 코스 등이 대표적이다.

정상 북쪽 쌍령리 방면에서는 경안교에서 남동쪽 3번국도로 약 500m 거리인 세광주유소 정류장~마름산~공작현~315m봉~ 헬기장, 세광주유소 남쪽 대쌍령리 초월읍사무소~헬기장 북동릉~헬기장, 대쌍령리 남쪽 쌍동리에서는 동광아파트~백마산 정상 동릉, 도곡초교~백운사~호랑이고개 경유 정상에 오르는 코스가 대표적이다.

↑ [월간산]1 헬기장인 447.8m봉 직전 계단에서 뒤돌아 본 마름산 방면 / 2 경안교 방면 능선 길과 만나는 마름산 정상 / 3 447.8m봉 헬기장에서 약수터 방면으로 또 하나 있는 헬기장에서 북서쪽으로 본 마름산 능선. 마름산 뒤는 광주시 번화가인 경안동이다 / 4 세광주유소 버스정류장에서 북쪽으로 약 80m 거리인 굴다리로 내려서는 지점에 있는 푯말. 현 위치가 경안교로 쓰여 있다.

정상 남동쪽인 산이리에서는 산이2리 마을회관~말바위 능선~용마봉 경유 백마산에 오르는 코스가 가장 많이 이용된다. 용마봉 남쪽 발리봉에서 북동쪽 산이2리 마을회관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주로 하산코스로 이용된다. 상기 코스들을 양벌2리 쌍용 2차아파트를 기점으로 시계방향으로 소개한다. 양벌2리 쌍용 2차아파트~315m봉 서릉~헬기장(447.8m봉) 북서릉~헬기장~백마산 정상 〈약 3.5km·2시간 30분 안팎 소요〉

쌍용 2차아파트 직전 홍천막걸리식당을 끼고 오른쪽으로 들어가도 315m봉 서릉으로 오를 수 있다. 초행길에는 쌍용 2차아파트 안으로 들어가 315m봉 서릉으로 오르는 것이 편하다. 우림아파트 갈림길을 지난 쉼터 직전에서는 남동으로 헬기장인 447.7m봉과 그 오른쪽 백마산 정상이 시야에 들어온다. 극락사 갈림길을 지난 315m봉을 뒤로하고 헬기장으로 향하는 길은 급경사에 통나무 계단길이 길게 이어진다.

양벌2리 양벌콜택시 사무실 앞 사거리-오른쪽으로 길 건너 쌍용아파트 들목-(3분)→(홍천막걸리식당 앞 ㅏ자 삼거리)-(약 30m)→쌍용 2차아파트 출입구-(아파트 안으로 약 2분)→사각정자 앞을 지난(오르막으로 약 20m 더 올라간다) 오른쪽 아파트 주차장 입구-(주차장 통과 약 100m)→아파트 서쪽 출입문 통과-(남쪽 지계곡 길로 8분)→315m봉 서릉(서쪽 20m 거리에 ←백마산 2.56km, 세양·현대아파트 0.36km→ 푯말)-(8분)→대주·우림아파트 갈림길(↑백마산 2.26km 푯말)-(13분)→쉼터(벤치 2개)-(약 30m)→무명봉 위 쉼터(사각 탁자 1개, 벤치 5개)-(내리막 약 30m)→쉼터(벤치 3개, 철봉)-(7분)→큰 묘 2기-(30m)→쉼터(벤치 2개)-(30m)→쉼터(사각탁자 2개)-(약 80m)→극락사 갈림길(극락사 0.20km→, ↑백마산 1.29km 푯말)-(2분)→헬기장 북서릉 315m지점(←경안교 4.1km, ←마름산1.71km, ↓양벌 1리 세양·현대아파트 1.76km, ↓양벌 2리 쌍용 2차아파트 1.50km, 백마산 1.16km→ 푯말)-(2분)→체육시설 쉼터(사각탁자 1개, 벤치 5개, 운동기구 4개)-(1분)→통나무계단 하단-(약 30m)→바위지대 하단 왼쪽 우회 밧줄시작-(3분)→바위 상단부-(20m)→통나무계단 하단-(약 150m〔7분〕)→통나무계단 상단부-(6분)→헬기장(447.8m) 푯말(↑백마산 0.56km, ←약수터 0.30km, ←초월읍사무소 2.50km, ↓경안교 4.7km)-(헬기장 건너 약 40m)→삼각점(이천 454)과 남동쪽 조망 설명도-(오른쪽 내리막길로 10분)→헬기장-(1분)→백마산 정상(소나무 아래 둥근 탁자와 남쪽에 정상비석, 현 위치 1-1 푯말, ↑용마봉 1.18km, ↑발리봉 2.80km, 태화산 11.20km, ←쌍동리 동광아파트 2.25km, ↓마름산 2.87km, 경안교 5.27km 푯말).

