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동지, '동지팥죽' 유래가 중국이라고?

강소영 기자 2014. 12. 22. 15:1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지팥죽은 액운을 쫓는 의미에서 유래됐다. /사진=뉴스1

'동지팥죽 유래'

동지를 맞은 오늘(22일) '동지팥죽'으로 찬기운을 물리치고 따뜻하게 속을 채우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옛 선조들은 동짓날 팥죽을 끓여먹으며 새해의 무사안일을 빌었다. 동지는 해가 가장 짧아 24절기 중 밤이 가장 긴 날로 음(陰)의 기운이 극에 달한다. 그래서 선조들은 붉은 색을 띈 팥을 태양·불·피 같은 생명의 표식으로 여겼고, 음의 기운을 물리치기 위해 팥죽을 쑤어먹었다.

이는 중국의 신화적인 인물인 공공씨에게서 유래됐다.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의하면 공공씨의 망나니 같은 아들이 동짓날 죽어서 역질 귀신이 되었다. 이 역귀가 생전에 팥을 싫어했기 때문에 동짓날이 되면 팥으로 죽을 쑤어 역귀를 쫓았는데 이것이 풍속으로 전래된 것이라고 적혀있다.

하지만 2014년 동지는 음력 초하루와 동지가 겹친 애동지로 팥죽을 쒀먹지 않는다. 동지가 음력 11월 10일 안에 들면 애동지, 애기동지라고 하는데 예로부터 동지가 음력 11월 10일 안에 드는 '애동지'에는 팥죽을 쑤어먹으면 아이에게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는 속설이 있기 때문에 팥죽 대신 팥떡을 해먹었다고 한다.

한편, 팥은 식이섬유와 칼륨(K) 성분이 풍부하고 비타민 B1 함량(0.54㎎/100g)이 가장 많은 곡류다. 겨울철 몸을 따뜻하게 만들어주는 기운을 가진 식품으로서, 추운 겨울 먹으며 기를 보하는 음식이 된다.

경찰, '삼단봉 사건' 수사 나선다 이정희 기자회견 "국민들에게 미안하다" 통진당 해산심판에 관심 갖는 외신…'부정적 평가' 주류 삼단봉 사건, '제네시스 가해자' 사과문… "입이 열 개라도… 지탄 달게 받겠다" 문재인 지지율 '통진당 후폭풍'?, 박원순과 다시 벌어져… 안철수는 4위 지켜

실시간 재테크 경제뉴스

창업정보의 모든 것

강소영 기자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