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레저관광] 장봉도 해안둘레길 걷다 썰물 땐 갯벌체험 즐기세요

유정우 2015. 5. 26. 07:02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공항철도 타고 떠나는 당일치기 섬 트레킹

[ 유정우 기자 ]

장봉도 해안둘레길

인천공항이 있는 영종도 주변에는 무의도, 장봉도, 신도 등 섬이 많다. 예전에는 1박2일 코스였던 이들 섬이 인천공항이 들어서고 공항철도가 개통되면서 당일 섬 여행지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 중 장봉도와 무의도 옆 소무의도에는 아름다운 바다 전망과 아기자기한 해변 길, 숲길이 이어지는 둘레길이 조성돼 트레킹 마니아 사이에서 인기 코스로 손꼽힌다.

◆장봉도 해안둘레길

공항철도 운서역에서 가까운 장봉도(인천 옹진군)에는 섬 서쪽 해안을 따라 약 10㎞의 해안둘레길이 조성돼 있다. 둘레길은 옹암해변~한들해변의 1구간에 이어 한들해변~야달~건어장~장봉4리~윤옥골의 2구간도 개통돼 있다. 3구간으로 분류되는 윤옥골~가막머리 전망대 구간은 밀물 때면 해안길 절반 정도만 트레킹이 가능해 해안길이 완전히 드러나는 썰물 때에 맞춰 찾는 것이 좋다.

옹암선착장 인근 옹암해변에서 출발해 가막머리까지 10여㎞의 해안둘레길을 완주하려면 6~7시간 정도 걸린다. 체력에 맞게 트레킹을 한 뒤 마을로 나가 한 시간 간격으로 운행하는 버스를 이용해 선착장으로 돌아오면 된다. 옹암해변~말문고개~제비우물~한들해변의 1구간은 선착장부터 곧바로 시작되기 때문에 이용객이 가장 많은 곳이다. 모래사장길(1.94㎞)과 전망이 좋은 해안산책로(1.05㎞), 숲이 우거진 숲속산책길(0.96㎞) 등을 따라 걸으며 송림 산책과 바다 전망을 즐기고 갯벌체험도 할 수 있다.

옹암해변과 한들해변 등에서는 썰물 때 조개와 고둥 등을 잡는 갯벌체험도 가능하다. 한들해변에서 걸어서 2~3분 거리의 도로변 장봉주유소 앞에서 마을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한들해변~장봉4리(또는 윤옥골)의 2구간은 특히 해안 전망이 가장 빼어나다. 3~4시간 거리의 이 구간만 트레킹할 경우 마을버스를 타고 한들해변 입구에서 하차해 트레킹을 한 후 장봉4리 버스정류장에서 버스를 이용하면 된다.

#(차 없이 떠나는) 대중교통 여행 TIP

운서역 광장 길건너 편의점 앞에서 201번(매시 40분), 307번버스(25∼35분 간격) → 삼목선착장(매시 10분 출항, 장봉도까지 40여분). 장봉도행 배 운임은 대인기준 편도 3,000원(자전거 1,500원), 마을버스 1,000원.

◆소무의도 무의바다 누리길

소무의도는 무의도 옆에 있는 넓이 1.22㎢의 작은 섬으로 길이 414m, 폭 3.8m의 바다 위 다리로 무의도와 연결돼 있다. 섬을 한 바퀴 도는 총길이 2.48㎞, 40여분 거리의 둘레길 ‘무의바다누리길’이 가벼운 섬 트레킹 코스로 인기를 끌고 있다.

무의바다누리길은 탁 트인 전망의 해안과 작은 해변, 숲길 등 모두 8개의 테마코스로 구분돼 있다. 섬에서 가장 높은 안산 하도정에서 바라보는 주변 전망이 압권이다. 둘레길만 걷다 보면 마을을 스쳐 지나가기 쉬운데, 잠시 짬을 내 마을길도 걸어보자. 섬 동편과 서편에 있는 작은 마을의 담벼락에 그려진 아기자기한 벽화들은 바다 분위기와 잘 어울린다. 썰물 때면 섬 입구 오른쪽으로 해안길이 드러나 해녀섬을 마주하고 있는 웅장한 장군바위를 가까이서 감상할 수 있다.

#(차 없이 떠나는) 대중교통 여행 TIP

항철도 주말바다열차(8월30일까지 운행) 이용시 용유임시역→도보 15분→잠진도선착장→무의도→마을버스→광명항(소무의 인도교 입구). 평일에는 인천공항 3층 7번 승강장에서 222, 2-1번 이용해 잠진도 선착장 하차.

유정우 기자 seeyou@hankyung.com

[한경+ 구독신청] [기사구매] [모바일앱]  ⓒ '성공을 부르는 습관' 한국경제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