↑ [월간산]

양벌2리~쌍용 2차아파트~공작현~447.8m봉(헬기장)~백마산 정상 북릉~정상 〈쌍용아파트 입구 기점 약 3.7 km·2시간 30분 안팎 소요〉

우림아파트 입구 삼거리는 큰길 쌍용 2차아파트 입구 북쪽 오포농협 왼쪽 골목길 안에 있는 양벌초교에서 들어가도 된다. 양벌초교 출입문 앞에서 남동쪽으로 보이는 대주아파트(왼쪽)와 우림아파트 방면 넓은 공터 사이로 난 길을 따라가면 된다. 쌍용 2차아파트 입구-(8분)→우림아파트 출입구 앞 삼거리-(왼쪽으로 4분)→모아베이비 물류센터-(1분)→광주볼링장-(3분)→충신제일교회 출입문 앞 오른쪽 기둥형 푯말(↓양벌리 0.4km, 백마산 2.2km→)-(오른쪽 사면으로 약 30m)→지능선길 진입(큰 묘 2기)-(13분)→오른쪽 사면 길 진입-(2분)→공작현(←경안교 3.7km, ↑초월읍사무소 2.1km, ↓우림아파트 1.2km, 백마산→ 푯말)-(4분)→양벌2리 대주아파트 갈림길(대주 1차아파트 0.37km→, ↓경안교 3.75km, ↑백마산 1.52km 푯말)-(6분)→쉼터(사각탁자 1개, 벤치 2개)-(4분)→해발 315m봉 극락사 갈림길. 이후 헬기장(447.8m) 경유 백마산 정상으로 향한다.

양벌2리 우림아파트 출입구 앞 공작현으로 가는 길목인 삼거리에서는 대주아파트를 경유해 헬기장으로 오르는 길도 있다. 우림아파트 출입구 앞 삼거리에서 오른쪽으로 14분가량 가면 대주아파트 출입구인 대주할인마트가 나온다. 대주할인마트에서 오른쪽 110동(왼쪽)과 107동(오른쪽) 사이 오르막길로 10분가량 올라가면 기둥형 푯말(↓대주아파트 0.3km, 백마산 1.9km→)이 나온다. 푯말에서 오른쪽 급경사 우마차길을 따라 15분가량 오르면 공작현 방면 길과 만나는 대주아파트 갈림길(대주 1차 아파트 0.37km 푯말)에 닿는다. 양벌2리 쌍용 1차아파트~마름산 남서릉~마름산~공작현~헬기장(447.8m봉)~백마산 정상 〈약 4.5km·3시간 안팎 소요〉

양벌약수터 앞에서 동쪽으로 직진하는 계곡 방면 길은 마름산 북쪽 송림쉼터로 이어진다. 공작현~헬기장 방면으로 편하게 오르려면 송림쉼터로 직등하는 것도 괜찮다. 온양 방씨와 경주 김씨 묘역에서 남쪽으로는 헬기장이 있는 447.8m봉이 그 오른쪽 아래 315m봉 서릉과 함께 시원하게 펼쳐진다. 315m봉 서릉 아래로는 시계방향으로 대주아파트~우림아파트~쌍용 2차아파트가 보인다.

