잊힌 대일항쟁 역사 두만강 연추 창의소를 가다

블라디보스토크 2015. 4. 20. 17: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대한제국 붕괴 후 임정 수립 때까지 대일투쟁 본부..역사 현장 발굴, 복원 시급

광복 70주년이다. 우리는 무엇을 어디서부터 기려야 하는가. 기자는 일본에게 당한 36년을 '일제강점기'라부르는 것을 거부한다. 그 말에는 일본에 강제 점령당했다는 패배의식이 깔려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한국사교과서는 고려가 몽골에게 당한 100여 년을 '대몽(對蒙)항쟁기'라고 해놓았는데 왜 일본에 당한 시절은 대일(對日)항쟁기라 하지 못하는가. 그 시절 우리는 임시정부(임정)를 유지했고 가열찬 투쟁도 했다.

↑ 안중근 의사의 흔적이 담겨 있는 연추창의소 자리를 찾아냈다고 설명하는 오명환 두만강개발유한공사 회장.

우리나라와 러시아는 두만강 하구에서 17km가량을 접하고 있다. 러시아는 두만강 접경 지역을 19세기 그 지역에 처음 들어온 러시아군 부대장의 이름을 따 하산 면(面)으로 명명했다. 러시아는 불법 월경 등을 막고자 국경 안쪽에 민간인 출입을 막는 철책을 쳐놓았다. 주요 국경 지역은 외국인 출입도 통제한다. 하산과 그 후방에 있는 크라스키노 면 등이 그에 해당한다.

두만강 건너에서 다시 일어난 '창의(倡義)'

오명환(69) 두만강개발유한공사 회장은 러시아 정부로부터 두만강 하구지역 땅 일부에 대한 사용권을 받아냈다. 그 덕에 그가 보증하면 외국인도 그 지역에 들어갈 수 있다. 오 회장이 사업 이상으로 몰두해온 것이 두만강 하구에서 우리 역사 찾기다. 그를 통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가장 엄혹했던 시기의 대일항쟁사를 확인할 수 있었다.

↑ 연추 창의소가 주도한 함경도 진공 작전이 실패한 후 안중근 등 12명은 왼쪽 넷째 손가락을 자르고 혈서를 쓰며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기로 했다. 연추리에는 광복회가 세워 놓은 단지(斷指)동맹 기념비가 있다(왼쪽). 안중근이 러시아 정부가 보호해준 연추 창의소 출신이라는 것은 널리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다.

'창의(倡義)'는 국어사전에 올라 있지만 지금은 거의 쓰지 않는 말이다. 그 뜻은 '국난을 당하였을 때 나라를 위하여 의병을 일으킴'이다. 1895년 명성황후가 일본 낭인들에 의해 피살되자 전국적으로 창의대가 일어났다. 1905년 4월 동해에서 러시아 발틱함대를 격파하고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은 그해 11월 17일 을사조약을 맺어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빼앗았다.

그러자 두만강 건너 러시아 땅에 있는 연추리에서 다시 창의가 일어났다. 연추(煙秋)는 러시아 마을 이름인 '노우키에프스크'를 한자로 옮긴 것으로, 지금은 크라스키노 주카노바 리(里)에 해당한다. 이를 이끈 이는 블라디보스토크에 주둔한 러시아군과 시베리아철도 공사에 납품을 해 큰돈을 벌고 연추리에 살았던 러시아 국적의 조선인 최재형(崔在亨)과 1902년 고종에 의해 간도관리사로 파견됐던 이범윤(李範允·당시 훈련대장 이경하의 아들)이었다.

연추 창의소가 운영한 의병조직이 '동의회(同義會)'다. 동의회에서 '우영장(右營將)'을 한 이가 안중근인데, 그는 중대규모인 300여 명의 병사를 지휘했다. 1908년 6~7월 동의회는 여러 부대로 분산돼 함경도로 진격했고 일본군 19사단과 격전을 벌였으나 승리하지 못하고 퇴각했다.

안중근의 아명(兒名)이자 자(字)는 '응칠'이다. 1909년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하고 수감된 그는 순한문으로 '안응칠역사(安應七歷史)'란 자서전(국내에서 '안중근 의사 자서전'으로 출간)을 썼는데, 거기엔 '1908년 6월께 러시아령 연해주 연추의 의병창의소를 떠나 (중략) 국내 진공작전을 전개했다'는 내용이 있다.

