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동지 팥떡 먹는 날, 팥죽 대신 팥떡 먹는 이유보니? '깜짝'

2014. 12. 22. 11:3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애동지 팥떡 먹는 날, 팥죽 대신 팥떡 먹는 이유보니? '깜짝'

'애동지 팥떡 먹는 날'

오늘(22일)은 절기 중 밤의 길이가 가장 길다는 동지(冬至)로 팥죽에 관한 다양한 정보가 누리꾼의 이목을 끌고 있습니다.

동지는 24절기 중 스물두번째 절기로 음력 11월에 들며 보통 양력 12월22~23일 경으로 북반구에서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낮아 1년 중 밤의 길이가 가장 긴 날입니다.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이날이 되면 팥죽을 먹습니다.

동짓날에 팥죽을 먹는 이유는 팥죽의 붉은색으로 나쁜 기운을 물리치고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입니다.

또한 찹쌀로 새알심을 따로 만들어, 먹는 사람의 나이만큼 팥죽에 넣어 먹었습니다.

하지만 올해 2014년 동지는 음력 초하루와 동지가 겹친 애기동지입니다.

'애기동지'에는 팥죽을 쑤어먹으면 아이에게 좋지 않은 일이 생긴다는 속설이 있기 때문에 팥죽 대신 팥떡을 해먹었다고 합니다.

팥죽은 소화가 잘 돼 겨울철 대표 건강식으로 꼽히며 비만증과 각기병 등의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동지는 밤이 길고 날씨가 춥기 때문에 호랑이가 교미를 하는 날이라 해서 '호랑이 장가 가는 날'로 불리기도 했습니다.

또 눈이 많이 내리고 추우면 풍년을 알리는 징조로 여기기도 했습니다.

'작은 설'이라 불리는 동지는 이날을 기점으로 태양이 다시 부활한다는 의미를 갖고 있어 옛 사람들은 이 때문에 '동지가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는 말을 하기도 했습니다.

'애동지 팥떡 먹는 날' '애동지 팥떡 먹는 날' '애동지 팥떡 먹는 날' '애동지 팥떡 먹는 날'

  • ▷▷ MBN 뉴스 더보기

  • ▶ [다시보기] 아쉽게 놓진 MBN 프로그램도 원클릭으로 쉽게!

  • ▶ [MBN운세] 고품격 운세! 오늘의 운세·이달의 운세·로또 운세 !

<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