↑ [월간산]1 동광아파트 갈림길 직전 쉼터(벤치 1개)에서 남서쪽으로 올려다 보이는 백마산 정상. 정상 왼쪽은 백마산 정상에서 동광아파트 방면 동릉이다 / 2 헬기장에서 남동으로 본 쌍동리와 산이리 방면. 앞 능선은 백마산 정상 동릉, 그 뒤는 말바위 능선이다. 멀리는 곤지암을 지난 곳인 설봉산 방면 / 3 동광아파트와 롯데아파트 갈림길에서 10분 오르면 나오기 시작하는 석탑 / 4 롯데아파트 갈림길에서 서쪽으로 본 백마산 정상(왼쪽)과 헬기장이 있는 447.8m봉(오른쪽).

쌍용 1차아파트 출입구-(왼쪽 골목으로 2분)→양벌약수터-(약수터 뒤편 통나무계단으로 약 35m)→마름산 남서릉 능선길 진입-(2분)→(묘 2기 지나 6분)→온양 방씨와 경주 김씨 묘역-(1분)→143.2m봉-(2분)→푯말(←양벌 3리 0.6km, ↓쌍용아파트 0.5km)-(15분)→사거리 쉼터(←양벌 3리 0.9km, ↓쌍용아파트 0.9km 푯말, 벤치 2개, 철봉과 평행봉)-(8분)→지적 삼각점 표지석-(3분)→마름산 정상(↓쌍용아파트 1.7km, 백마산 2.5km→ 푯말)-(5분)→송림 무명봉-(4분)→송림 쉼터(벤치 4개, ↑백마산 2.37km, 쌍용 1차아파트 1.6km, ↓경안교 2.9km 푯말)-(12분)→공작현. 이후 대주 1차아파트 갈림길~극락사 갈림길~헬기장 경유 백마산 정상으로 향한다.쌍령리 경안교~마름산~공작현~447.8m봉~백마산 정상 〈약 5.5km·3시간 30분 안팎 소요〉

경안천(慶安川)을 건너는 경안교는 광주시 번화가인 경안동에서 초월읍 쌍령동으로 3번국도가 건너가는 다리이다. 예전에는 경안교를 건너간 사거리에서 남쪽 양벌리 방면 길로 들어서자마자 왼쪽 급경사 절개지로 오르는 등산로가 있었다. 그러나 이곳은 건널목이 없어 교통사고 위험이 따른다. 여기에다 절개지 상단부가 사유지인 듯 요즘 산을 깎아 내는 공사가 진행 중이다.

안전하고 새로운 등산시발점은 경안교를 건너간 사거리에서 3번국도를 따라 약 500m 거리인 육교 아래 '세광주유소 버스정류장'이다. 버스정류장에서 북쪽에는 '백마산 등산로 안내도'가 세워져 있다. 세광주유소 버스정류장-(북쪽으로 약 80m)→푯말(현 위치 경안교, ←태화산 16.37km, ←백마산 5.27km, ←마름산 2.40km)-(왼쪽 계단 내려감)→3번국도 밑으로 뚫린 굴다리 왼쪽 사거리-(왼쪽으로 3분)→차단기 앞 ㅏ자 삼거리(백마산 5.05km→ 푯말)-(오른쪽으로 5분)→T자 삼거리(←백마산 4.88km 푯말)-(왼쪽 마름산 북릉으로 15분)→패러글라이딩 이륙장-(2분)→142.8m봉-(5분)→쌍령동 갈림길 쉼터(벤치 2개 · ↑백마산 4.0km, ↓경안교 1.2km 푯말)-(16분)→백련암 방면 양벌리 갈림길(↑백마산 3.4km, ↓경안교 1.8km, 양벌리 0.8km→ 푯말)-(14분)→마름산 정상(↑백마산 2.5km, 쌍용아파트 1.7km→ 푯말). 이후~송림쉼터~공작현~대주 1차아파트 갈림길~극락사 갈림길~헬기장 경유 백마산으로 향한다.대쌍령리 초월읍사무소~447.8m봉(헬기장) 북동릉~백마산 정상 〈약 3km·2시간 30분 안팎 소요〉