↑ 2010년 오명환 두만강개발유한공사 회장(왼쪽에서 세 번째)은 연추 창의소의 터를 찾아온 북한 대표단을 만났다. 북한 대표단이 연추 창의소를 북한 정권과 연결하기 위해 김정일의 방문을 추진하려 했으나 오 회장이 이를 봉쇄했다고 한다.

함경도 진공 실패로 동의회는 위축됐다. 그러자 안중근을 포함한 12인이 1909년 2월 7일 연추리에서 왼손 무명지(넷째 손가락)를 잘라 '대한독립'을 혈서로 쓴 다음 '동의단지회(同義斷指會)'란 별도 조직을 만들었다. 유명한 단지(斷指)동맹이다. 이들은 이토 히로부미와 이완용 등을 암살하기로 하늘에 맹세했다. 준비에 들어간 안중근은 1909년 10월 26일 남만주철도의 종착점인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했다. 일본의 조사를 받게 된 안중근은 동의회를 '대한의군(大韓義軍)'으로 표현했다.

그러한 투쟁에도 대한제국은 1910년 8월 29일 일본에 병합됐다. 기세가 오른 일본은 안중근이 나오게 된 러시아를 압박해 연추 창의소를 무력화하려 했다. 밀정을 넣어 창의소 지휘부에 대한 공격을 가하기도 했다. 위협을 느낀 최재형은 훨씬 북쪽에 있는 우수리스크로 거처를 옮겼다.

간도로 거점 옮겨 독립투쟁

중국 지린성에 있는 옌볜조선족자치주는 이전에는 간도(間島)라고 불렀다. 당시 우리 영역이던 간도에는 연추리보다 더 많은 동포가 살았다. 연추 창의소가 쇠퇴하자 창의운동 세력은 간도로 옮겨갔다.

그러자 일본도 대비를 했다. 1907년 일본은 대한제국을 상대로 정미칠조약(한일 신협약)을 맺고 대한제국의 군대와 경찰, 사법부를 해산시켰다. 경찰 업무는 일본 경시청이 대신하게 했다. 그러니 일본 경시청은 우리 땅 간도에 파출소를 집어넣어 조선인을 단속할 수 있었다. 창의소 활동을 막은 것이다.

↑ 두만강 하구 러시아 쪽 지도를 찍은 사진. 두만강과 녹둔도, 연추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오명환 두만강개발유한공사 회장은 두만강 하구에 고인돌이 즐비하다는 증언도 했다.

그러던 일본이 1909년 정책을 바꿨다. 청나라가 건설하려 한 다롄-하얼빈 간 남만주철도 부설권을 따내는 것이 더 유리하다 보고, 청나라에 간도 영유권을 주는 협약(간도협약·1909년 9월 4일 체결)을 맺은 것이다. 이 협약으로 간도는 청나라 땅이 됐지만, 간도에서 일본 경찰이 빠져나갔기 때문에 창의소 활동은 오히려 활발해졌다. 간도 중심지인 용정은 독립투쟁의 중심지로 떠올랐다. 하지만 한일합병의 충격이 너무 커 본격적인 독립투쟁이 시작되기까지 시간이 걸렸다.

1919년 2월 1일 용정에서는 독립운동가 39인이 서명한, 매우 투쟁적인 내용의 '조선독립선언서'가 발표됐다. 그날은 음력으로 기미년(己未年) 원단(1919년 1월 1일)이었다. 선언은 기미년 첫날에 했지만 준비는 전해인 무오년(戊午年)에 한 것이라, 이 선언은 1919년 3월 1일 서울에서 한 '기미독립선언'과 구분해 '무오독립선언'이라 한다. 우리 선조들은 차례로 무오→2·8(일본 도쿄 유학생들의 독립선언)→기미(3·1)선언을 하면서 다시 독립운동의 불을 붙였다. 최초로 불을 지핀 무오독립선언에 참여한 활동가의 다수가 연추 창의소 출신이었다.

