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12 특별부록지도 코스가이드 | 의정부·양주·포천 천보산] 의정부분지와 양주분지가 발아래로 펼쳐지는 조망의 산

글·사진 박영래 객원기자 2015. 1. 5. 15:3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태조 이성계와 무학대사가 넘었다는 여하고개, 비운의 조선왕자 인성군묘, 강제로 청나라로 끌려간 의순공주의 족두리산소 등이 산자락에 자리해

↑ [월간산]제2보루터가 있는 정상에서 북동으로 본 양주분지(가운데)와 천보산맥(오른쪽). 왼쪽(북쪽) 멀리 소요산, 칠봉산, 해룡산, 왕방산이 보인다. 오른쪽 자이아파트 단지 위로 지붕처럼 보이는 능선 왼쪽에 파인 곳이 어하고개다.

포천시 소흘읍과 의정부시 자금동 경계를 이루는 축석령(祝石嶺 · 해발 153m)에서 한북정맥은 북서쪽으로 방향을 틀어 약 1km 거리인 285m봉에 이르면 방향을 ㄱ자형으로 바꿔 남서쪽으로 향한다. 이 한북정맥은 약 2km 거리인 235m봉에 이르면 방향을 다시 북서쪽으로 틀어 큰데미(219m)~고장산(203m)~도락산(441m)~불국산(470m) 방면으로 이어진다.

한북정맥이 북서쪽으로 방향을 바꾸는 235m봉에서 한북정맥과 갈라져 남서쪽으로 직진하는 능선이 있다. 이 능선으로 약 2km 더 나아가 빚어진 산이 천보산(天寶山·335.5m)이다. 천보산 정상에서 더 이어지는 잔릉들은 약 2km 더 이어지다가 의정부 금오동(현재는 축석령 방면 자일동과 금오동을 합쳐서 자금동으로 부름)에서 북으로부터 흘러오는 중랑천과 동으로부터 흘러오는 용천 합수점에 잔릉들을 모두 가라앉힌다.

축석령에서 약 1km 거리인 285m봉에서 한북정맥을 벗어나 북으로 가지 치는 능선이 있다. 이 능선은 왕방지맥(일명 천보산맥)이다. 왕방지맥은 어하고개~회암령을 지나 칠봉산~해룡산~왕방산~국사봉~소요산과 종현산 등으로 이어진 다음 여맥들을 영평천에 가라앉힌다.

천보산이라는 산 이름은 <태종실록>에서 확인된다. 이밖에도 <신증동국여지승람(1530)>, <동여비고(1682)>, <해동지도(1760>, <여지도서(1757~1765)>, <팔도군현지도(1767~1776)> 등에서 확인되고 있다.

천보산 산세는 북동쪽 어하고개부터 남서쪽 의정부시 금오동까지 길게 이어져 있다. 이 산세를 두고 전체적으로 천보산맥으로 부르기도 한다. 천보산맥은 북서쪽 양주시 마전동, 만송동, 양주2동, 삼숭동, 북동쪽(축석령 북쪽) 포천군 소흘읍 이동교리와 무림리, 남동쪽(축석령 남쪽) 의정부시 자일동과 금오동 경계를 이룬다.

↑ [월간산]사방으로 막힘없는 조망이 펼쳐지는 정상 데크. 북서쪽으로 불곡산 정상이 보인다.

천보산은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주민들이 수시로 오르내리는 인기 있는 산이다. 여기에다 전철과 버스 등 대중교통편이 편하기 때문에 수도권 등산인들이 많이 찾는다. 산중에는 중요 등산로마다 운동시설과 함께 있는 새무골약수터, 금오초소약수터, 상산약수터, 천보산 약수터 등 오염 안 된 약수터들이 자리해 체력단련을 겸해 약수를 길어가는 사람들 발길도 끊이지 않는다.

천보산에는 정상을 비롯한 봉우리 곳곳에는 고구려시대부터 있었다는 보루(堡壘 : 조망 좋은 지점에 축조되어 주변을 내려다 볼 수 있는 작은 성) 터들이 말해 주듯이 주능선에서 시원하게 펼쳐지는 조망이 일품이다. 뿐만 아니라 등산로 곳곳에는 전망장소를 대신하는 아기자기한 바위지대와 벤치가 놓인 쉼터들이 연이어 나타나 산행 중 마음 내키는 자리에서 조망을 즐기며 다리쉼하기에도 그만이다.

