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동지 팥떡 먹는 날, 동지 팥죽 먹는 날과 다른 점은?

2014. 12. 22. 17:5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POP] 애동지 팥떡 먹는 날 동지 팥죽

22일은 밤의 길이가 가장 길다는 동지(冬至)다.

동지는 24절기 중 스물두번째 절기로 음력 11월에 들며 보통 양력 12월 22~23일 경으로 북반구에서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낮아 1년 중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날이다.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동짓날에 팥죽을 먹는 풍습이 있다.

[사진=MBC 방송화면 캡처]

팥죽을 먹는 풍습은 팥죽의 붉은색이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전염병을 예방한다는 토속신앙에서 비롯됐다. 또 찹쌀로 새알심을 따로 만들어, 먹는 사람의 나이만큼 팥죽에 넣어 먹었다.

특히 올해 동지는 음력 11월 1일로 애동지에 해당, 애동지에는 아이들에게 좋지 않다는 이유로 팥죽을 쑤어먹지 않고 대신에 팥떡을 먹는다. 그 해 동지가 음력 11월 10일 안에 들면 애동지, 중순이면 중동지, 그믐이면 노동지라고 부른다.

한편 팥죽은 소화가 잘 돼 겨울철 대표 건강식으로 꼽히며 비만증과 각기병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애동지 팥떡 먹는 날 동지 팥죽 소식에 네티즌은 "애동지 팥떡 먹는 날 동지 팥죽, 팥죽없는 동짓날 뭔가 아쉽다" "애동지 팥떡 먹는 날 동지 팥죽, 둘 다 먹을거야" "애동지 팥떡 먹는 날 동지 팥죽, 동지인지도 모르고 살았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entnews@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POP & heraldpop.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