전나무 숲을 다 오른 447.8m봉 북동릉 안부에서 5분 거리인 쉼터에서는 남동으로 동광아파트 방면이 조망된다. 이곳에서 남서쪽으로는 백마산 정상 동릉과 헬기장인 447.8m봉 방면 능선들이 주름지어 시야에 들어온다.

↑ [월간산]

첫 번째 약수터에는 초월읍사무소에서 '음용수로 부적절'하다는 안내문을 걸어 놓았다. 그러나 두 번째 약수터는 그냥 마셔도 괜찮은 물이다. 세 번째 약수터에서 10분 오르면 나오는 첫 번째 헬기장에서는 북서쪽으로 마름산과 광주시 번화가인 경안동이 조망된다. 초월읍사무소 앞 버스정류장-(북으로 약 150m〔2분〕)→대쌍령2리 마을비석과 푯말(←용마산 4.24km, ←백마산 3.06km)-(서쪽 마을길로 3분)→대쌍령2리 마을회관-(6분)→고가도로 아래 체육시설 지난 삼거리 푯말(←백마산 2.44km, ↓초월읍사무소 0.62km)-(왼쪽으로 5분)→원텍시험연구소 출입문 앞-(왼쪽 비포장길로 약 2분)→초월 솔내음힐링타운하우스 입구 ㅏ자 삼거리-(왼쪽 전나무 숲 지계곡으로 10분)→447.8m봉(헬기장) 북동릉 안부(↓초월읍사무소 0.9km, 백마산 1.7km→ 푯말)-(5분)→조망 쉼터(벤치 1개)-(3분)→쌍동리 동광아파트 갈림길(큰 돌무더기 2개)-(2분)→첫 번째 약수터와 체육시설-(7분)→오래된 큰 묘 1기-(약 60m)→Y자 갈림길)-(왼쪽 사면 길로 4분)→지능선 T자 삼거리-(오른쪽으로 2분)→왼쪽 사면 길로 진입-(3분)→두 번째 약수터(탁자 1개와 통나무 벤치 4개)-(북서쪽 사면 길로 3분)→지나온 큰 묘 방면 능선 길과 만나는 헬기장 진입 직전 삼거리(↑백마산 1.0km, ↓초월읍사무소 1.6km 푯말)-(첫 번째 헬기장 지나 5분)→ 두 번째 헬기장(447.8m봉). 이후 남릉을 타고 백마산 정상으로 향한다.쌍동리 동광아파트~백마산 정상 북동릉~롯데아파트 갈림길(동광아파트 갈림길)~백마산 정상 〈약 2.8km·2시간 30분 안팎 소요〉