주능선을 가운데 두고 작은 지능선과 계류들을 횡단하는 숲길들도 잘 조성되어 있다. 양주시 삼숭동과 양주2동 자이아파트 뒤편 산자락에는 산림욕장과 '양주 숲길'이 조성되어 있다. 의정부 방면에는 녹양역을 시발점으로 천보산 약수~족두리 산소~영화사~인성군묘~금오계곡 초소~새무골 약수터~자금사거리~금곡마을 입구 동쪽 지능선~축석고개 밑 경유 현충탑으로 이어지는 길이 9.2km에 달하는 '의정부 숲길'이 조성되어 있다.

천보산 등산코스는 사방으로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정상 북동쪽 어하고개 방면에서는 천보산맥(왕방지맥) 상의 어하고개~광숭초등학교와 양주자이아파트 5단지 갈림길~야촌약수터와 양주자이아파트 1단지 갈림길~축석령 갈림길~만송동 2통 마을회관 갈림길~왕방지맥이 한북정맥과 만나는 285m봉~제3보루~백석이고개~성바위 암릉~제6보루~탑고개 경유 정상에 이르는 종주코스가 가장 길고 인기가 있다.

↑ [월간산]옛날 이성계와 무학대사가 포천에서 회암사로 갈 때 넘었다는 어하고개.

다음으로는 축석령~왕방지맥 갈림길~제3보루~백석이고개~탑고개, 금오동~금오초소~탑고개, 자금동주민센터~주공아파트~소림사, 녹양역~불암사~천보산 약수~소림사, 만송동 2통 회만동마을회관~왕방지맥, 삼숭동 양주자이아파트 1단지~야촌약수터~왕방지맥, 삼숭동 삼숭초등학교와 양주자이아파트 5단지~산림욕장~왕방지맥 경유 천보산 정상으로 향하는 등산로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상기 코스들을 어하고개를 기점으로 시계방향으로 소개한다.

어하고개~천보산맥(왕방지맥)~축석령 갈림길~백석이고개~탑고개~천보산 정상〈약 9km·7시간 안팎 소요〉

어하고개는 조선 초기 태조가 무학대사와 함께 포천에서 회암사를 찾을 때 넘었다는 데서 이름이 생겼다는 설이 전해진다. 왕방지맥 상의 어하고개는 노선버스가 다니지 않는다. 노선버스들은 모두 고개 밑 어하터널로 운행한다. 어하고개 동쪽에서는 포천시 소흘읍 이동교리 부인터 사거리에서부터 걸어 올라가면 된다. 고개 서쪽에서는 어하마을 2-4번 버스종점인 루이힐스 골프클럽 주차장에서 북으로 난 길을 따라 올라간다.

어하고개에서 약 30분 거리인 376.2m봉에서는 남서쪽 천보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산릉이 시원하게 펼쳐진다. 376.2m봉 이후로는 광숭초교 갈림길 전에 전망바위 두 곳이 나온다. 첫 번째 뾰족한 전망바위(짧은 밧줄 설치)는 376.2m봉에서와 비슷한 조망이 펼쳐진다. 두 번째 전망바위를 지난 야촌약수터 갈림길에서 왕방지맥 길로 8분 거리인 만송동 2통 마을회관 갈림길(사거리)은 지형도상에 축석령고개로 표기되어 있다. 이 고개에서 남동으로 내려가면 43번국도가 넘는 한북정맥 상의 축석령이 나온다. 왕방지맥 상의 축석령고개는 양주시 만송동에서 43번국도가 넘는 축석령으로 넘나들던 길이었다는 데서 생긴 지명이다.

↑ [월간산]1 376.2m봉에서 남서쪽 양주 분지 뒤로 본 천보산. 뒤로 도봉산이 보인다. 2 광숭초교 갈림길 직전 둥근바위 전망장소.

왕방지맥 상의 축석령고개에서 13분 거리에 이르면 한북정맥 길과 만나는 285m봉(↑천보산 정상 4.6km 푯말)에 닿는다.

