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절, 태극기 다는 법은?

한영훈 기자 2014. 8. 18. 15:1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광복절 태극기 다는 법'/ 사진=머니투데이 DB

'광복절' '태극기 다는 법'

오늘이 무슨 날일까. 1945년 8월 15일 대한민국이 독립한 날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이 날을 제정해 매년 8월15일을 광복절이라 하고 국경일로 지정하였다. '광복'이란 '빛을 되찾다'는 뜻으로서 잃었던 국권의 회복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광복절을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우선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기틀인 '헌법'이 제정된 날인만큼 축하해야 한다. 방법은 바로 태극기 게양이다.

태극기 게양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바로 경축일과 조의(弔意)를 표하는 날인 것이다. 경축일은 ▲1월1일 ▲3월1일(삼일절) ▲7월17일(제헌절) ▲8월15일(광복절) ▲10월1일(국군의 날) ▲10월3일(개천절) ▲10월9일(한글날) 등 총 7일이다. 조의를 표하는 날인 조기게양일은 6월6일(현충일)과 국장기간, 국민장일 등 기타 정부가 따로 지정하는 날이다.

태극기 다는 법에도 차이가 있다. 경축일에는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지 않고 게양하고, 조기게양일에는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깃면의 세로 길이만큼 내려 달아주면 된다.

'광복절, 태극기 다는 법'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광복절을 기념해 각 가정에 태극기를 달자" "태극기 다는 법, 알고보니 어렵지 않네" "광복절 태극기 다는 법, 요즘은 태극기 찾아보기가 힘드네" 등의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추석 차례상 비용, 작년보다 소폭 상승…얼마? [연휴 날씨]전국 흐린 가운데 일부 지역 소나기 [머니WEEK] 추석 선물세트 가격, 작년과 비교해보니 [커버스토리] 원가 8배 팝콘·10분 넘는 광고… 영화관의 횡포 [머니WEEK] 해외여행 망치는 '악질' 가이드 주의보

실시간 재테크 경제뉴스

창업정보의 모든 것

한영훈 기자 han005@mt.co.kr

<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위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