동광아파트에서는 헬기장(447.8m) 북동릉(첫 번째 약수터 아래 삼거리)과 헬기장 동릉으로 오르는 길도 있다. 이 길들은 안내 푯말이 없다. 이곳 마을주민들이 다니는 정도다. 롯데아파트 갈림길이 있는 삼거리에서 남동쪽 롯데 아파트 방면 길로 10분 거리인 삼거리에서 롯데아파트는 북동쪽이다. 삼거리에서 남동쪽 길은 원강계전 공장 앞을 지나 도곡초등학교로 이어진다. 3번국도 동광아파트 입구 버스정류장-(계단 내려온 굴다리 입구에서 오른쪽으로 5분)→ㅓ자 삼거리(동광아파트 마을버스정류장 앞)-왼쪽 오르막으로 약 100m→동광아파트 103동 오른쪽 공터(파란 지붕 창고 건물)-(건물 남쪽 등산로 진입 4분)→능선(백마산 정상 북동릉)길 진입-(오른쪽 능선길로 18분)→ㅏ자 삼거리(오른쪽 길은 대림아파트 갈림길)-(10분)→롯데아파트 갈림길(←롯데아파트 1.08km, ←경기주유소 앞 버스정류장 1.71km, ↓동광아파트 1.15km, ↓대림아파트 0.62km, 백마산 1.1km→ 푯말)-(5분)→안부-(8분)→첫 번째 석탑-(4분)→두 번째 석탑-(3분)→세 번째 석탑-(1분)→쉼터(벤치 2개)-(약 50m)→네 번째 석탑-(4분)→밧줄 하단-(3분)→약 40m 길이 밧줄 상단-(10분)→백마산 정상(현 위치 1-1).쌍동리 도곡초등학교~백운사계곡~백운사~백마산 정상 남릉 안부~백마산 정상 〈약 3.5km·3시간 안팎 소요〉

도곡초등학교 입구에서는 블랙야크 등산장비점 큰 간판이 가장 눈에 띈다. 블랙야크 등산장비점 왼쪽 골목길이 바로 도곡초교 정문과 이어진다. 초은학원에서 4분 거리인 원강계전 공장 입구에서 오른쪽(북서쪽) 길은 백마산 정상 동릉 롯데아파트 갈림길~동광아파트 갈림길과 이어진다. 이 길을 따라 정상으로 향해도 괜찮다. 백운사에서 20분이 조금 더 소요되는 백마산 정상 남릉 사거리 안부는 일명 호랑이고개로도 불리 운다.

↑ [월간산]5 백운사에서 20분 거리인 백마산 정상 남릉 안부 현 위치 1-2번 푯말. 예전에는 일명 호랑이고개로 불리던 곳이다 / 6 백마산 정상에서 남쪽으로 보이는 용마봉과 말바위 능선(왼쪽).

쌍동리 경기주유소 버스정류장-(북쪽으로 약 50m)→블랙야크 등산장비점 앞-(왼쪽 골목길로 약 100m)→도곡초등학교 정문 앞 T자 삼거리-(왼쪽으로 약 100m)→초은학원 앞 사거리-(오른쪽으로 4분)→원강계전 공장 오른쪽 입구-(직진으로 3분)→빨간 벽돌 2층 건물 앞 삼거리-(직진 5분)→갈멜산기도원-(약 100m)→초소 앞 삼거리(백마산 안내 푯말과 백운사 안내석)-(13분)→백운사 입구-(5분)→사거리-(2분)→두 번째 사거리(↑백마산 등산로 입구 푯말)-(7분)→백마산 정상 남릉 안부(현 위치 1-2 · ←발리봉 2.4km, ←용마봉 0.79km, ↓쌍동리 도곡초교 2.36km, ↓백운사 0.5km, 백마산 0.39km→, 마름산 3.26km→, 경안교 5.66km→ 푯말)-(13분)→ㅓ자 삼거리(왼쪽 출입금지 안내판)-(오른쪽 주능선으로 2분)→백마산 정상(현 위치 1-2 푯말과 ↓태화산 11.10km, ↓발리봉 2.80km, ↓용마봉 1.18km, ↑경안교 5.17km, ↑마름산 2.87km, ↑헬기장 0.56km, 쌍동리 동광아파트 2.25km→, 쌍동리 롯데아파트 2.18km→, 쌍동리 대림아파트 1.72km→ 푯말).

산이2리 마을회관~말바위능선~용마봉~백운사 갈림길 안부~백마산 정상 〈약 5.5km·3시간 30분 안팎 소요〉

말바위 능선 상의 말바위는 옛날 이 바위에서 어느 장수가 탈 날개 달린 용마가 나왔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이 전설에 기인(基因)해서 백마산이라는 이름이 생겼다는 설도 있다.