부인터 사거리-(18분)→어하고개(←축석령고개 3.6km, ←천보산 정상 8.8km 푯말)-(20분)→어하마을 갈림길(↑천보산 정상 8.3km, 어하마을 0.8km→ 푯말)-(11분)→376.2m봉(삼각점·포천 25)-(4분)→자이아파트 5단지 갈림길(↑천보산 정상 7.6km, ↓어하고개 1.2km, 양주 천보산자연휴양림 0.3km→, 자이아파트 5단지 1.1km 푯말)-(15분)→광숭초교 갈림길(↑천보산 정상 6.9km, ↓어하고개 1.9km, 자이아파트 5단지 1.0km, 광숭초교 1.5km→ 푯말)-(14분)→쉼터 삼거리(벤치 2개, ↑축석령고개 1.9km 푯말)-(13분)→야촌약수터 갈림길(↑천보산 정상 5.7km, 야촌약수터 0.8km→, 자이아파트 1단지 0.8km→ 푯말)-(8분)→축석령 갈림길(←축석령 1.2km 푯말)-(1분)→만송동 2통 마을회관 갈림길(↑3보루 0.8km, ↑천보산 정상 5.2km, ↓어하고개 3.6km, 만송동 2통 마을회관·버스타는 곳 1.8km→ 푯말)-(13분)→한북정맥과 만나는 삼거리(↑3보루 0.2km, ↑천보산 정상 4.6km, ↓축석령고개 0.6km, ↓어하고개 4.2km 푯말)-(4분)→3보루·285.7m봉)-(15분)→백석이고개(↑탑고개 3.1km, ↑천보산 정상 4.0km 푯말)-(15분)→북쪽 265m봉(암봉)과 남쪽 성바위 사이 안부 T자 삼거리(↑탑고개 2.7km 푯말)-(7분)→쉼터(255m봉·벤치 2개)-(8분)→슬랩바위 전망장소(245m봉·벤치 1개)-(6분)→235m봉-(1분)→한북정맥 갈림장소(철조망으로 막힘)-(4분)→천보암 갈림길(큰 밤나무와 벤치 1개)-(15분)→천보산 제6보루(268m봉·남쪽은 금오능선)-(2분)→헬기장-(10분)→탑고개(↑천보산 정상 0.9km, ←금오동, 원학동 0.5km→ 푯말)-(18분)→ㅓ자 삼거리 푯말(↑천보산 정상 0.4km, ↓탑고개 0.5km, ↓어하고개 8.4km 푯말)-(15분)→천보산 정상(삼각점 포천 315).

조선 왕자 인성군 묘

이괄의 난에 가담한 죄로 진도에서 죽임을 당한 비운의 왕자

↑ [월간산]

금오초소에서 왼쪽 돌계단을 오르면 오래된 묘가 나온다. 선조의 일곱 번째 아들인 인성군(1588~1628) 묘다. 인성군은 호는 백연단이고, 어머니는 정빈 민씨(閔氏)다. 선조 32년(1599) 인성군에 봉해지고, 사옹원 봉부시의 도제조와 종친부에 재직하면서 관기를 확립했고, 광해군 때 인목대비의 폐위를 주장했다.

이로 인해 인조 원년(1632) 인조반정 때 이귀 등에 의해 처벌이 논의됐으나 왕의 불허로 무사했다.

이듬해 그는 이괄의 난 때 적당 가담의 죄로 한때 유배되었고, 인조 6년(1628) 유효림이 대북의 잔당을 규합, 모반을 기도할 때 왕으로 추대되었다 하여 진도에 유배, 곧 자살을 강요받았다. 인조 15년(1637)에 복관되었고, 시호는 효민이다.〈의정부시 향토유적 제 3호>

축석령~한북정맥~제3보루~정상 북동릉~천보산 정상 〈약 6km·3시간 30분 안팎 소요〉

↑ [월간산]천보산 자락에 자리한 조선왕자 인성군묘.

왕방지맥이 북동으로 갈라지는 285m봉 삼거리(←천보산 정상 4.6km 푯말)에서 4분 거리인 제3보루는 널찍한 헬기장이다. 헬기장을 뒤로하고 백석이고개로 내려서는 길목은 급경사 바위지대에 밧줄이 지그재그로 이어진다.

바위지대를 내려가면 나오는 백석이고개는 옛날 흰빛을 띠는 차돌이 많아 붙여진 이름이거나 또는 호랑이가 많아 100명씩 모여야 이 고개를 넘어다닐 수 있었다는 데서 생긴 이름이라는 설이 전해진다. 백석이고개에서 15분 올라간 265m봉 암봉 일원은 일명 '성바위'로 불린다. 특히 남쪽 암봉은 약 80m 길이 오버행(천장바위) 암벽으로 이뤄져 있다. 이렇게 길게 펼쳐진 바위가 마치 성곽(城郭)같이 보인다.