이들은 바로 무장투쟁에 들어갔다. 홍범도의 대한독립군은 1920년 6월 만주 봉오동에서, 김좌진의 북로군정서는 청산리에서 각각 일본군을 격파했다. 그리고 이들은 서일(徐一)을 대장으로 한 대한독립군단으로 모여들었다. 대한독립군단의 규모는 3500여 명 정도였는데, 절반가량이 연추 출신이었고 한다. 대한독립군단은 러시아령 자유시인 스보보드니 일대에 주둔했다. 그때 이들을 맞은 것은 연추 창의소를 지원했던 '제정(帝政)러시아'와는 성격이 다른 '공산 러시아'(러시아 소비에트연방사회주의국가)였다. 러시아는 1917년 공산혁명을 치르면서 성격이 바뀌어 있었다.

상하이 임정 재무총장 추대된 최재형

일본은 그러한 러시아를 상대로 '왜 조선 독립군을 숨겨주느냐'며 맹공을 가했다. 혁명에 성공하긴 했으나 기반이 취약한 공산 러시아는 일본에 굴복했다. 러시아는 대한독립군단의 무장을 해제하겠다고 약속하고 1921년 6월 22일 행동에 들어갔다. 이에 대한독립군단 일부가 반발하자, 공격을 했다. '자유시사변'으로 기록된 이 사건으로 대한독립군단은 와해됐다.

그러는 사이 중국 상하이에서 새로운 싹이 텄다. 3·1운동 영향으로 1919년 4월 13일 대한민국임정이 만들어진 것. 연추 창의소를 이끌었던 최재형은 임정의 재무총장(기획재정부 장관)으로 추대됐는데, 이는 연추의 정신이 임정으로 이어졌다는 증거가 된다.

1907년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제2회 만국평화회의에 고종이 이상설을 정사로, 이준과 이위종을 부사로 보냈으나 '대한제국은 외교권이 없다'는 이유로 참석을 거부당했다. 비분강개한 이준은 자살을 했다. 졸지에 낭인이 된 이위종과 이상설은 돌아갈 곳이 없었다. 망명객이 된 이들을 받아준 것이 최재형이 이끈 연추 창의소였다.

이상설은 1914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대한광복군 정부'(초대 의장 이상설)를 만들었다. 1919년 9월 6일 상하이 임정은 1차 개헌을 통해 이 정부를 통합했다. 러시아의 독립운동 세력도 흡수한 것이다. 연추에서 시작된 창의소는 대한독립군단 등을 거쳐 대한민국임정에게 세력을 넘기고 소멸돼갔다.

연추 창의소 복원의 역사적 의미

오명환 회장은 연추리에 있던 최재형의 집터와 창의소 건물터 등을 발견했다고 했다. 그는 "광복 70주년인 올해 정부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은 러시아와 협의해 안중근 의사를 배출한 연추 창의소를 복원하는 것이 아니겠느냐"며 이러한 비화를 털어놓았다.

"상하이 임정의 정통성이 우리에게 이어졌기 때문에 북한은 정통 찾기에 부심하고 있다. 내가 연추 창의소의 터 등을 찾아냈다는 것이 알려지자 북한이 관심을 보였다. 2010년 북한 관계자들이 찾아와 그 터를 보자고 했다. 2011년 김정일은 그의 생애 마지막으로 러시아를 방문했는데, 그때 그곳을 방문하는 이벤트를 만들고자 했다. 나는 그것을 알고 러시아 측에 김정일의 연추 방문을 허락하지 말라고 압력을 가해 관철시켰다. 그 일로 한동안 나는 북한으로부터 테러 위협을 받아 몸을 숨겨야 했다. 연추 창의소 발굴과 복원은 정통성을 가진 우리 정부가 해야 한다고 믿는다."

그는 "두만강 하구에는 고인돌이 즐비하다"는 증언도 했다. 발해의 유적과 윤관을 통해 여진족을 정벌한 고려의 것으로 보이는 유물도 적잖다고 했다.

광복 70년, 대일항쟁이란 용어를 되살리며 우리의 숨은 역사가 살아 있는 두만강을 러시아와 협의해 발굴할 수는 없을까. 그렇게 하는 것은 러시아와의 관계를 복원하면서 북한을 변화케 해 통일을 만드는 '또 하나의 뒷문'을 여는 조용한 노력일 수도 있다.

Copyright © 주간동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