말바위는 백마산에서 가장 돋보이는 바위이다. 이 바위 위에서는 북동으로 무갑산, 남으로 설봉산 방면 중부고속도로와 도드람산 등이 시원하게 눈에 들어온다. 수직 절벽인 서쪽 벼랑에는 암벽등반 훈련 흔적인 슬링테이프가 걸린 볼트와 하켄이 박혀 있다.

말바위에서 30분 거리인 두 번째 쉼터는 서울 방면 조망이 일품이다. 이곳에서는 서쪽으로 용마봉, 북으로는 백운사계곡 건너 백마산 정상과 447.8m봉(헬기장)이 마주 보인다. 용마봉 오른쪽 멀리로는 청계산, 남산타워, 삼성동 코엑스 빌딩, 서울 서대문구 방면 안산과 무악재, 북한산 비봉~향적봉, 보현봉 등이 하늘 금을 이룬다. 북쪽 백마산 정상 뒤로는 남한산(성)이 멀리 북한산 백운대, 도봉산 선인봉, 수락산 등과 함께 시야에 들어온다. 수락산에서 오른쪽으로는 검단산, 운길산, 고래산, 천마산, 서리산, 축령산, 앵자봉, 무갑산 등이 광활하게 펼쳐진다.

↑ [월간산]1 말바위에서 약 35분 거리인 두 번째 쉼터. 이곳에서는 서울 방면 조망이 일품이다. 뒤에 보이는 산은 백마산 정상과 헬기장인 447.8m봉 / 2 발리봉 정상비석 / 3 발리봉에서 산이2리 방면 능선으로 15분 거리인 절벽 아래 샘터.

산이2리 경로당-(2분)→넓은 공터 앞 삼거리-(오른쪽으로 5분)→말바위능선마루(←백마산 등산로 입구 기둥형 푯말)-(2분)→119.8m봉(삼각점·이천 452)-(5분)→무덤터-(12분)→묘 2기-(8분)→말바위봉-(5분)→무명봉 왼쪽 사면 길 진입-(5분)→무명봉 서쪽 안부-(10분)→원형 탁자 2개-(9분)→삼거리-(4분)→전망장소 쉼터(원형 탁자 1개)-(15분)→주능선 무명봉 쉼터(원형 탁자 1개, ←발리봉 1.1km, ↓산이리 2.9km, 백마산 1.8km→ 말뚝형 푯말)-(약 50m)→현 위치 1-4 푯말-(4분)→안부(왼쪽에 출입금지 안내판)-(10분)→용마산 정상(현 위치 1-3)-(5분)→바위지대 쉼터-(12분)→백운사 갈림길. 이후 직진하는 능선을 타고 백마산 정상으로 향한다.