성바위에서 약 30분 거리인 235m봉에서 1분 내려가면 철조망 안쪽으로 '출입금지 ←한북정맥'이라 쓰인 푯말이 보인다. 철조망 안쪽은 골프장이다. 바로 이곳에서 북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한북정맥이다. 한북정맥은 골프장으로 변해 등산인들 출입은 금지되어 있다.

한북정맥 갈림지역에서 18분이면 268m봉(천보산 제6보루)에 닿는다. 이곳에서 남서쪽으로 뚜렷하게 길을 내고 있는 능선이 보인다. 금오능선이다. 이곳에서 금오능선을 타고 내리면 금오초소가 나온다. 이곳으로 하산하는 이들도 많다.

↑ [월간산]1 성바위에서 남서쪽으로 본 천보산 정상. 2 탑고개에서 20분가량 오른 삼거리에서 남동쪽으로 조망되는 금오계곡과 거성아파트 일원.

축석령 해태상-(약 50m)→축석교회 뒤 주차장-(왼쪽으로 약 30m)→어린이놀이터 앞 ㅓ자 갈림길-(왼쪽 한북정맥 산길로 9분)→묘 아래에서 왼쪽 사면 길 진입-(10분)→주능선 T자 삼거리(←정상 4.6km, ←3보루 0.2km, 축석령고개 0.6km, 어하고개 4.2km→ 푯말). 이후 왼쪽 제3보루 방면 길 따라 정상으로 향한다.

거성아파트~금오초소~금오계곡~탑고개~천보산 정상〈약 3km·2시간 안팎 소요〉

탑고개에는 잡석들이 쌓인 돌무더기가 있다. 본래 이 돌무더기가 정연하게 쌓여 탑을 이루고 있었기 때문에 고개 이름이 '탑고개'로 불렸다는 설이 전해진다. 탑고개에서 약 18분 거리의 삼거리(↓어하고개 8.4km 푯말)에서 남쪽 능선 길은 상금오 체육시설이 있는 '의정부 소풍길'로 이어진다. 이곳 주민들은 이 능선을 이용, 천보산 산행을 즐기기도 한다.

거성아파트 입구-(5분)→자금동 15통 부녀회 · 천보노인회 앞(207번 마을버스종점)-(7분)→금오초소(화기물 보관소·↑천보산 정상 1.5km, ↑탑고개 700m, ↑약수터 400m, 소풍길 현충탑 4.1km→ 푯말)-(10분)→초소 약수터-(5분)→돌의자-(5분)→쉼터(벤치)-(3분)→탑고개(↑원학동 0.5km, ↑원학약수터 0.1km, ←정상 0.9km, 제6보루 0.6km, 어하고개 7.9km→ 푯말). 이후 서쪽 능선을 타고 정상으로 향한다.

↑ [월간산]1 금오초소 앞 푯말. 2 제3보루 바위지대 내리막길에서 백석이고개 건너로 본 성바위.

주공아파트~소림사~천보산 남서릉~정상〈약 3km·1시간 30분 안팎 소요〉

주공아파트 서쪽 지역이 꽃동네 건물이다. 현재 꽃동네 건물은 명칭이 '희망문화회관'으로 바뀌었다. 주공아파트 끝머리인 영화사(永華寺) 입구 체육시설에서는 왼쪽 영화사 입구를 지나 소림사로 올라가도 된다. 그러나 체육시설 오른쪽 능선을 경유해 소림사로 오르는 코스는 중간 중간에 바위지대가 계속 이어지기 때문에 영화사 왼쪽 길보다 인기가 있다.

주공아파트 입구-(4분)→예꼬 어린이집 앞-(3분)→205번 마을버스종점(↑천보약수터 1.5km 푯말)-(4분)→주공아파트 끝 부분 지난 영화사 입구 체육시설 앞 삼거리(↑소풍길 녹양역 2.9km, 소풍길 현충탑 6.2km→ 푯말)-(오른쪽 길로 약 40m)→삼거리-(왼쪽 능선 길로 16분)→슬랩바위(폭 약 30m, 높이 약 20m)-(4분)→급경사 바위 하단부-(3분)→급경사 바위 상단부-(2분)→영화사 갈림길-(직진 3분)→소림사 입구 안부(←불암사 1.4km, ↓영화사, 천보산 정상 600m→ 푯말)-(오른쪽 대웅전 앞 지나 바위지대로 약 5분)→주능선 길 만남-(2분)→천보산 제1보루-(7분)→천보산 정상.

녹양역~불암사~천보산 약수~정상 서릉~정상 <약 3km·2시간 30분 안팎 소요〉

↑ [월간산]

녹양역에서 불암사로 가는 길은 '의정부 소풍길' 시발점이다. 이 소풍길은 천보산 남쪽 산자락을 휘돌아 축석령 아래 현충탑으로 이어진다. 소풍길은 정상 서릉 헬기장에서 6분 거리인 사거리 안부에서 남쪽 의순공주 산소 방면으로 내려갔다가 영화사 입구 체육시설에서 동쪽 인성군묘와 금오초소 방면으로 이어진다.

녹양역 2번 출구-(6분)→하동교-(2분)→건널목 건너 오른쪽 '하동촌 안내판'-(하동촌 안내판 뒤편으로 약 10m→등산안내 푯말(↑천보산 정상 2.4km, ↑불암사 700m, ↓녹양역 300m)-(참나무 숲길로 1분)→Y자 갈림길-(오른쪽으로 3분)→지능선 길 진입-(11분)→콘크리트포장길과 만나는 삼거리(←천보산 정상 1.9km, ↓녹양역 800m 푯말)-(1분)→불암사 입구 사거리(천보산 약수터 0.1km→ 푯말)-(2분)→천보산 약수터-(3분)→소나무 밑둥에 '↑소림사' 푯말-(3분)→상산(上山) 약수터 갈림길-(6분)→정상 서릉 헬기장-(4분)→215.2m봉-(2분)→사거리 안부(←마전동 삼밭골 교차로 버스타는 곳 0.7km, ←양주역 2.7km, ↑정상 0.9km, ↓녹양역, 금오동→ 푯말)-(9분)→무명봉 쉼터-(1분)→소림사-(2분)→천보산 1보루-(8분)→천보산 정상.

족두리 산소

강제로 억울하게 청나라에 시집 간 의순공주의 산소

↑ [월간산]1 영화사 입구에서 20분가량 오르면 나오는 경사진 바위(슬랩) 쉼터에서 남으로 내려다보이는 주공아파트 방면 의정부시내. 2 천보산약수터를 지나면 나오는 상산약수터. 이곳에는 작은 규모 배드민턴장과 비를 피하는 원두막이 있다.

영화사 입구 왼쪽 길로 들어서면 곧이어 푯말(←천보산 정상 1.4km, ←소림사 800m)이 나온다. 푯말에서 서쪽 사면 길로 40m가량 가면 지계곡 옆 푯말(↑의순공주 묘〔족두리 묘〕0.1km, ↓소풍길 현충탑 6.3km, 소풍길 녹양역 2.9km→)이 나온다. 이 푯말에서 계류를 건너가서 왼쪽 허름한 묘가 족두리 묘이다.

조선시대 병자호란 후 청나라에서는 조선의 여인들을 조공으로 바칠 것을 강요해 왔다. 마침내는 왕족의 처녀들까지 그 대상에 포함되는 수모를 겪어야 했다. 급기야 1650년 효종원년(孝宗元年)에 청나라 구왕(九王)은 조선의 공주에게 장가 들겠다고 청혼해 왔고, 이에 조정에서는 심각한 고민을 하게 되었다.

이에 종실(宗室)의 금림군(錦林君) 이개윤(李愷胤)이 자기의 딸을 청나라에 보낼 것을 자청했다. 그리하여 조정에서는 그녀를 의순공주(義順公主)라 칭하고 사신과 시녀를 딸려 청나라로 보내게 되었다.

며칠 뒤 평안도 정주(定州)땅에 이른 의순공주는 압록강을 건너기 전, 오랑캐 나라의 구왕에게 욕되게 사느니 차라리 죽는 게 낫겠다 생각하여 강물에 몸을 던지고 말았다. 이에 수행하던 노복들이 시신은 찾지 못하고 족두리만 건져와 금오동 선영의 아버지 묘 밑에 장사를 지냈고, 그때부터 이곳을 '족두리 산소'라 부르고 있다.