백마산~용마봉~발리봉~발리봉 동릉~용마봉~산이2리 마을회관 하산코스 〈약 6.5km·4시간 30분 안팎 소요〉

용마봉 남동쪽 말바위 능선 갈림길 남쪽 헬기장을 지난 안부 사거리에서 서쪽과 동쪽 산이천계곡은 출입금지구역이다. 특히 백마산 정상에서 발리봉으로 이어지는 능선 서쪽 전 지역은 사격장으로 출입하지 말아야 된다. 발리봉은 백마산 일원에서는 가장 높은 봉우리이다. 그래서 산이리(酸梨里) 주민들은 발리봉을 백마산 정상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발리봉에서 15분 거리인 샘터는 갈수기에도 마르지 않는 석간수이다. 이 샘터는 약 20m 높이 천정바위(오버행) 밑에서 나오는 물로 백마산 일원에서 가장 깨끗한 샘물이다. 샘터 갈림길에서 북쪽 샘터로 내려갔다가 반대편길인 남동쪽 능선으로 올라오는 데는 10분 정도 걸린다. 백마산 정상-(12분)→백운사 갈림길(현 위치 1-2)-(20분)→쉼터(둥근 탁자 1개)-(9분)→용마봉 정상(현 위치 1-3)-(15분)→말바위능선 갈림길(현 위치 1-4 · ←산이리 마을회관 3.10km, ←말바위 1.74km, ↓백마산 1.63km, ↑발리봉 1.17km 푯말)-(4분)→안부 철탑-(약 30m)→푯말(←발리봉 0.95km 푯말)-(왼쪽 오르막으로 5분)→헬기장-(5분)→산이리계곡 갈림길 안부(↑발리봉 0.50km 푯말)-(19분)→발리봉(현 위치 1-5 · ←산이리 마을회관 3.40km, ←씀배산 1.60km, ↓백마산 2.80km, ↓용마봉 1.62km, 태화산 8.30km↗, 정광산 3.26km↗, 노고봉 2.74km↗ 푯말)-(동릉으로 5분)→Y자 갈림길-(7분)→샘터 갈림길(←샘터 0.1km, ↓발리봉 0.65km 푯말)-(왼쪽으로 4분)→절벽 아래 샘터-(샘터 왼쪽〔남동쪽〕 사면 길로 4분)→다시 발리봉 동릉 도착-(20분)→독고개(↑산이2리 경노당, ↑씀배산 0.2km, ↓발리봉 1.1km 푯말)-(3분)→씀배산 정상(벤치와 원형 탁자)-(15분)→신배정(사각정자와 샘터)-(2분)→묘역-(6분)→아스팔트포장길 끝나는 지점-(직진으로 약 200m)→T자 삼거리(오른쪽에 태화산 등산안내도)-(북쪽으로 4분)→산이2리 마을회관(2층 컨테이너 건물) 앞.교통

서울→양벌리(광주~외국어대학~용인 방면)

강변역(전철 2호선) 동서울터미널 동쪽 맞은편 테크노파크 북쪽 정류소에서 12분 간격(04:50~22:45)으로 운행하는 1117번(강변역~석촌역~송파사거리~가락시장~문정역~복정역~경원대학교~성남중부경찰서~모란역·모란시장〔분당선·8〕~광주~양벌3리 현대주유소~양벌2리 쌍용 1차아파트~쌍용 2차아파트 입구〔샛터 정류장〕~매곡초교~외국어대학교) 이용.

↑ [월간산] 옛날 말이 나왔다는 전설이 있는 말바위. 왼쪽 산이천계곡 건너로 발리봉이 보인다.

같은 정류소에서 20분 간격(05:50~22:30)으로 운행하는 1113번(강변역↔에버랜드) 광역버스 이용. 이 버스는 강변역~천호역~강동역~길동사거리~상일초교~중부고속국도~광주IC~광주시청~ 광주터미널 맞은편〔참조은병원 정류장〕~양벌3리 현대주유소~양벌2리 쌍용 1차아파트~쌍용 2차아파트~매산리공원묘지 입구·부대~외대 입구(모현 사거리)~포곡읍사무소~항공대학 경유 에버랜드(기점)까지 운행한다.

이외에 강남 신사역에서 20분 간격(05:25~22:30)으로 논현역~양재역 경유 외국어대학행 1005번 광역버스도 있다. 광주↔양벌리 구간은

17-1번(광주차고지~래미안 금광아파트), 20번(경안동 경안주차장~용인터미널〔06:10~21:50 · 15분 간격〕), 60번(광주차고지~수원역〔05:00~23:00 · 12분 간격〕) 일반버스 등이 수시로 운행된다.  서울→쌍령리·대쌍령리·쌍동리·산이리 (광주~곤지암 3번국도 방면)