↑ [월간산]1 소림사를 지난 제1보루 방면 전망바위에서 서쪽으로 본 녹양역 방면 능선. 멀리 한강봉과 앵무봉 등이 보인다. 왼쪽은 송추로 넘어가는 울대고개. 2 소림사 대웅전. 대웅전 위는 천보산 제1보루이며, 오른쪽 송신탑이 있는 곳이 제2보루인 천보산 정상이다.

한편 나라에서는 의순공주의 충효정신을 기리기 위해 천보산에 큰당, 작은당, 각시당을 짓고 해마다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또한 의순공주의 어머니는 큰당에서 북쪽 정주땅을 바라보며 딸의 명복을 빌었다고 하며, 이에 그 이름을 정주당(定州堂)으로 부르게 되었다.

이후 마을 주민들이 이른 봄, 비명에 간 왕족여인의 넋을 위안하고 풍년과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제를 지낸 다음, 농악대를 앞세우고 천보산의 큰당과 작은당을 왕복하면서 하루를 즐겼다. 이때부터 '정주당 놀이'가 이 지역 민속놀이 겸 동제(洞祭)로 전승되어 내오고 있다.

한편 <조선왕조실록>에는 의순공주가 구왕에게 시집가 불우하게 살다가 말년에 귀국하여 죽게 되자 왕명으로 장례식을 치르게 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자료제공 의정부시 문화원.>

금오동에 전해 내려오는 전설과 실록의 기록이 차이가 나는 것은 아마도 압록강을 건너기 전 의순공주가 영영 못 돌아올 고국 땅을 뒤로하며 족두리를 벗어 두었고, 이를 본 어머니가 공주가 죽은 것으로 생각해 족두리를 묘에 묻고 정주당에서 딸의 명복을 빌었던 것이 아닌지 추측하고 있다.

↑ [월간산]초라한 모습인 의순공주의 묘인 족두리산소.

만송동 2통 마을회관~천보산맥 축석령~제3보루~백석이고개~탑고개~정상 〈약 8.8km·4시간 30분 안팎 소요〉

이 코스는 자이아파트 주민들이 많이 이용한다. 만송동 2통 마을회관에서 주능선(왕방지맥) 축석령에 오른 경우에는 대부분은 북동쪽 왕방지맥을 타고 가다가 자이아파트 방면 또는 어하고개 방면 어하마을 갈림길에서 북서쪽 어하마을로 하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하마을이나 자이아파트에서 등산을 시작해 왕방지맥에 오른 경우에는 축석령까지 이른 다음, 만송동 2통 마을회관으로 하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만송동 2통 마을회관-(10분)→만송 3교 앞 사거리-(왼쪽 아스팔트포장길로 4분)→포장길 끝나는 지점-(오른쪽 축대 위로 난 좁은 길로 3분)→ㅓ자 삼거리(←자이아파트 1단지 0.6km, ←자이아파트 5단지 2.2km, ↓만송동 2통 마을회관 1.0km, ↑천보산 능선 0.8km 푯말)-(6분)→ㅓ자 삼거리(←엠비시 문화동산 0.2km, ←자이아파트 1단지 0.7km, ←야촌약수터 1.1km, ↓만송동 2통 마을회관 1.2km, ↑천보산 능선 0.5km 푯말)-(지능선으로 약 20m)→함몰지역-(5분)→ㅓ자 삼거리(왼쪽은 계곡 길 방면)-(11분)→장암(莊岩)바위-(4분)→천보산맥 축석령(←어하고개 3.6km, ↓만송동 2통 마을회관 버스 타는 곳 1.8km, 제3보루 0.8km→, 천보산 정상 5.2km→ 푯말). 이후 오른쪽(남서쪽) 왕방지맥을 타고 정상으로 향한다.

삼숭초교(자이아파트 5단지)~천보산맥~축석령 만송동 2통 갈림길~제3보루~백석이고개~탑고개~정상 〈약 8.8km·4시간 안팎 소요〉

↑ [월간산]만송동 2통 마을회관에서 만송3교 방면 길에 남동으로 본 천보산맥. 왼쪽 흰 건물 뒤 지능선 오른쪽으로 낮게 보이는 능선으로 산길이 이어진다. 오른쪽 작은 봉은 한북정맥과 만나는 285m봉이다.