강변역(전철 2호선·동서울터미널 맞은편 테크노파크 북쪽) 버스정류소에서 4~7분 간격(06:30~23:40)으로 운행하는 1113-1번(강변역↔동원대학) 광역버스 이용. 이 버스는 강변역~천호역(전철 5·8호선)~강동역~길동사거리~ 중부고속도로~광주 IC~광주터미널〔건너편 참조은병원 정류장〕~역동사거리~경안교 건너~쌍령리 세광주유소~대쌍·초월읍사무소~소쌍~산이리~곤지암터미널~동원대학(기점)까지 운행.잠실역(전철 2·8호선) 버스정류소에서 10분 간격(04:45~24:00)으로 운행하는 500-1번(잠실역↔동원대학) 광역버스 이용. 이 버스는 잠실역~석촌역~송파역~복정역~경원대학~모란시장~초월읍사무소~곤지암터미널~ 곤지암 LG아파트~수항리~신촌리~ 동원대학(기점)으로 운행.

교대역(전철 2·3호선) 버스정류소에서 12분 간격(06:20~23:30)으로 운행하는 500-2번(교대역↔동원대학) 광역버스 이용. 이 버스는 교대역~강남역 3번 출구~양재동 꽃시장~복정역~경원대학~모란시장~초월읍사무소~곤지암~수항리~동원대학(기점)까지 운행.

이외에 광주에서 곤지암 방면은 114번(광주차고지~이천터미널), 37-11번(광주차고지~백암터미널), 300번(구미동차고지~곤지암터미널), 35-25번(광주차고지~학동 1리) 등 시내버스가 수시 운행한다. 식사 및 숙박(지역번호 031)

양벌 2리 일원쌍용 2차아파트 입구 깨순이 김밥(767-2003) 앞에서 쌍용 2차아파트 방면으로 자리한 우리수산(761-1779), 호식이 두 마리치킨(765-8464), 옛날치킨(768-8567), 다모즉석두부(797-0422), 민속한우 숯불갈비(768-8485), 홍천막걸리(763-5882), 양벌초교 입구에서 쌍용 1차아파트 방면 도로 건너편 뿔난버섯집(765-9449), 양평해장국(763-0890), 또봉이통닭(798-1611), 신촌감자탕부대찌개(765-9768), 우리집순대국(763-8857) 등 이용. 쌍동리 동광아파트 일원

3번국도변 동광아파트 입구 쌍동 분기점 지하차도 건너 동쪽 소쌍버스 정류장 부근 숯불장어구이(766-8198), 강산하늘이네 짬뽕(768-4488), 무봉리 토종순대국(765-6630), 마루궁(768-1197), 해변의 꽃게(764-7641), 해변의 꽃게식당 앞에서 서쪽으로 지하차도 통과한 동광아파트 입구 수산시장(768-5555), 네네치킨(797-9279), 닥엔돈스(768-9279), 연지생삼겹살(769-8009) 등 이용.  쌍동리 경기주유소 일원

3번 국도변 경기주유소 버스정류소에서 도곡초교 남쪽 들목 도곡식당(765-9137), 인광 닭갈비(767-6686) 이용. 

산이리 일원 3번국도변 산이리 나이키 정류장에서 서쪽 제일 명성교회 방면 천변길(산이2리 진입로)에 자리한 왕십리곱창(762-3351), 화로숯불장어 산정(763-5427), 개울목 막창집(763-6861), 제일 명성교회에서 남쪽 길 건너 맞은편인 장수칼국수(764-4530), 나이키정류장에서 남쪽으로 약 200m 거리인 산이2리 들목(제일명성교회와 장수칼국수 안내판)에서 남쪽 산이보도육교 방면으로 있는 감자탕 산이리 24시(764-7576), 나능이 능이버섯백숙(764-4711), 옛날짜장 초월반점(762-9956), 돌마리 비빔국수(798-5244) 등 이용.

▶ 강남구에 96개, 중랑구 51m 인공폭포… 도심 속 공원의 재발견

▶ 곱창부터 족발까지 … 어떤 걸 먹을까?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월간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