자이아파트 후문을 지난 삼거리에서 왼쪽 산림욕장으로 가지 않고 오른쪽 통나무계단 능선으로 약 60m 올라가면 체육시설과 사각정자 앞 ㅏ자 삼거리(↑천보산 능선 0.8km, 자이아파트 1단지 1.1km→, MBC문화동산 2.1km→ 푯말)가 나온다. 이곳에서 직진하는 능선으로 천보산맥 삼거리(↓광숭초등학교 1.5km 푯말)에 오른 다음, 축석령이나 천보산으로 향해도 된다. 또는 사각정자 앞 삼거리에서 남쪽 숲길을 따라 자이아파트 1단지 뒤란 길과 만나는 야촌약수터에 이른 다음, 야촌약수터에서 남동쪽 지능선을 타고 천보산맥(↓야촌약수터 0.8km 푯말)으로 올라가도 된다.

야촌약수터에서 남쪽으로 이어지는 숲길은 약 0.7km 거리에서 북서쪽 만송동 2통 마을회관과 남동쪽 천보산맥 상 축석령(사거리)으로 이어진다.

삼숭초교 출입문 왼쪽 삼거리(천보산 등산로 안내 기둥형 푯말)-(7분)→양주2동 삼숭게이트볼 운동장 입구(↑천보산 능선 1.0km, 자이아파트 1단지 1.3km 푯말)-(약 60m)→자이아파트 5단지 후문(나무 계단)-(2분)→Y자 삼거리(←천보산 능선 0.9km, ↑천보산 능선 0.9km, ↓광숭초교 0.5km, 자이아파트 1단지 1.2km→ 푯말)-(왼쪽 천보산림욕장 계곡 길로 5분)→합수점-(왼쪽 바위로 이뤄진 지능선 길로 2분)→바위 상단부-(6분)→마사토 깔린 40도 경사 바위(약 8m 길이 밧줄)-(경사진 바위 상단부에서 3분)→바위 지대 하단부-(오른쪽 우회 길로 2분)→바위 상단부 의자 바위-(2분)→15m 길이 밧줄-(밧줄 지나 1분)→Y자 삼거리(↖어하고개 1.5km, ↖천보산 정상 7.8km, 천보산림욕장 입구 0.8km→, 자이아파트 5단지 0.8km→ 푯말)-(왼쪽으로 2분)→15m 길이 난간형 밧줄-(밧줄 지나 1분)→8m 길이 난간 밧줄-(2분)→게이트볼장에서 보였던 바위 상단부-(오른쪽 10m 길이 밧줄 지나 4분)→ㅓ자 삼거리(북서쪽 계곡 방면 길 뚜렷)-(20m)→ㅏ자 삼거리(남서쪽 천보산림욕장 방면 길 뚜렷)-(7분)→천보산맥 도착(↓천보산림욕장 0.3km, ↓자이아파트 5단지 1.1km, ←어하고개 1.2km, 축석령 2.4km→, 천보산 정상 7.6km→ 푯말). 이후 남쪽 왕방지맥 능선을 타고 정상으로 향한다.

천보산 정상에서 조망은 서쪽으로는 한강봉과 호명산, 북서로는 경원선 철길과 양주역 뒤로 백석읍과 불국산, 불국산 오른쪽으로는 파주 감악산이 조망된다. 북으로는 동두천시와 칠봉산 뒤로 마차산과 소요산이 하늘금을 이룬다. 소요산 오른쪽으로는 해룡산과 왕방산이 눈에 들어온다. 왕방산에서 오른쪽으로는 운악산, 수원산, 죽엽산 산릉들이 넘실거린다. 남동으로는 용암산 뒤로 천마산과 백봉이 머리를 내민다. 남으로는 수락산 뒤 멀리로 한강 이남인 청계산과 관악산이 눈에 들어온다. 남서쪽으로는 의정부시내 뒤로 거대한 수석을 보는 듯한 도봉산이 마주보인다. 도봉산 오른쪽으로는 송추 방면 울대고개도 시야에 와 닿는다 .

↑ [월간산]의자바위를 뒤로하고 오른 천보산맥에서 남쪽으로 10분 거리인 전망바위(둥근 바위 전)에서 내려다본 산림욕장 계곡과 자이아파트 5단지(왼쪽)와 광숭초등학교(가운데).

교통

의정부역→꽃동네·축석령·부인터 사거리의정부역(흥선지하차도 북쪽 정류장) 또는 시외버스터미널(터미널 입구 동쪽 약 100m 거리 정류장)에서 포천 방면 72, 72-3, 74, 88, 138, 138-5, 138-6, 138-7, 138-9번 버스 이용. 이 버스는 꽃동네 입구~경기지방경찰청 제2청사 입구~가톨릭대학교 의정부 성모병원 입구~금곡마을 입구~축석령 밑~축석령~무봉리~이동교리 부인터 사거리 경유 포천으로 운행.■ 가능역→주공아파트(꽃동네)205번 마을버스가 시장(구터미널)~(신)한전~ 배영초등학교~가능역~금융아파트~(구)한전~ 금오사거리~자금동주민센터~종점인 꽃동네로 수시 운행.■ 양주역→양주 GS자이아파트2-4번 마을버스가 10~15분 간격 운행. 이 버스는 만송동 2통 마을회관 앞~자이아파트 1단지~자이아파트 5단지~삼숭초교~ 자이아파트 7단지를 경유해 루이힐스골프장 종점으로 운행한다. 어하고개로 가는 경우 이 버스 종점인 루이힐스골프장에서 하차.■이외에 7번 버스가 6~10분 간격(05:15~22:50), 79번(양주역~GS자이아파트 노선)와 82번 버스가 4~6분 간격(05:45~23:40 · 양주역~GS자이아파트 노선)으로 운행한다. 82번 버스는 자이아파트 5단지 삼숭초등학교 출입문을 지난 양주 GS자이아파트 7단지가 종점이다.■ 양주역→포천 송우리62번 버스(양주역~ 마전동~주내파출소~ 공장앞~원학동 골프장~ 광사동~넉바위~삼숭동 2통~어하마을~ 어하터널~이동 사거리(부인터)~송우리터미널) 운행. 어하고개로 가는 경우 이 버스를 이용해 어하마을 입구에서 하차한다.■ 노원구청→양주 GS자이아파트7번 버스가 10~15분 간격(05:30~22:50)으로 운행.

식사(지역번호 031)

이동교리 일원부인터 사거리에 곰탕24시(544-0880) 식당 한 곳이 있다.■ 자일동 일원축석령 아래 정류소 옆 영양탕과 옻닭 전문 축석탕(847-3430) 이용.■ 금오동 거성아파트 일원207번 버스 종점 부근 금오분식(847-1760) 이용.■ 자금동 금오주공아파트 일원주공아파트 들목에 자리한 대들보왕갈비탕(846-3362), 205번 종점 부근 옛날식마늘통닭(847-7158), 양지식당(010-6399-8250), 주공아파트 끝머리에 자리한 금오식당(847-9792) 등 이용.■ 녹양역 동쪽 불암사 방면등산기점에서 북쪽 암매 사거리 방면 착한낙지(841-5456), 예향재(848-8845), 암매교차로 옆 민들레산채정식(841-0814), 삼밭골 교차로 방면 뜨락가든(842-2004), 삼밭골 교차로 북쪽 50년 전통 곰탕 전문점 납닥바위식당(842-2473), 막줄래국시(840-6759) 등 이용.■ 삼숭동 일원자이아파트 1단지 입구에서 야촌약수터 방면에 자리한 의정부부대찌개(846-6607), 서울식당(821-0920), 돈경(843-1231), 춘천닭갈비(848-7770), 1단지 입구에서 양주고등학교 방면(자이아파트 3, 4단지 앞) 상가지역에 자리한 바람난오징어(848-4086), 순대국과 추어탕(821-0920), 쭈꾸미1번가(821-6921), 화수분민속주점(846-1213), 불타는춘천닭갈비(848-7770), 봉채국수와 돈가스(848-9030) 등 이용.

↑ [월간산]1 산림욕장에서 15분가량 오르면 나오는 기암인 의자바위. 2 만송동 2통 마을회관에서 약 1시간 떨어진 천보산맥 위 사거리. 이곳은 지형도 상의 축석령 사거리에 있는 푯말이다. 이곳에서 오른쪽(남서쪽)으로 13분가량 가면 한북정맥과 만난다.

▶ 설마… 스키장에서 스키만 타세요?

▶ 2015년은 빛의 해… 태양보다 100京배 강한 빛 창조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월간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